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20851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가 개시된다.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는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및 상기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 및 적어도 일부에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을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음이온성 작용기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유상과 수상의 계면에서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형성할 수 있다.
Int. CL A61K 8/06 (2006.01.01) A61K 8/02 (2006.01.01) A61K 8/26 (2006.01.01) A61K 8/73 (2006.01.01) A61K 8/41 (2006.01.01) A61Q 19/00 (2006.01.01) A61K 9/107 (2006.01.01) A61K 47/02 (2006.01.01) A61K 47/38 (2006.01.01)
CPC A61K 8/06(2013.01) A61K 8/0254(2013.01) A61K 8/027(2013.01) A61K 8/26(2013.01) A61K 8/731(2013.01) A61K 8/416(2013.01) A61Q 19/00(2013.01) A61K 9/107(2013.01) A61K 47/02(2013.01) A61K 47/38(2013.01) A61K 2800/41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60805 (2021.05.11)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선진뷰티사이언스(주)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53344 (2022.11.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5.11)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선진뷰티사이언스(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진웅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조영식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3 배지우 서울특별시 용산구
4 서혜민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대로 ***
5 신경희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 **
6 이성호 서울특별시 양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차상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박종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남건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5.11 수리 (Accepted) 1-1-2021-0544413-75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4.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8.23 수리 (Accepted) 4-1-2022-5196380-5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및 상기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 및적어도 일부에 음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을 포함하고,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음이온성 작용기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유상과 수상의 계면에서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형성하는,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는 40 내지 60nm 의 평균 입자 크기 및 8 nm 내지 10 nm 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차 알킬 암모늄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dimethyl dihydrogenated tallow ammonium ion(2M2HT), dimethyl benzyl (hydrogenated tallow) ammonium chloride (2MBHt), trimethyl (hydrogenated tallow) ammonium chloride (3MHt), benzyl dimethyl hydrogenated tallow ammonium ion(2MHTL8),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 (TMAH), tetraethylammonium hydroxide (TEAH), tetramethylammonium chloride(TMACl), tetrabutylammonium bromide (TBAB), tetrabutylammonium fluoride(TBAF) 및 benzyltrimethylammonium hydroxide (BTMAH) 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음이온성 작용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카르복실기(-COOH, -COONa) 및 하이드록시메틸기(-CH2OH)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중 적어도 일부는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관통하여 유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 형성용 복합체
7 7
서로 다른 액체인 분산상(dispersed phase)과 연속상(continuous phase); 및상기 분산상과 상기 연속상의 계면에 위치하여 이들 사이의 계면 장력을 낮춰주는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형성하는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와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을 포함하고,상기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는,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및 상기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상기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적어도 일부에 음이온성(anionic) 작용기를 포함하고,상기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는 유상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수상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음이온성 작용기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커링 에멀젼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중 적어도 일부는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관통하여 유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커링 에멀젼
9 9
헥토라이트의 표면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그라프팅하는 단계;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그라프팅된 헥토라이트를 박리시켜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가 분산된 분산액과 적어도 일부에 음이온성(anionic) 작용기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혼합하여 균질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피커링 에멀젼 제조 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는 분산액 대비 0
11 11
제9항에 있어서,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4차 알킬 암모늄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커링 에멀젼 제조 방법
12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헥토라이트의 표면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그라프팅하는 단계는,헥토라이트의 층간 무기 양이온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온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커링 에멀젼 제조 방법
13 13
제9항에 있어서,상기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박테리아 셀룰로오스를 TEMPO 산화 처리하는 단계; 및TEMPO 산화 처리된 셀룰로오스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상기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나노피브릴을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피커링 에멀젼 제조 방법
14 14
서로 다른 액체인 분산상(dispersed phase)과 연속상(continuous phase);상기 분산상과 상기 연속상의 계면에 위치하여 이들 사이의 계면 장력을 낮춰주는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형성하는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와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및상기 분산상 내부에 함유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상기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는,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및 상기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의 표면에 결합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상기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적어도 일부에 음이온성(anionic) 작용기를 포함하고,상기 양이온성 헥토라이트 나노 판형 입자 구조체는 유상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은 수상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상기 음이온성 작용기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또는 약물 전달 조성물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음이온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중 적어도 일부는 코아세르베이트 계면막을 관통하여 유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품 또는 약물 전달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혁신성장선도고급연구인재성장지원(KIURI)(R&D) 에너지환경융합 키우리연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