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해질-프리 전극을 구비한 전고체 전지와 이 전지를 이용하는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2300179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의 성능을 신뢰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 전고체 전지를 이용하는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전해질-프리 전극 및 그 제조 방법과 전해질-프리 전극을 구비한 전고체 전지가 개시된다. 전고체 전지는, 전극 내 전해질 성분이 배제되어 전극 내 이온전달이 전극활물질들 간 이온확산 원리에 의존하도록 전극활물질과 바인더로 구성된 전극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극, 전극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상대 전극, 및 전극 및 상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고체 전해질 층을 포함하며, 전해질-프리 전극인 전극의 공극밀도는 15% 이하이다.
Int. CL H01M 4/62 (2006.01.01) H01M 4/13 (2010.01.01) H01M 10/0562 (2010.01.01) H01M 10/0565 (2010.01.01) H01M 10/44 (2006.01.01) G01R 31/389 (2019.01.01) G01R 31/382 (2019.01.01) G01R 31/378 (2019.01.01) G01R 31/387 (2019.01.01) H01M 4/02 (2006.01.01)
CPC H01M 4/622(2013.01) H01M 4/13(2013.01) H01M 10/0562(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446(2013.01) G01R 31/389(2013.01) G01R 31/382(2013.01) G01R 31/378(2013.01) G01R 31/387(2013.01) H01M 2004/02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69921 (2022.06.09)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39507 (2023.03.2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22758   |   2021.09.14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6.15)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신동옥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영기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최재철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주영 대전광역시 유성구
5 강석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6 박영삼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6.09 수리 (Accepted) 1-1-2022-0600916-66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06.15 수리 (Accepted) 1-1-2022-0622347-0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시스템을 위한 전고체 전지로서,전극 내 전해질 성분이 배제되어 전극 내 이온전달이 전극활물질들 간 이온확산 원리에 의존하도록 상기 전극활물질과 바인더로 구성된 전극 조성물로 제조되는 전극;상기 전극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상대 전극; 및상기 전극 및 상기 상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고체 전해질 층;을 포함하고,전해질-프리 전극(electrolyte-free electrode)인 상기 전극의 공극밀도는 전극 용적 밀도의 15% 이하인, 전고체 전지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바인더는 이온전도성 바인더 또는 비이온전도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전도성 바인더는 고분자 구조 내에 이온전도 성분 및 기능기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내 이온전달은 전극활물질들 간의 접촉을 통한 확산 경로와 상기 이온전도성 바인더를 경유하는 추가 경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추가 경로는 상기 이온전도성 바인더에 의해 생성되는, 전고체 전지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극활물질의 소재는, 흑연, 하드카본, 소프트카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산화환원그래핀, 카본섬유, 비정질탄소, 실리콘-탄소 복합체(SiC), 탄소층을 포함하는 전자전도성층이 코팅된 음극 소재, 및 이들의 혼합 조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상기 전극활물질의 전자전도도는 2 S/㎝ 이상인, 전고체 전지
6 6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전극활물질과 상기 바인더의 조성비는 무게비 기준으로 90:10에서 99
7 7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으로서,전극활물질과 이온전도성 바인더로 구성된 제1 전극 조성물로 제조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상대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고체 전해질층을 포함한 제1 전고체 전지를 평가 시스템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상기 제1 전고체 전지에 인가되는 신호나 제공되는 환경에 대한 평가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상기 제1 전고체 전지에 연결되어 상기 평가 조건에 따른 상기 제1 전고체 전지의 전기화학 및 전지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전극활물질과 비이온전도성 바인더로 구성된 제2 전극 조성물로 제조되는 제2 전극, 상기 제2 전극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상대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고체 전해질층을 포함한 제2 전고체 전지를 평가 시스템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및상기 제2 전고체 전지에 연결되어 상기 평가 조건에 따른 상기 제2 전고체 전지의 전기화학 및 전지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고체 전지와 상기 제2 전고체 전지 각각의 전기화학 및 전지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이온전도성 바인더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전도성 바인더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완충 소요 시간에 대한 비교, 충방전 속도 변화에 따른 충전 용량에 대한 비교, 전고체 전지의 내부 저항에 대한 비교, 전극활물질 로딩 레벨에 따른 충전 용량에 대한 비교, 구동 온도에 따른 충전 용량에 대한 비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이온전도성 바인더의 상대적인 성능을 평가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완충 소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완충 소요 시간의 측정은 정전류-정전압(CC-CV) 모드 충전 및 CC 모드 방전 순으로 진행하되, 충방전 전압 범위는 0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방전 속도 변화에 따른 충전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충방전 속도 변화에 따른 충전 용량의 측정은, 정전류-정전압(CC-CV) 모드 충전에서의 충방전 속도를 0
13 13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고체 전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내부 저항의 측정은, 주파수응답 분석기를 사용하여 10-1㎐ 내지 105㎐의 범위에서 교류 임피던스를 가하여 특정 온도에서의 전고체 전지 셀 내부의 면비저항을 측정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
14 14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활물질 로딩 레벨에 따른 충전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전극활물질 로딩 레벨에 따른 충전 용량의 측정은, 전극의 활물질 로딩 레벨을 2~20㎎/㎠ 내에서 조절하여 상기 전극의 최대 충전량 및 용량구현률을 측정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
15 15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구동 온도에 따른 충전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구동 온도에 따른 충전 용량의 측정은, 0
16 16
제7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전도성 바인더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 sulfonate)(PEDOT:PSS) 기반 다중성분 바인더, 리튬 폴리아크릴레이트(lithium polyacrylate, LiPAA), 리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lithium carboxymethyl cellulose, Li-CMC)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상기 전극활물질의 소재는, 흑연, 하드카본, 소프트카본,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산화환원그래핀, 카본섬유, 비정질탄소, 실리콘-탄소 복합체(SiC), 탄소층을 포함하는 전자전도성층이 코팅된 음극 소재, 및 이들의 혼합 조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방법
17 17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의 성능을 평가하는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시스템으로서,평가 시스템 하드웨어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제1 전고체 전지에 성능 평가를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여기서, 상기 제1 전고체 전지는 전극활물질과 이온전도성 바인더로 구성된 제1 전극 조성물, 상기 제1 전극 조성물로 형성된 제1 전극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상대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 사이의 고체 전해질층을 구비함-;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1 전고체 전지에 인가되는 신호나 상기 평가 시스템 하드웨어를 통해 상기 제1 전고체 전지에 제공되는 환경에 대한 평가 조건을 조정하는 평가조건설정부; 및상기 제1 전고체 전지에 연결되어 상기 평가 조건에 따른 상기 제1 전고체 전지의 전기화학 및 전지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시스템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구동부는 상기 평가 시스템 하드웨어의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전고체 전지에 성능 평가를 위한 신호를 인가하며,상기 제2 전고체 전지는, 상기 전극활물질과 비이온전도성 바인더로 구성된 제2 전극 조성물, 상기 제2 전극 조성물로 형성된 제2 전극과 마주하여 배치되는 상대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상대 전극 사이의 고체 전해질층을 포함하며,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2 전고체 전지에 연결되어 상기 평가 조건에 따른 상기 제2 전고체 전지의 전기화학 및 전지 특성을 측정하는,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시스템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측정부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고체 전지와 상기 제2 전고체 전지 각각의 전기화학 및 전지 특성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측정 정보는, 상기 제1 전고체 전지와 상기 제2 전고체 전지에 대한 완충 소요 시간, 충방전 속도 변화에 따른 충전 용량, 전고체 전지의 내부 저항, 전극활물질 로딩 레벨에 따른 충전 용량, 및 구동 온도에 따른 충전 용량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시스템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온전도성 바인더의 성능을 평가하는 바인더 평가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이온전도성 바인더 평가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230083742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부출연금사업(기관고유사업) ICT 소재·부품·장비 자립기술 및 도전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