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및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2893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코로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시료가 구비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 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나노입자부; 상기 반응기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도전성기판; 및 상기 반응기로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나노입자부는 산화철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금으로 이루어진 쉘부로 이루어지는 자성나노입자와, 상기 자성나노입자의 쉘부에 부착되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것인, 자성나노입자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을 포함한다.
Int. CL C12Q 1/70 (2006.01.01) C12Q 1/6825 (2018.01.01) G01N 27/327 (2006.01.01)
CPC C12Q 1/70(2013.01) C12Q 1/6825(2013.01) G01N 27/3275(2013.01) C12Q 2563/143(2013.01) C12Q 2563/155(2013.01) C12Q 2565/607(2013.01) C12Q 2531/11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94666 (2022.07.29)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04503 (2023.07.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94434   |   2021.12.31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7.2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영근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이주헌 서울특별시 송파구
3 박범철 서울특별시 성동구
4 박현수 서울특별시 성북구
5 소정욱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훈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가산동) ****호(강한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7.29 수리 (Accepted) 1-1-2022-0797494-5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코로나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키트로,자성나노입자와, 상기 자성나노입자의 표면에 부착되는 프라이머를 포함하고,상기 프라이머는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와 중합 효소 연쇄반응을 통하여 증폭산물을 형성하고, 상기 증폭산물이 형성되어 포집된 자성나노입자는 반복적인 전위 인가에 의하여 전기화학적신호가 증폭되어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기화학적신호는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전류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인,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인 것인,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HCoV-229E, HCoV-OC43, SARS-CoV, HCoV-NL63, HCoV-HKU1, MERS-CoV, COVID-19(SARS-CoV-2)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자성나노입자는 산화철로 이루어진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금으로 이루어진 쉘부로 이루어지는 자성나노입자를 포함하고,상기 프라이머는 5'-말단에 티올기(thiol) 및 아미노기(amino)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화합물로 개질된 것인,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자성나노입자의 평균 직경은 제1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쉘부의 평균 두께는 제2 길이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1 길이에 대하여 0
7 7
제5항에 있어서,상기 자성나노입자의 평균 직경은 제1 길이로 구비되고, 상기 쉘부의 평균 두께는 제2 길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길이는 170nm 내지 300nm이고, 상기 제2 길이는 15nm 내지 40nm인 것인,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8 8
제5항에 있어서,상기 자성나노입자는,산화철로 이루어진 코어부를 제조하고,상기 코어부의 표면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버퍼부를 구비시키고,상기 버퍼부의 외면에 아미노기(-NH2) 및 티올기(-SH)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관능화시킨 후, 금을 포함하는 쉘부를 형성시켜 자성나노입자를 제조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9 9
제1항에 있어서,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한 반응기;상기 반응기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도전성기판;상기 반응기 내에 구비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상기 반응기로 자기장을 인가하는 자기장인가부; 및 상기 도전성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을 3-전극 모듈로 이용하여 전기화학적신호를 측정하는 전기화학적 신호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자성나노입자와 상기 자성나노입자의 표면에 형성된 증폭산물은 상기 반응기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전극은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기판은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기준전극, 및 상기 작업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 밸런스를 조절하는 카운터전극(counter electrode)을 포함하는 3-전극 모듈로 수행되고,상기 제1 또는 제2 전극은 금(Au), 코발트(Co), 백금(Pt), 은(Ag),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탄소(Carbon)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상기 도전성 기판은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ZnO, SnO2, In2O3, CdSnO4,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기판 소재, 불소가 첨가됨 주석 산화물(FTO: fluorine-doped tin oxide) 및 알루미늄이 첨가된 아연 산화물(AZO: aluminumdoped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11 11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전기화학적 신호 측정부는 펄스 전압전류계(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 양극 벗김 전압전류계(anodic stripping voltammetry, ASV), 대시간 전류계 (chronoamperometry, CA), 순환 전압전류계(cyclic voltammetry), 네모파 전압전류계(square wave voltammetry, SWV), 및 임피던스계(impedanc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12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자기장인가부는 상기 도전성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응기 내로 1회 이상 가역적으로 자기장을 인가하고,상기 자기장인가부에 의하여 상기 자성나노입자를 상기 반응기의 개구부측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자성나노입자의 이동시키는 정도를 제어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13 13
표면에 프라이머가 부착된 자성나노입자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표면에 프라이머가 부착된 자성나노입자를 코로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시료 중에 첨가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수행하여 표면에 증폭산물을 갖는 자성나노입자를 얻는 단계;상기 표면에 증폭산물을 갖는 자성나노입자를 개구부가 구비된 반응기 중에 넣고, 상기 개구부를 도전성기판으로 덮고, 상기 도전성기판의 일측에서 상기 반응기 내로 제1 조건으로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상기 반응기 중으로 루세늄(Ru), 철(Fe), 은(Ag), 구리(Cu), 니켈(Ni), 카드뮴(Cd) 및 아연(Z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이온을 투입한 후 제2 조건으로 자기장을 인가하는 단계; 및상기 반응기 내에는 제1 및 제2 전극을 구비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도전성 기판을 함께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표면에 프라이머가 부착된 자성나노입자를 준비하는 단계는,산화철로 이루어진 코어부를 제조하고,상기 코어부의 표면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버퍼부를 구비시켜 예비나노입자를 제조하고,상기 버퍼부의 외면에 아미노기(-NH2) 및 티올기(-SH)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관능화시킨 후, 금을 포함하는 쉘부를 형성시켜 자성나노입자를 제조하고,상기 자성나노입자와 5'-말단에 티올기(thiol) 및 아미노기(-NH2)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화합물로 개질된 프라이머를 혼합하고, 염에이징(salt aging)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염에이징은 상기 자성나노입자와 상기 프라이머를 교반기에 넣고 혼합한 후, 제1 용액과 제2 용액을 5:1 내지 30:1의 부피비로 상기 교반기 중에 복수회 첨가하고, 초음파처리 하는 것을 포함하고,상기 제1 용액은 염화나트륨용액, 인산완충생리식염수, 및 초순수를 혼합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2 용액은 인산완충생리식염수,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odium dodecyl sulfate) 및 초순수를 혼합하여 구비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16 16
제13항에 있어서,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6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인 것인,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17 17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HCoV-229E, HCoV-OC43, SARS-CoV, HCoV-NL63, HCoV-HKU1, MERS-CoV, COVID-19(SARS-CoV-2)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18 18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전기화학적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에서,상기 제1 전극은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기판은 작업전극(working electrode)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기준전극, 및 상기 작업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 밸런스를 조절하는 카운터전극(counter electrode)을 포함하는 3-전극 모듈로 수행되고,상기 제1 또는 제2 전극은 금(Au), 코발트(Co), 백금(Pt), 은(Ag),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및 탄소(Carbon)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상기 도전성 기판은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ZnO, SnO2, In2O3, CdSnO4,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기판 소재, 불소가 첨가됨 주석 산화물(FTO: fluorine-doped tin oxide) 및 알루미늄이 첨가된 아연 산화물(AZO: aluminumdoped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전기화학적 신호 측정은 펄스 전압전류계(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 양극 벗김 전압전류계(anodic stripping voltammetry, ASV), 대시간 전류계 (chronoamperometry, CA), 순환 전압전류계(cyclic voltammetry), 네모파 전압전류계(square wave voltammetry, SWV), 및 임피던스계(impedanc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극은 Ag/AgCl을 포함하는 기준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Pt를 포함하는 카운터전극이고, 상기 도전성기판은 ITO를 포함하는 작업전극으로, 3-전극 모듈로 수행되고,상기 전기화학적 신호 측정은 펄스 전압전류계(differential pulse voltammetry, DPV)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출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04206331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금속 및 금속산화물 기반 항암 면역치료용 복합스캐폴드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장 유도 단방향 정렬 나노바이오 물질 3차원 구조 및 그의 바이오 압전 시스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양대학교 집단연구지원(R&D) 공항 탐지초파리 개발을 위한 바이오센서 기초연구실
4 교육부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BK21플러스사업(R&D) 바이오나노인텔리전스 교육연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