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바이오센서 및 갭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18951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갭 전극의 팽윤 현상을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 입자를 조립하여 만든 전도성 채널에 갭을 형성하여, 바이러스 등온 증폭 방식(RCA) 반응에 의한 전극의 스웰링 현상에 따른 갭의 접합 여부에 따라 큰 전류변화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팽윤 현상을 이용한 전기적 검출방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검출할 경우, 현장 검출 방식에 적합한 단순화, 소형화, 경량화로 실시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t. CL C12Q 1/6825 (2018.01.01) C12Q 1/682 (2018.01.01) C12Q 1/70 (2006.01.01) G01N 27/327 (2006.01.01)
CPC C12Q 1/6825(2013.01) C12Q 1/682(2013.01) C12Q 1/70(2013.01) G01N 27/3272(2013.01) G01N 27/3278(2013.01) C12Q 2563/11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33815 (2022.03.18)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31188 (2022.09.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35602   |   2021.03.19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3.18)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병양 서울특별시 강남구
2 곽다인 서울특별시 성북구
3 이도훈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남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길 **, 도렴빌딩 ***호 (도렴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3.18 수리 (Accepted) 1-1-2022-0293463-61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2.03.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2-0045656-64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03.28 수리 (Accepted) 1-1-2022-0329982-23
4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2.04.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2-0050487-62
5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04.04 수리 (Accepted) 1-1-2022-0356225-1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바이오센서에 있어서,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전극 구조체와 - 한 쌍의 상기 전극 구조체 중 적어도 하나는 팽윤 가능한 구조를 가짐,한 쌍의 상기 전극 구조체 중 팽윤 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기 전극 구조체에 고정된 프라이머와,일측이 상기 프라이머와 상보적 결합하여 상기 프라이머에 고정되고, 타측이 표적 유전자와 결합 가능한 템플레이트를 포함하며;상기 템플레이트에 상기 표적 유전자가 결합하여 RCA 반응을 통해 증폭되면, 평윤 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기 전극 구조체가 상기 표적 유전자의 증폭에 의해 팽윤되어 다른 하나의 전극 구조체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2 2
제1항에 있어서,팽윤 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기 전극 구조체는 하이드로겔 재질, 에폭시 재질, 엘라스토머 재질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3 3
제1항에 있어서,팽윤 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기 전극 구조체는 폴리머 기반의 하이드로겔로 형성되며;상기 폴리머 기반의 하이드로겔 내부에 전도성을 갖는 다수의 전도성 파티클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폴리머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2-HEMA의 라디컬 중합 방식을 통해 형성되며, 가교제로 EGDMA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는 아민 커플링 반응을 통해 상기 전극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
6 6
갭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a) 전도성을 가지며 팽윤 가능한 전극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와,(b) 상기 전극 구조체에 프라이머를 고정시키는 단계와,(c) 상기 프라이머에 표적 유전자와 결합 가능한 템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템플레이트에 상기 표적 유전자가 결합하여 RCA 반응을 통해 증폭되면, 상기 전극 구조체가 상기 표적 유전자의 증폭에 의해 팽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전극 를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에서는 라디칼 중합 방식을 통해 상기 전극 구조체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a1) 폴리머 기반의 하이드로겔, 가교제, 개시제, 전도성 파티클, 코모노머를 혼합한 혼합액을 마련하는 단계와;(a2) 기 설정된 온도 및 시간 조건 하에서 상기 혼합액에서 라디칼 중합 반응이 이루어져, 상기 전극 구조체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a1) 단계와 상기 (a2) 단계 사이에 상기 혼합액을 교반시키는 단계와;상기 라디칼 중합 반응 후 미 반응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는 증류수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전극 구조체를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며;상기 증류수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
11 11
제8항에 있어서,상기 (a1) 단계에서상기 폴리머 기반의 하이드로겔은 2-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포함하고;상기 가교제는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포함하고;상기 개시제는 AIBN(Azobis iso butylronitrile)를 포함하고;상기 전도성 파티클은 MWCNT(multi-walled carbon nanotube)를 포함하고;상기 코모노머는 Acrylic ac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
12 12
제6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는 아민 커플링 반응을 통해 상기 프라이머가 상기 전극 구조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전극을 이용하는 바이오센서에 적용되는 전극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바이러스의 현장형 고속 핵산검출 및 분석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