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정상 및 암 오가노이드 미세환경 구현을 위한 코어-쉘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1583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쉘부 및 코어부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쉘부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차례로 위치하는 n개의 쉘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부는 상기 쉘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n은 1 내지 30의 자연수 중 어느 하나이고, n은 1인 경우, 1번째 쉘의 내부에 인접하여 상기 코어가 위치하고, n은 2 내지 30의 자연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n-1번째 쉘의 내부에 인접하여 n번째 쉘이 위치하고, 상기 n번째 쉘이 빈 공간이거나, 또는 제n 세포외 기질 및 제n 세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이고, 상기 코어가 빈 공간이거나, 또는 코어용 세포외 기질 및 코어용 세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이고, 상기 코어 및 n개의 쉘 중 서로 접하는 2종은 동시에 빈 공간은 아니고, 상기 코어 및 n개의 쉘 중 서로 접하는 2종의 밀도는 같거나 다른 것인 코어-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위, 장, 방광, 폐와 같은 강관 구조를 모사할 수 있다.
Int. CL A61L 27/38 (2006.01.01) A61L 27/5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68765 (2021.05.28)
출원인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78447 (2021.06.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18-0149353 (2018.11.28)
관련 출원번호 1020180149353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5.28)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성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 이화림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3 윤웅희 경기도 남양주시 도
4 신근유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5 김성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6 김은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수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길 **(서초동) *층(국제특허다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28 수리 (Accepted) 1-1-2021-0615888-81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1.05.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086241-91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6.21 수리 (Accepted) 1-1-2021-0708890-21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7.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577949-33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9.13 수리 (Accepted) 1-1-2021-1057051-84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9.1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1057090-54
7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22.01.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079932-55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22.02.15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2-0168961-98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2.02.15 수리 (Accepted) 1-1-2022-0168847-91
10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22.03.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201391-3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쉘부 및 코어부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체에 있어서,상기 쉘부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차례로 위치하는 n개의 쉘을 포함하고,상기 코어부는 상기 쉘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코어를 포함하고,n은 1 내지 30의 자연수 중 어느 하나이고,n은 1인 경우, 1번째 쉘의 내부에 인접하여 상기 코어가 위치하고,n은 2 내지 30의 자연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n-1번째 쉘의 내부에 인접하여 n번째 쉘이 위치하고,상기 n번째 쉘이 제n 세포외 기질 및 제n 세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이고,상기 코어가 코어용 세포외 기질 및 코어용 세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이고,상기 코어 및 n개의 쉘 중 서로 접하는 2종의 밀도는 같거나 다른 것인 코어-쉘 구조체
2 2
제1항에 있어서,n이 1이고,상기 코어가 1번째 쉘의 내부에 위치하고,상기 1번째 쉘이 제1 세포외 기질 및 제1 세포를 포함하고,상기 코어가 상기 코어용 세포외 기질 및 상기 코어용 세포를 포함하고,상기 제1 세포외 기질 및 상기 코어용 세포외 기질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상기 제1 세포 및 상기 코어용 세포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3 3
제1항에 있어서,n이 2이고,2번째 쉘이 1번째 쉘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코어가 상기 2번째 쉘의 내부에 위치하고,상기 1번째 쉘이 제1 세포외 기질 및 제1 세포를 포함하고,상기 2번째 쉘이 제2 세포외 기질 및 제2 세포를 포함하고,상기 코어가 상기 코어용 세포외 기질 및 상기 코어용 세포를 포함하고,상기 코어용 세포외 기질, 상기 제1 세포외 기질 및 상기 제2 세포외 기질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상기 코어용 세포, 상기 제1 세포 및 상기 제2 세포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n-1번째 쉘의 밀도가 상기 n번째 쉘의 밀도보다 작고, 상기 코어의 밀도가 상기 1번째 쉘의 밀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코어 및 n개의 쉘 중 1종 이상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형, 반구형, 원기둥, 타원기둥, 원뿔, 원뿔대, 타원뿔, 타원뿔대, 다각기둥 다각뿔, 다각뿔대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코어용 세포외 기질 및 제n 세포외 기질이 각각 독립적으로 콜라겐, 젤라틴, 피브리노겐, 젤라틴 메타크릴레이트(GelMA), 탈세포화 세포외 기질, 알긴산칼슘, 매트리젤, 나노셀룰로스, 히알루론산, 알지네이트 및 엘라스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코어용 세포 및 제n 세포가 각각 독립적으로 섬유아세포(fibroblast), 줄기세포, 암세포, 혈관세포, 근육세포, 표피세포, 면역세포, 신경세포 및 신경교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섬유아세포가 포유류 유래 섬유아세포, 조류 유래 섬유아세포, 파충류 유래 섬유아세포, 양서류 유래 섬유아세포 및 어류 유래 섬유아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코어용 세포외 기질 및 제n 세포외 기질이 각각 독립적으로 반데르발스 인력, 이온결합 또는 공유결합에 의해 하이드로겔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n 세포가 표피 세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표피 세포가 각질형성세포 및 멜라닌형성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코어-쉘 구조체가 유사 장기(organoid)에 사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
13 13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n개의 쉘을 갖는 쉘부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a) 제n-1 바이오 잉크를 토출하여 n-1번째 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n-1번째 액적 내부에 제n 바이오 잉크를 토출하여 n번째 액적을 상기 n-1 번째 액적의 내부에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n번째 액적 내부에 코어용 바이오 잉크를 토출하여 코어 액적을 상기 n번째 액적 내부에 형성하는 단계; 및(d) 상기 코어 액적 및 상기 n번째 액적 중 1종 이상을 경화시켜 상기 코어 및 상기 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단계 (b)가 n회 반복하여 수행되고,n은 1 내지 30의 자연수 중 어느 하나이고,n은 1인 경우, 1번째 액적의 내부에 인접하여 상기 코어 액적이 위치하고,n은 2 내지 30의 자연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n-1번째 액적의 내부에 인접하여 n번째 액적이 위치하는 것인 코어-쉘 구조체의 제조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단계 (d) 후에, (e) 상기 하이드로겔에 포함된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의 제조방법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바이오 잉크가 미세압출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레이저 프린팅, 밸브타입 프린팅, 스프레이 프린팅, 마이크로 스탬핑 및 마스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의 제조방법
16 16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코어용 바이오 잉크의 점도가 1 내지 500cP이고, 제n 바이오 잉크의 점도가 1 내지 500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체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260771 KR 대한민국 DOCDBFAMILY
2 KR20200063542 KR 대한민국 DOCDBFAMILY
3 US2021386914 US 미국 DOCDBFAMILY
4 WO202011150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항공과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호흡기계 줄기세포 기반 폐 오가노이드 칩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항공과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세포소기관네트워크연구센터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항공과대학교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Cortex 특이 미니뇌 제작 분석기술 개발 및 뇌질환 치료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