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2101348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통신 시스템에서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RA 설정 정보 및 제2 RA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Msg1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Msg1에 대한 응답인 Msg2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에 Msg3을 K번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4L 1/08 (2006.01.01) H04L 5/00 (2006.01.01) H04W 72/04 (2009.01.01) H04W 72/12 (2009.01.01) H04L 1/00 (2006.01.01) H04L 1/18 (2006.01.01) H04W 52/14 (2009.01.01) H04B 7/06 (2017.01.01) H04B 7/0456 (2017.01.01) H04L 25/02 (2006.01.01) H04W 52/34 (2009.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75293 (2021.06.10)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55762 (2021.12.2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33809   |   2020.10.15
대한민국  |   1020200072735   |   2020.06.16
대한민국  |   1020200143666   |   2020.10.30
대한민국  |   1020200078646   |   2020.06.26
대한민국  |   1020200150548   |   2020.11.11
대한민국  |   1020210007102   |   2021.01.18
대한민국  |   1020210046728   |   2021.04.09
대한민국  |   1020210060352   |   2021.05.10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철순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재흥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문성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정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장성철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6.10 수리 (Accepted) 1-1-2021-0669706-9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제1 RA(random access) 설정 정보 및 제2 RA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Msg1을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Msg1에 대한 응답인 Msg2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기지국에 Msg3을 K번 반복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제1 RA 설정 정보는 제1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제1 RA 설정 정보에 따른 제1 RA 절차에서 상기 Msg3은 반복 전송되지 않고, 상기 제2 RA 설정 정보는 상기 제1 조건이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고,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따른 제2 RA 절차에서 상기 Msg3은 반복 전송되고, 상기 K는 자연수인, 단말의 동작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상기 Msg1의 전송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Msg3의 반복 전송을 지원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RA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RA 프리앰블(preamble)은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RA 프리앰블과 구별되고, 상기 Msg1은 상기 제2 RA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4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RA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PRACH 오케이션(occasion)은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PRACH 오케이션과 동일하고,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따른 상기 Msg1은 PRACH 마스크(mask)에 의해 상기 제1 RA 설정 정보에 따른 Msg1과 구별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측정 결과가 임계값 초과인 경우이고, 상기 임계값은 시스템 정보, 상기 제1 RA 설정 정보, 및 상기 제2 RA 설정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6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2 RA 설정 정보는 상기 K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7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Msg2에 포함된 UL(uplink) 그랜트가 참조하는 TDRA(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 테이블에 포함된 SLIV(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의 개수는 상기 K를 지시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8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K는 상기 Msg2에 포함된 UL 그랜트가 참조하는 TDRA 테이블에서 포함된 인덱스로부터 지시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9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Msg2에 포함된 UL 그랜트는 상기 Msg3의 반복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TDRA 테이블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TDRA 테이블은 상기 K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K는 상기 Msg3의 반복 전송이 가능한 유효 슬롯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11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상기 K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상기 Msg3은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K에 따라 반복 전송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12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으로서,제1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제1 RA(random access)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는 제2 RA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제1 RA 설정 정보 및 상기 제2 RA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Msg1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상기 Msg1에 대한 응답인 Msg2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단말로부터 Msg3을 K번 반복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제1 RA 설정 정보에 따른 제1 RA 절차에서 상기 Msg3은 반복 전송되지 않고,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따른 제2 RA 절차에서 상기 Msg3은 반복 전송되고, 상기 K는 자연수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13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상기 Msg1의 수신 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Msg3의 반복 전송을 지원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14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제1 RA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RA 프리앰블(preamble)은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RA 프리앰블과 구별되고, 상기 Msg1은 상기 제2 RA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5 15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제1 RA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1 PRACH 오케이션(occasion)은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제2 PRACH 오케이션과 동일하고, 상기 제2 RA 설정 정보에 따른 상기 Msg1은 PRACH 마스크(mask)에 의해 상기 제1 RA 설정 정보에 따른 Msg1과 구별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6 16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제1 조건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측정 결과가 임계값 초과인 경우이고, 상기 임계값은 시스템 정보, 상기 제1 RA 설정 정보, 및 상기 제2 RA 설정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7 17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제2 RA 설정 정보는 상기 K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8 18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Msg2에 포함된 UL(uplink) 그랜트가 참조하는 TDRA(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 테이블에 포함된 SLIV(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의 개수 또는 상기 TDRA 테이블에 포함된 인덱스는 상기 K를 지시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19 19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Msg2에 포함된 UL 그랜트는 상기 Msg3의 반복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TDRA 테이블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TDRA 테이블은 상기 K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20 20
청구항 12에 있어서,상기 K는 상기 Msg3의 반복 전송이 가능한 유효 슬롯들의 개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셀룰러 기반 산업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5G 성능 한계 극복 저지연, 고신뢰, 초연결 통합 핵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