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장내 GLP-1 분비 촉진 및 염증 완화 효능을 가지는 아젤라산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2300305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 효능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장조직 세포막에 발현되는 GPCR인 Olfr544가 아젤라산의 결합으로 활성화되어 cAMP-PKA-CREB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 장내 GLP-1 분비를 촉진하고, 장내 염증을 완화하는 아젤라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젤라산(azelaic acid)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장내 GLP-1 분비 촉진 및 장내 염증 개선에 효과가 우수한 바, 항비만, 항당뇨 및 장내 건강 증진을 위한 식품소재, 의약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Int. CL A61K 31/194 (2006.01.01) A61P 1/00 (2006.01.01) A61P 3/04 (2006.01.01) A61P 3/10 (2006.01.01) A61P 9/00 (2006.01.01) A61P 9/12 (2006.01.01) A61P 1/16 (2006.01.01) A61P 29/00 (2023.01.01) A61P 35/00 (2006.01.01) A61P 25/28 (2006.01.01) A23L 33/10 (2022.01.01)
CPC A61K 31/194(2013.01) A61P 1/00(2013.01) A61P 3/04(2013.01) A61P 3/10(2013.01) A61P 9/00(2013.01) A61P 9/12(2013.01) A61P 1/16(2013.01) A61P 29/00(2013.01) A61P 35/00(2013.01) A61P 25/28(2013.01) A23L 33/10(2013.01) A23V 2002/00(2013.01) A23V 2250/02(2013.01) A23V 2200/332(2013.01) A23V 2200/328(2013.01) A23V 2200/326(2013.01) A23V 2200/32(2013.01) A23V 2200/308(2013.01) A23V 2200/32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37421 (2022.10.24)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60465 (2023.05.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142092   |   2021.10.22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10.24)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성준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정미영 서울특별시 성북구
3 고광표 서울특별시 서초구
4 우춘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10.24 수리 (Accepted) 1-1-2022-1120016-9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호르몬 분비 촉진 및/또는 장내 염증 완화용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아젤라산의 분자표적은 후각수용체인 Olfr5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장내 호르몬은 위장관(gut) 세포, 장내분비(enteroendocrine) 세포 및 GLP-1 분비 세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서 분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내 호르몬은 인크레틴 호르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인크레틴 호르몬은 GLP-1(glucagon-like peptide-1) 및/또는 이의 유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6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장내 대사질환은 비만, 당뇨병, 심혈관질환, 고혈압, 지방간 및 염증성 장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8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및 베체트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10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11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 뇌졸중, 중풍, 파킨슨씨병, 헌팅턴병, 피크병 및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13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대사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장내 대사질환은 비만, 당뇨병, 심혈관질환, 고혈압, 지방간 및 염증성 장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15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및 베체트병으로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및 베체트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17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8 18
아젤라산(azela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치매, 알츠하이머, 뇌졸중, 중풍, 파킨슨씨병, 헌팅턴병, 피크병 및 크로이츠펠트-야콥병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식품향기성분을 이용한 이소후각수용체의 에너지대사 및 세포노화 조절기능 연구
2 교육부 고려대학교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 천연향기 물질의 갈색/베이지색 지방세포 기능조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