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역구조 유기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6030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역구조 유기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구조 유기태양전지는 기판; 기판 상에 구비되는 하부 전극; 하부 전극 상에 구비되는 전자 수송층; 전자 수송층 상에 구비되고, 광활성 물질 및 내부봉지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광활성층; 광활성층 상에 구비되는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수송층 상에 구비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 내부봉지 물질은 카르복시기를 구비하고, 내부봉지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수송층의 표면에 자기조립될 수 있다.
Int. CL H01L 51/44 (2006.01.01) H01L 51/00 (2006.01.01) C01B 32/156 (2017.01.01)
CPC H01L 51/448(2013.01) H01L 51/441(2013.01) H01L 51/0002(2013.01) C01B 32/15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16688 (2021.02.05)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13019 (2022.08.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05)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광희 광주광역시 북구
2 강홍규 광주광역시 북구
3 정소영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05 수리 (Accepted) 1-1-2021-0151420-88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3.19 수리 (Accepted) 1-1-2021-0322455-31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4.1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6.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2-0137337-1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하부 전극;상기 하부 전극 상에 구비되는 전자 수송층;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구비되고, 광활성 물질 및 내부봉지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광활성층;상기 광활성층 상에 구비되는 정공 수송층; 및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구비되는 상부 전극을 포함하고,상기 내부봉지 물질은 카르복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봉지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 수송층의 표면에 자기조립되는,역구조 유기태양전지
2 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봉지 물질은,C60-SAM(4-(1′,5′-Dihydro-1′-methyl-2′H-[5,6]fullereno-C60-Ih-[1,9-c]pyrrol-2′-yl)benzoic acid), C60-SB( tetra-nbutyl ammonium iodide (TBAI)-doped 2,3,4-tris(3-(propyl sulfobetaine)propoxy) fulleropyrrolidine), C3-SAM (3-aminopropanoic acid), Sil-C60(N-[3-(triethoxysilyl)propyl]-2-carbomethoxy-3,4-fulleropyrrolidine), PCBDAN(fullerene [6,6]-phenyl-C61-butyric acid 2-((2-(dimethylamino)ethyl)(methyl)amino)-ethyl ester), 벤조산(Benzoic acid), 4-아미노 벤조산(4-Aminobenzoic acid), 3-Aminopropyltriethoxysilane, 브로모아세트산(Bromoacetic acid), 페닐아세트산(Phenylacetic acid), 4-페닐뷰티르산(4-Phenylbutyric acid) 및 3-페닐프로피온산(3-Phenylpropionic acid), 보론산 (Boronic acid), Sinapoyl malate, 4-ammonium chloride, 3-Aminopropyltriethoxysilane, 1,2-Ethanedithiol, 및 4-Pyridinecarboxyl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역구조 유기태양전지
3 3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층은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 타이타늄옥사이드(TiOx), 주석옥사이드 (Tin oxide, Sn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 (Aluminum-doped Znic Oxide, AZ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역구조 유기태양전지
4 4
제3 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수송층의 표면에 자기조립된 상기 내부봉지 물질에 의해 상기 전자 수송층에서 발생된 라디칼이 상기 광활성층으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는, 역구조 유기태양전지
5 5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 전극은 금속, 합금, 전도성 고분자 기타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역구조 유기태양전지
6 6
제1 항에 있어서,상기 정공 수송층은 몰리브덴옥사이드(MoO3), 텅스텐옥사이드(WO3)및 바나듐옥사이드(V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역구조 유기태양전지
7 7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하부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플루오르화틴옥사이드(Fluorinated Tin Oxide, F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도프드징크옥사이드(Al-doped Zinc Oxide, AZO),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 및 인듐징크틴옥사이드(Indium Zinc Tin Oxide, IZT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역구조 유기태양전지
8 8
제1 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유리, 석영,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elate, PEN),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틸렌(Polystylene, PS),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lene, POM),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수지(Acrylonitile-styrene copolymer, AS 수지) 및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즈(Triacetyl cellulose, TA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역구조 유기태양전지
9 9
기판 상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하부 전극 상에 전자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광활성 물질 및 내부봉지 물질을 혼합하여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광활성층 상에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상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광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광활성 물질 및 상기 내부봉지 물질을 용매에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혼합물을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내부봉지 물질은 카르복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봉지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자 수송층의 표면에 자기조립되는,역구조 유기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10 10
제9 항에 있어서,상기 광활성 물질 및 상기 내부봉지 물질은 100:1의 질량비로 혼합되는,역구조 유기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11 11
제9 항에 있어서,상기 혼합물은 스핀 코팅법, 롤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플로 코팅법, 잉크젯 프린팅법, 노즐 프린팅법, 딥 코팅법, 테이프 캐스팅법, 스크린 프린팅법, 패드 프린팅법, 닥터 블레이드 코팅법, 슬롯-다이 코팅법, 그래비어 프린팅법, 열전사법 및 그래비어 오프셋 프린팅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전자 수송층 상에 도포되는,역구조 유기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과학기술원 기후변화대응 기초원천기술개발과제 고효율,고안정,친환경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미니발전소 실증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