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유연 투명 전극, 및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1328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명세서에서는 고분자 수지 층; 및 상기 고분자 수지 층 상에 적층된 탄소 나노 소재 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 나노 소재는 전자빔에 의하여 도핑된 탄소 나노 소재인,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가 개시된다.
Int. CL H01B 5/14 (2006.01.01) H01B 13/00 (2006.01.01) C08J 9/06 (2006.01.01)
CPC H01B 5/14(2013.01) H01B 13/0016(2013.01) H01B 13/0036(2013.01) C08J 9/0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02315 (2022.01.06)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06431 (2023.07.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1.06)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영민 전라북도 완주군
2 배수강 전라북도 완주군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 순 영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종로*길 ** (수송동, **, **층)(법무법인케이씨엘)
2 김영철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종로*길 ** (수송동, **, **층)(법무법인케이씨엘)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1.06 수리 (Accepted) 1-1-2022-0020278-96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12.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3.03.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3-0085064-3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고분자 수지 층; 및 상기 고분자 수지 층 상에 적층된 탄소 나노 소재 층;을 포함하며,상기 탄소 나노 소재는 전자빔에 의하여 도핑된 탄소 나노 소재인,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수지는 메틸(methyl), 에틸(ethyl), 페닐(phenyl), 아릴(allyl), 벤질(benzyl), 알켄(alkene), 알카인(alkyne), 아렌(arene), 페놀(phenol), 벤조일(benzoyl), 할로젠화 알킬(alkyl halide), 알코올(alchol), 에터(ethere), 알데하이드(aldehyde), 케톤(ketone), 카르복시산(carboxylic Aicd), 에스테르(ester), 아마이드(-amide), 아민(-amine), 이민(imine) 사이올(-thiol), 설파이드(-sulfide), 나이트릴(-nitrile), 펄옥사이드(peroxide) 등으로 구성된 화합물에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화학 구조를 갖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이미드(PI), 투명폴리이미드(c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카보네이트(PC)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나노 소재는 탄소섬유,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흑연, 탄소양자점, 그래핀 나노 플레이트(GNP, graphene nanoplatelets), 그래핀 산화물(graphene oxide), 무정형 카본, 및 카본 블랙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도핑된 탄소 나노 소재는 고분자 수지층으로부터 전하전송메커니즘(charge transfer mechanism)을 통하여 전자를 빼앗기거나 전달 받아 (electron-withdrawing or donating) P 또는 N 타입 구조/특성을 갖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는 10 - 500 ohm/sq 범위의 면저항 범위을 갖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는 면저항의 불균일도가 20% 이내인 면저항 균일도를 갖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는 80% 이상의 투과도를 갖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는 5×10-1 g/m2-day 이하의 수분 투과도를 갖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1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를 포함하는, 유연 투명 전극
11 11
고분자 수지 층 상에 탄소 나노 소재 층을 적층시키는 단계; 및상기 탄소 나노 소재 층 상에 전자 빔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제조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빔 조사 단계에서 고분자 수지의 화학 구조가 변화하고, 상기 화학 구조 변화로부터 유래한 라디칼, 이온, 또는 전자가 상기 탄소 나노 소재를 도핑시켜 전하 농도를 높이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제조 방법
13 1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빔 조사 단계는 아르곤, 질소, 및 헬륨 가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체 분위기 하에 수행되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제조 방법
14 14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빔 조사 단계에서 점형 또는 선형 전자 빔을 조사하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제조 방법
15 15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빔 조사 단계에서 3000 kGy 이하의 흡수량으로 전자빔을 조사하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제조 방법
16 16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 빔 조사 단계에서 200-1600 kGy 범위의 흡수량으로 전자빔을 조사하는,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제조 방법
17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빔 조사 전/후의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의 가시광선 투과율 감소율은 10% 이하인,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제조 방법
18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빔 조사 전/후의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의 면저항 감소율은 50% 이상인, 탄소 나노 소재 기반 구조체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아이엠씨 소재부품기술개발(R&D) 1mm 이하 곡률반경을 가지는 신축 디바이스용 50% 이상의 형태 가변이 가능한 점접착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