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소스/드레인 금속 접촉 형성 시 발생하는 계면 결함의 특성을 추출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753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계면 결함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드레인 금속 접촉 형성 시 발생하는 계면 결함의 특성을 추출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면 결함 추출 장치는 반도체 접촉 계면의 도핑 농도에 따라 전류 매커니즘을 선택하는 전류 매커니즘 선택부, 상기 전류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쇼트키 장벽 높이(schottky barrier height; SBH)를 추출하는 SBH 추출부, 및 상기 고유 쇼트키 장벽 높이와 컨덕션 밴드의 최소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페르미 레벨을 추출하는 페르미 레벨 추출부를 포함한다.
Int. CL H01L 21/66 (2006.01.01)
CPC H01L 22/30(2013.01) H01L 22/1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29022 (2021.03.04)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25069 (2022.09.1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3.04)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현용 서울특별시 서초구
2 손무영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3 정승근 서울특별시 송파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주연케이알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층(역삼동, 엘에스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3.04 수리 (Accepted) 1-1-2021-0259229-62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1.03.0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037334-01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3.17 수리 (Accepted) 1-1-2021-0313085-30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6.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반도체 접촉 계면의 도핑 농도에 따라 전류 매커니즘을 선택하는 전류 매커니즘 선택부;상기 전류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쇼트키 장벽 높이(schottky barrier height; SBH)를 추출하는 SBH 추출부; 및상기 고유 쇼트키 장벽 높이와 컨덕션 밴드의 최소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페르미 레벨을 추출하는 페르미 레벨 추출부를 포함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SBH 추출부는,상기 전류 매커니즘에 기초한 접촉 저항 식과 실험적으로 추출한 접촉 저항을 이용하여 제1 쇼트키 장벽 높이(schottky barrier height; SBH)를 추출하는 제1 SBH 추출부; 및상기 추출된 제1 쇼트키 장벽 높이에서 이미지 전하 장벽 저하(image charge barrier lowering) 효과를 제거하여, 제2 쇼트키 장벽 높이를 추출하는 제2 SBH 추출부를 포함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쇼트키 장벽 높이는 물질 계면에 존재하는 도펀트(dopant)들로 인해 변조(modulation)된 쇼트키 장벽 높이인, 계면 결함 추출 장치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이미지 전하 장벽 저하 효과는 상기 제2 쇼트키 장벽 높이를 감소시키는 효과인, 계면 결함 추출 장치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SBH 추출부는 TLM(transmission line method) 패턴 측정방법을 통해 상기 접촉 저항을 추출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매커니즘 선택부는 실험적으로 상기 반도체 접촉 계면의 도핑 농도를 추출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접촉 계면의 도핑 농도는 SIMS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분석 방법으로 추출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매커니즘은 전계 방출(Field Emission) 매커니즘 및 열이온 전계 방출(Thermionic Field Emission) 매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인, 계면 결함 추출 장치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페르미 레벨은 밴드갭 에너지 영역 내에서 계면 상태 밀도가 최대값을 나타내는 에너지 레벨과 같은, 계면 결함 추출 장치
10 10
계면 결함 추출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반도체 접촉 계면의 도핑 농도에 따라 전류 매커니즘을 선택하는 단계;상기 전류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쇼트키 장벽 높이(schottky barrier height; SBH)를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쇼트키 장벽 높이와 컨덕션 밴드의 최소값의 차이에 기초하여 페르미 레벨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의 동작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전류 매커니즘에 기초하여 쇼트키 장벽 높이를 추출하는 단계는,상기 전류 매커니즘에 기초한 접촉 저항 식과 실험적으로 추출한 접촉 저항을 비교하여 제1 쇼트키 장벽 높이(schottky barrier height; SBH)를 추출하는 제1 SBH 추출 단계; 및상기 추출된 제1 쇼트키 장벽 높이에서 이미지 전하 장벽 저하(image charge barrier lowering) 효과를 제거하여, 제2 쇼트키 장벽 높이를 추출하는 제2 SBH 추출 단계를 포함하는, 계면 결함 추출 장치의 동작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R&D) 저온 공정 기반 Si/SiGe M3D 집적 소자 및 회로 플랫폼 기술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차세대 반도체 소자를 위한 steep switching 특성 기반의 Hybrid Conductance Transition Steep Switching (HYCOS) FET 소자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