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폐 조직 모사 미세유체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2001361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인간의 폐로부터 분리된 폐 상피세포, 폐 섬유아세포 및 상용 혈관내피세포를 포함하고 내부에 미세유체가 관류하는 폐 조직을 모사한 생체모방 시스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세유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내부의 챔버 각각에 기체 및 배양액을 포함하는 유체를 관류시킬 수 있고 유사 호흡운동 모사가 가능하며, 상기 유체 관류 후 일주일 이상이 경과하였을 때도 시스템 내부의 상기 3종의 세포가 모두 생존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 내부의 pH 측정 센서 및 기체 분압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챔버 내 pH 및 pO2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시스템 내부의 상기 3종의 세포를 생체 내 폐와 동일한 조건으로 외부 환경 혹은 약물 등에 노출시킬 수 있는 바, 유해 물질에 의한 폐 질환 모델링 및 치료용 약물 효능 테스트를 포함하는 방대한 범위의 연구가 가능하고, 나아가 in vitro 질병 모델링 및 맞춤 의약 처방 등에도 활용 가능하다.
Int. CL C12M 3/06 (2006.01.01) C12M 3/00 (2006.01.01) C12M 1/00 (2006.01.01) C12M 1/12 (2006.01.01) C12N 5/071 (2010.01.01) C12N 5/077 (2010.01.01) C12N 5/00 (2006.01.01)
CPC C12M 23/16(2013.01) C12M 21/08(2013.01) C12M 29/10(2013.01) C12M 25/02(2013.01) C12N 5/0688(2013.01) C12N 5/0656(2013.01) C12N 5/069(2013.01) C12N 5/0068(2013.01) C12N 5/006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07187 (2022.01.18)
출원인 서울대학교병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12976 (2022.02.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19-0120834 (2019.09.30)
관련 출원번호 1020190120834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병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영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박미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3 어은영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우성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길 **, *층 (수송동, 석탄회관빌딩)(케이씨엘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1.18 수리 (Accepted) 1-1-2022-0063628-1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폐 조직 모사 미세유체 시스템으로서,제 1 층, 제 2 층 및 제 3 층; 및 상기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 기체 관류(perfusion)용 제 1 챔버(chamber), 및 상기 제 2 층과 제 3 층 사이에 배양액을 포함하는 유체 관류용 제 2 챔버;를 포함하고,상기 제 2 층은 다공성 막(membrane)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막의 일측에 폐 상피세포(epithelial cell)가 파종 및 배양되고, 상기 폐 상피세포가 파종 및 배양된 다공성 막의 반대 측에 폐 섬유아세포(fibroblast) 및 혈관내피세포(endothelial cell)가 파종 및 배양되며,상기 폐 상피세포는 상기 1 챔버를 향하고, 상기 혈관내피세포는 상기 제 2 챔버를 향하고,상기 폐 상피세포 및 폐 섬유아세포는 인간의 폐로부터 분리된 것이고,상기 폐 상피세포는 폐포 상피세포를 포함하는, 폐 조직 모사 미세유체 시스템
2 2
제1항에 따른 폐 조직 모사 미세유체 시스템 제조 방법으로,(1) 상기 제 2 층의 다공성 막을 세포외 기질로 코팅하는 단계;(2) 상기 코팅된 다공성 막에 인간으로부터 분리된 폐 상피세포(epithelial cell)를 파종(seeding)하고 배양하는 단계; 및(3) 상기 폐 상피세포가 파종된 다공성 막의 반대 면에 인간으로부터 분리된 폐 섬유아세포(fibroblast) 및 혈관내피세포를 파종하고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 조직 모사 미세유체 시스템 제조 방법
3 3
제1항에 따른 폐 조직 모사 미세유체 시스템의 상기 제 1 챔버에 기체를 관류시키고, 상기 2 챔버에 배양액을 포함하는 유체를 관류시키는 미세유체 관류 단계; 및 호흡운동 모사를 위한 관류 기체의 압력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폐 조직 모사 미세유체 시스템 내 미세유체 제어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질환극복기술개발(R&D) 생체모사칩 기반 급성폐손상 신약후보물질의 임상적 효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