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초소형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4965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화학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화학 소자는, 기재;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는 탄소 전극; 및 상기 탄소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며, 전기수력학 젯 프린팅을 이용하여 미세한 선폭으로 탄소 전극이 인쇄되고 이에 따라 초소형으로 전기화학 소자를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t. CL H01M 10/0585 (2010.01.01) H01M 10/04 (2015.01.01) H01M 4/64 (2006.01.01) H01M 4/1393 (2010.01.01) H01M 4/583 (2010.01.01) H01M 4/36 (2006.01.01) H01M 4/62 (2006.01.01) H01M 10/42 (2014.01.01) H01M 10/0565 (2010.01.01) H01M 4/04 (2006.01.01)
CPC H01M 10/0585(2013.01) H01M 10/0463(2013.01) H01M 10/0436(2013.01) H01M 4/64(2013.01) H01M 4/1393(2013.01) H01M 4/583(2013.01) H01M 4/366(2013.01) H01M 4/62(2013.01) H01M 10/423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4/0419(2013.01) H01M 4/0471(2013.01) H01M 2300/0045(2013.01) H01M 2300/0085(2013.01) H01M 2220/3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48711 (2020.04.22)
출원인 울산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2307513-0000 (2021.09.24)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21100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4.22)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상영 울산광역시 울주군
2 이권형 울산광역시 울주군
3 이성선 울산광역시 울주군
4 안병선 울산광역시 울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울산과학기술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4.22 수리 (Accepted) 1-1-2020-0414624-07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03 수리 (Accepted) 4-1-2020-5148444-43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8.20 수리 (Accepted) 4-1-2020-5186266-03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10.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1.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075475-31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04.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328311-52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1.05.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1-0581797-93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1.05.20 수리 (Accepted) 1-1-2021-0581798-38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1.09.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740340-2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재;상기 기재 상에 형성되는 탄소 전극; 및상기 탄소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고,상기 탄소 전극은, 탄소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고,상기 탄소 나노 입자는, 그 표면에 형성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소듐 도데실설페이트(sodium dodecylsulfate), 소듐 도데실 벤조설페이트(sodium dodecyl benzoic sulfate) 및 트리톤 X-100(triton X-10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개질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
2 2
삭제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표면개질 물질은, 상기 탄소 나노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전극의 폭이 10 ㎛ 내지 30 ㎛인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해질층은, 광가교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광가교성 물질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계 물질 및 씨올(thiol)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고,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물질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폭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propane propoxylate tri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상기 씨올계 물질은,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trimethylolpropane tris(3-mercaptopropionate))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mercaptopropio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물질 대 상기 씨올계 물질의 몰비는, 1 : 1
8 8
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방법으로서,기재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기재 상에 탄소 전극 잉크를 프린팅하여 탄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탄소 전극 상에 전해질 잉크를 프린팅하여 전해질 전구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전해질 전구체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초소형 전기화학 소자는, 제1항에 따른 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인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전극 잉크의 용매는, 물, 에틸렌 글리콜 (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 (diethylene glycol), NMP(N-methyl-2-pyrrolidone), DMSO(dimethyl sulfoxide) 및 DMF(dimethylfor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전해질 잉크는, 이온성 액체, 광가교성 물질 및 광가교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성 액체는, [EMIM][TFSI]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BMIM][BF4]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및 [BMIM][TFSI] (1-but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상기 이온성 액체 대 상기 광가교성 물질의 중량비는, 8 : 2 내지 9 : 1인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광가교 개시제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틸-케톤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및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타논-1 (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ophenyl)-butanone-1)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광가교성 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광가교 개시제는 0
13 13
제8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 전구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는 두 단계 모두는, 전기수력학 젯 프린팅 (Electrohydrodynamic jet printing; EHD)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전기수력학 젯 프린팅은, 0
15 15
제8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탄소 전극이 형성된 상기 기재의 표면을 자외선-오존 처리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방법
16 16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전해질 전구체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10 ℃ 내지 60 ℃에서 5 초 내지 30 초 동안 수행되는 것인,초소형 전기화학 소자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울산과학기술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포스트 리튬전지 및 헤테로콜로이드 화학 기반 고성능/자유형상 프린터블 전원시스템
2 산업통상자원부 울산과학기술원 나노융합산업핵심기술개발(R&D) 나노소재 기반 마이크로 전극 구조의 필름형 유연 슈퍼커패시터 제작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