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급속광열처리를 이용한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가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기반 가스센서용 부재, 가스센서용 부재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가스센서용 부재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344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가스센서용 부재, 이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금속산화물 및 금속 전구체가 포함된 고분자 나노섬유를 일차적으로 합성하고, 고온 산화열처리 과정을 통해 지지체 역할을 하는 고분자 산화물을 열분해하여 제거시키고, 금속산화물 전구체를 산화하여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합성한 뒤, 추후 급속광열처리를 통해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가 기능화된 소재를 이용한 가스센서용 부재,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기존의 장기간의 고온 및 환원가스 열처리가 필요한 엑솔루션 공정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급속광열처리를 활용하여 손쉽게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를 기능화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합성된 금속나노입자 촉매가 기능화된 1 차원의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는 매우 넓은 비표면적 및 기공구조, 그리고 매우 안정하게 활성화된 촉매특성을 바탕으로 극소량의 가스를 매우 높은 감도로 검출해 낼 수 있으며 동시에 장기적으로도 안정한 감도특성을 가져 효과적인 가스센서용 부재,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t. CL G01N 27/12 (2006.01.01) B82Y 30/00 (2017.01.01) B82Y 40/00 (2017.01.01)
CPC G01N 27/127(2013.01) G01N 27/126(2013.01) G01N 27/123(2013.01) G01N 27/128(2013.01) B82Y 30/00(2013.01) B82Y 40/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84490 (2022.07.08)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010592 (2023.01.1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10090828   |   2021.07.12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7.08)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일두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최성율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신의철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동하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차준회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성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 (논현동) 삼성빌딩 *층(피앤티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7.08 수리 (Accepted) 1-1-2022-0715494-53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2.08.1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1.31 수리 (Accepted) 4-1-2023-5023571-05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3.05.04 수리 (Accepted) 4-1-2023-511023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에 대한 급속광열처리 과정을 통해 표면상에 엑솔루션(exsolution)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이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은 상기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에 도핑되어 있던 금속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급속광열처리를 통해 금속산화물 나노섬유의 표면위로 용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도핑된 금속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금속이온의 중량 비율을 상기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대비 0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은 Pt, Au, Ag, Fe, Ni, Ti, Sn, Si, Al, Cu, Mg, Sc, V, Cr, Mn, Co, Zn, Sr, W, Rh, Ir, Ta, Sb, In, Pb, Ru 및 Pd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는 물,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dimethylformamide),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아세톤, 메탄올 및 에테르 중 적어도 하나의 용매에, 금속산화물 전구체, 금속 전구체 및 고분자를 용해시킨 전기방사 용액의 전기방사 및 산화열처리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이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의 직경은 50 nm 내지 2 μm의 범위에 포함되고, 길이가 1 내지 100 μm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는 다결정성의 나노섬유로, 미세한 나노입자로 구성된 1 차원 금속산화물 반도체 나노섬유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이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는 SnO2, ZnO, WO3, TiO2, In2O3, Zn2SnO4, MnO2, Fe2O3, Fe3O4, NiO, CuO, Co3O4, PdO, LaCoO3, NiCo2O4 및 Ag2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이온이 산화된 금속산화물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의 크기는 1 내지 20 nm의 범위에 포함되고,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이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구성하는 나노입자들과 결착하여 특정 가스와의 반응시 촉매 특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광열처리 과정은 100 내지 1000 nm의 범위에 포함되는 파장을 갖는 백색광원을 이용한 제논램프(Xenon lamp) 조사를 이용하며, 광펄스(Light Pulse)를 1 내지 100 회 사이에서, 켜짐 시간(On Time)을 1 내지 100 미리초 사이에서, 꺼짐 시간(Off Time)을 1 내지 100 미리초 사이에서 또는 전압(Voltage)을 0
11 11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에 대한 급속광열처리 과정을 통해 표면상에 엑솔루션(exsolution)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이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및전기저항 변화 특성의 평가를 위해, 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들이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가 코팅된 센서 전극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12 12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a) 금속산화물 전구체, 금속 전구체 및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시킨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전기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고분자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산화열처리를 통한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c) 상기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에 대한 급속광열처리를 통해, 표면상에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가 기능화된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상기 산화열처리를 통해 상기 고분자가 열분해되어 제거되면서, 상기 금속산화물 전구체 및 상기 금속 전구체가 산화하여 상기 금속이 도핑된 금속산화물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산화열처리를 위한 온도는 고분자 산화물을 완전히 열분해 시키기 위해 400 내지 700 ℃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급속광열처리는 광펄스(Light Pulse)를 1 내지 100 회 사이에서, 켜짐 시간(On Time)을 1 내지 100 미리초 사이에서, 꺼짐 시간(Off Time)을 1 내지 100 미리초 사이에서 또는 전압(Voltage)을 0
16 16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급속광열처리는 100 내지 1000 nm 사이의 파장을 갖는 백색광원을 이용한 제논램프(Xenon lamp) 조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
17 17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의 크기는 1 내지 20 nm의 범위에 포함되고,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가 금속산화물 나노섬유를 구성하는 나노입자들과 결착하여 특정 가스와의 반응시 촉매 특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
18 18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전구체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표면위에 형성되는 상기 금속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의 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
19 19
제12항에 있어서,(d)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를 전기저항 변화 특성의 평가를 위한 센서 전극 위에 코팅하여 가스센서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가스센서는 상기 엑솔루션 금속나노입자 촉매가 기능화된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를 통한 상기 센서 전극의 저항 변화를 이용하여 NOx, SOx CH3COCH3, H2S 및 C7H8 중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감지소재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초고밀도 나노섬유 얀 기반 멀티모달 가스센서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