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뇌염증 질환 진단용 마커로서의 14-3-3γ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2019502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뇌염증 질환 진단용 마커로서의 14-3-3γ의 용도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뇌염증 질환을 조기에 효과적으로 진단 및 예측할 수 있는 뇌염증 질환 진단용 조성물, 뇌염증 질환 진단 방법, 및 뇌염증 질환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해 뇌염증 질환의 진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본 발명의 마커인 14-3-3γ의 발현 및 활성을 조절하여 뇌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G01N 33/68 (2006.01.01) C12Q 1/6883 (2018.01.01)
CPC G01N 33/6896(2013.01) C12Q 1/6883(2013.01) G01N 2800/2821(2013.01) G01N 2333/4703(2013.01) G01N 2500/00(2013.01) C12Q 2600/15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38410 (2022.03.28)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36906 (2022.10.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42911   |   2021.04.01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3.28)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재용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조은실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명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층 (삼성동,본솔빌딩)(명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3.28 수리 (Accepted) 1-1-2022-0334770-79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2.04.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2-0050203-13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05.02 수리 (Accepted) 1-1-2022-0471299-0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피검체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YWHAG 유전자의 발현 또는 14-3-3γ 단백질의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염증 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뇌염증 질환은 알츠하이머 또는 파킨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염증 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검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염증 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해마 유래 시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염증 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은 측정한 상기 YWHAG 유전자의 발현 또는 14-3-3γ 단백질의 활성 수준이 대조군의 YWHAG 유전자의 발현 또는 14-3-3γ 단백질의 활성 수준에 비교하여 감소된 경우, 뇌염증 질환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염증 질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6 6
YWHAG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14-3-3γ 단백질의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염증 질환 진단용 조성물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제는 상기 유전자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 또는 상기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압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염증 질환 진단용 조성물
8 8
YWHAG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14-3-3γ 단백질의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 및 지시서를 포함하는, 뇌염증 질환 진단용 키트
9 9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뇌염증 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a) 뇌염증 질환 환자로부터 분리된 생물학적 시료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b) 상기 시료의 YWHAG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14-3-3γ 단백질의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c) 후보물질 비처리군과 비교하여, YWHAG 유전자의 발현 수준 또는 14-3-3γ 단백질의 활성 수준이 증가한 경우에, 상기 후보물질을 뇌염증 질환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뇌염증 질환은 알츠하이머, 또는 파킨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염증 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상기 방법은 상기 시료의 LCN2, 및 IL1β 유전자 또는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 또는 성상 세포 또는 미세아교세포의 수와 형태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염증 질환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막단백 기반 뇌염증 제어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 질병 막단백질 핵심마커 기반 천연물 작용기전 및 효능 규명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뇌과학원천기술개발(R&D) 정서장애 관련 고삐핵 신경회로 규명 및 국소적 조절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