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

  • 기술번호 : KST2022012900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는 입력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DRFC(double-recycling folded cascode)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출력 전압을 전달 받고, 상기 출력 전압을 1차 증폭하는 캐스코드부; 및 상기 캐스코드부의 1차 증폭된 출력 전압을 전달 받고, 상기 1차 증폭된 출력 전압을 2차 증폭하고, 상기 2차 증폭된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클래스 AB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3F 3/45 (2006.01.01) H03F 1/22 (2006.01.01) H03F 3/20 (2006.01.01) H03F 1/02 (2006.01.01) H03F 3/00 (2006.01.01)
CPC H03F 3/45192(2013.01) H03F 1/223(2013.01) H03F 3/20(2013.01) H03F 1/0211(2013.01) H03F 3/005(2013.01) H03F 3/4547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04284 (2021.01.12)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02066 (2022.07.1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1.12)
심사청구항수 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민재 광주광역시 북구
2 박창주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호,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1.12 수리 (Accepted) 1-1-2021-0041386-1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입력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입력 전압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DRFC(double-recycling folded cascode) 입력부; 상기 DRFC 입력부의 출력 전압을 전달 받고, 상기 출력 전압을 1차 증폭하는 캐스코드부; 및 상기 캐스코드부의 1차 증폭된 출력 전압을 전달 받고, 상기 1차 증폭된 출력 전압을 2차 증폭하고, 상기 2차 증폭된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클래스 AB 출력부; 를 포함하는, 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
2 2
제1항에 있어서,플립 전압 팔로워(flipped voltage follower, FVF)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압에 대응하는 동작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작 전류를 상기 DRFC 입력단에 전달하는 적응형 바이어스(adaptive biasing);를 더 포함하는,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 전압 및 상기 DRFC 입력부의 출력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주파수의 영점(zero)을 제2 주파수로 이동시키는 크로스 커플 커패시터(input cross-coupled capacitor);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보다 큰, 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1차 증폭된 출력 전압의 극점(pole)과 상기 2차 증폭된 출력 전압의 극점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하이브리드 밀러-캐스코드 보상부(hybrid Miller cascode compensation, HMCC);를 더 포함하는,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2차 증폭된 출력 전압의 공통 모드 전압을 유지시키는 공통모드(common mode)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는,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클래스 AB 출력부는, 부동 전지(floating battery)를 이용하여 상기 1차 증폭된 출력 전압을 2차 증폭하는,고속 저왜곡 연산증폭기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브이에스아이(주) 민간수요연계 상용화 기술개발 초고속 고신뢰 지능형 IVN(In-Vehicle Network) 반도체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브이에스아이(주) 민간수요연계 상용화 기술개발 초고속 고신뢰 지능형 IVN(In-Vehicle Network) 반도체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