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음이온이 도핑된 코어-쉘 구조의 금속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의 제조법

  • 기술번호 : KST2022013858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가 음이온이 도핑된 코어-쉘 구조의 금속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활물질, 리튬 이차 전지(Lithium ion secondary battery)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체적 밀도가 떨어져 에너지밀도가 감소하고, 소성 시 발생하는 과도한 소결에 의한 공정성 저해 등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기존 기술의 장점인 개선된 레이트(rate) 특성과 구조 안정성으로 인한 높은 사이클 수명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 양극활물질용 복합 금속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음이온이 도핑된 코어-쉘 구조를 전이금속 복합체에 제공함으로써, 양극활물질 구조 안정성을 올리고, 이온 전도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에너지밀도 상승과 공정성 개선이 가능할 수 있다.
Int. CL C01G 53/00 (2006.01.01) C01B 25/45 (2006.01.01) H01M 4/525 (2010.01.01) H01M 4/505 (2010.01.01) H01M 10/052 (2010.01.01)
CPC C01G 53/006(2013.01) C01G 53/44(2013.01) C01B 25/45(2013.01) H01M 4/525(2013.01) H01M 4/505(2013.01) H01M 10/052(2013.01) C01P 2004/80(2013.01) C01P 2006/1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07719 (2021.01.19)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05088 (2022.07.2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성훈 서울특별시 양천구
2 김재광 서울특별시 광진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차상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박종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남건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1.19 수리 (Accepted) 1-1-2021-0072755-8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아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복합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고:M(OH)2-xAx/n (1)여기서, M은 Ni, Co, Mn, Al, Cu, Fe, Mg, B, Cr 및 전이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고, A는 OH를 제외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음이온이고, x는 0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Ni, Co, Mn, 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F-, PO43-, CO32-, 및 BO3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4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P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5 5
청구항 제1항의 복합 전이금속 화합물은 아래 화학식 2로 표현되고:NibCocMn1-(b+c+d)M'd(OH)2-xAx/n (2)여기서, b는 0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는 탭 밀도(Dt)가 1
7 7
제1항에 있어서, 코어-쉘 구조를 판별하는 기준이 음이온 A의 농도 혹은 분포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8 8
전이금속 염을 0
9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염이 황산염, 질산염,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제조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 염은, 황산염, 질산염, 및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염; 및 니켈, 코발트, 망간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 제조법
11 11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 전이금속 전구체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음이온 A의 농도 혹은 분포량이 리튬 복합 전이금속 산화물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리튬 복합 전이금속 산화물을 양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복합 차원 기반 전기화학 에너지 저장/변환 Tunable potential 전극 재료 연구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산업육성(R&D) 다공성 층 도입을 통한 고에너지용 Ni rich 층상계 양극재의 연속 생산 scale up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