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 기술번호 : KST2022008026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 소자의 전극에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는 소스미터유닛과; 상기 전극의 전류 신호를 측정하는 오실로스코프와; 반도체 소자의 상측에 위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소스미터유닛에 연결되어 소스미터유닛의 바이어스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실로스코프에 연결되어 측정 전류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 제어신호에 연동하여 카메라 작동신호를 출력시키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컴퓨터로 반도체 소자의 V-I 특성을 따라 소스미터유닛의 바이어스 전원을 순차 단위증가시키면서, 상기 카메라로 각 바이어스 전원에 대한 반도체 소자의 전계발광 영상을 획득하여 반도체 소자의 불량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소자의 취약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전계발광을 위한 바이어스 조건을 쉽게 찾고 바이어스 변화에 대한 전계발광 거동을 분석할 수 있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Int. CL G01R 31/26 (2014.01.01) G01R 31/265 (2006.01.01) G01R 31/28 (2006.01.01) G01N 21/88 (2006.01.01)
CPC G01R 31/2642(2013.01) G01R 31/2644(2013.01) G01R 31/2601(2013.01) G01R 31/265(2013.01) G01R 31/2632(2013.01) G01R 31/2621(2013.01) G01R 31/2879(2013.01) G01N 21/8851(2013.01) G01N 21/950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66378 (2020.12.02)
출원인 한국전기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77442 (2022.06.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인호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로 **,
2 나문경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3 정현진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부경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남로**번길 **, *층 (거제동, 대한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02 수리 (Accepted) 1-1-2020-1302962-09
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2.0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337946-87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12.17 수리 (Accepted) 4-1-2020-5288766-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반도체 소자의 제1 전극에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소스미터유닛과;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신호를 측정하는 오실로스코프와;반도체 소자의 상측에 위치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상기 제1 소스미터유닛에 연결되어 제1 소스미터유닛의 바이어스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실로스코프에 연결되어 측정 전류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상기 바이어스 전원공급 제어신호에 연동하여 카메라 작동신호를 출력시키는 컴퓨터로;구성되어2 전극 반도체 소자에 상기 제1 소스미터유닛을 연결시키고, 상기 컴퓨터로 상기 2 전극 반도체 소자의 V-I 특성을 따라 제1 소스미터유닛의 바이어스 전원을 순차 단위증가시키면서, 상기 카메라로 각 바이어스 전원에 대한 반도체 소자의 전계발광 영상을 획득하여 반도체 소자의 불량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는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어 바이어스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반도체 소자의 제2 전극에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소스미터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3 전극 반도체 소자의 제1 전극에 상기 제1 소스미터유닛을 연결시키고, 제2 전극에 상기 제2 소스미터유닛을 연결시키며, 상기 컴퓨터로 상기 3 전극 반도체 소자의 V-I 특성을 따라 제1 소스미터유닛 또는 제2 소스미터유닛의 바이어스 전원을 순차 단위증가시키면서, 상기 카메라로 각 바이어스 전원에 대한 반도체 소자의 전계발광 영상을 획득하여 반도체 소자의 불량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전극 반도체는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 전극 반도체는 MOSFET으로서, 상기 제1 소스미터유닛은 MOSFET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소스미터유닛은 MOSFET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며,상기 오실로스코프는 MOSFET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로 상기 MOSFET 반도체 소자의 V-I 특성을 따라 제1 소스미터유닛 또는 제2 소스미터유닛의 바이어스 전원을 순차 단위증가시키면서, 상기 카메라로 각 바이어스 전원에 대한 반도체 소자의 전계발광 영상을 획득하여 반도체 소자의 불량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저장매체에제1 소스미터유닛과 오실로스코프의 바이어스 전압의 초기값, 최대설정값 및 단위 증가값을 포함하는 동작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제1 소스미터유닛을 통해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시키는 단계와; 카메라의 셔터 작동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오실로스코프에서 제1 전극의 전류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최대 설정값과 비교하여 작으면 바이어스 전압을 미리 설정된 단위 증가값만큼 상승시킨 후, 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시키는 단계부터 반복시키는 단계;상기 바이어스 전압을 최대 설정값과 비교하여 같거나 크면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6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저장매체에제1 소스미터유닛, 제2 소스미터유닛 및 오실로스코프의 각 바이어스 전압 최대설정값과 각 단위 증가값을 포함하는 동작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와; 제2 소스미터유닛을 통해 제2 전극에 제2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시키는 단계와; 카메라의 셔터 작동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와; 제1 소스미터유닛을 통해 제1 전극에 제1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시키는 단계와; 오실로스코프에서 제1 전극의 전류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에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최대 설정값과 비교하여 작으면, 미리 설정된 단위 증가값만큼 상승시켜 제2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시키는 단계부터 반복시키고,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을 최대 설정값과 비교하여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최대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와;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이 최대 설정값보다 작으면, 제2 바이어스 전압은 미리 설정된 단위 증가값만큼 상승시키고 상기 제1 바이어스 전압은 초기값으로 변환시킨 후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시키는 단계부터 반복시키고, 상기 제2 바이어스 전압이 최대 설정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제1 소스미터유닛, 제2 소스미터유닛 및 오실로스코프의 바이어스 전압과 전류를 연산하여반도체 소자의 V-I 특성 그래프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연속 가공하여, 각 프레임당 제1 바이어스 전압, 제1 바이어스 전류, 제2 바이어스 전압이 표시된 동영상으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9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불량정보를 연산하고, V-I 특성 그래프에 상기 불량정보를 추가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불량분석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기연구원 소재혁신선도 프로젝트 산화갈륨 전력반도체의 전기적 특성평가 및 불량분석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