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멀티 모달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300629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멀티 모달 센서는 패치에 어레이되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되, 심전도(ECG)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싱 겔로 이루어진 제1 센서, 혈압(BP)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싱 겔과 기계적 근육도(MMG)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싱 겔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센서, 및 근전도(EMG)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싱 겔로 이루어진 제3 센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생체 신호를 동일 위치에서 동시에 측정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t. CL A61B 5/33 (2021.01.01) A61B 5/28 (2021.01.01) A61B 5/021 (2006.01.01) A61B 5/22 (2006.01.01) A61B 5/296 (2021.01.01) A61B 5/259 (2021.01.01) A61B 5/263 (2021.01.01)
CPC A61B 5/33(2013.01) A61B 5/28(2013.01) A61B 5/021(2013.01) A61B 5/224(2013.01) A61B 5/296(2013.01) A61B 5/259(2013.01) A61B 5/263(2013.01) A61B 2562/1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20572 (2022.02.17)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23627 (2023.08.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02.17)
심사청구항수 2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창수 서울특별시 용산구
2 전경용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형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길 **, 광성빌딩 **층 (역삼동)(케이엘피특허법률사무소)
2 김종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길 **, 광성빌딩 **층 (역삼동)(케이엘피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2.17 수리 (Accepted) 1-1-2022-0177530-3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3.04.1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3.06.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3-0117509-49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3.06.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3-0591968-09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3.08.09 1-1-2023-0877933-95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3.08.09 수리 (Accepted) 1-1-2023-0877918-1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패치에 어레이되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되, 심전도(ECG)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싱 겔로 이루어진 제1 센서; 혈압(BP)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싱 겔과 기계적 근육도(MMG)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싱 겔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센서; 및 근전도(EMG)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싱 겔로 이루어진 제3 센서;를 포함하는 멀티 모달 센서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서는, 하나 이상의 제1 센싱 겔을 포함하되,상기 패치의 일면에 배열된 접지(G) 전극체가 삽입된 제1 센싱 겔과 (+)전극체가 삽입된 제1 센싱 겔 및, 상기 패치의 타 면에 배열된 (-)전극체가 삽입된 제1 센싱 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센서의 상기 혈압(BP)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센싱 겔과 상기 기계적 근육도(MMG)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싱 겔은,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돌기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돌기는, 원기둥, 다각기둥, 원뿔, 타원뿔, 다각뿔, 원뿔대, 타원뿔대, 다각뿔대, 반구, 계층적(Hierarchical) 원뿔, 계층적 타원뿔, 계층적 다각뿔, 계층적 원뿔대, 계층적 타원뿔대, 계층적 다각뿔대, 계층적 반구, 끝 잘린(Truncated) 원뿔, 끝 잘린 타원뿔, 끝 잘린 다각뿔, 끝 잘린 원뿔대, 끝 잘린 타원뿔대, 끝 잘린 다각뿔대, 끝 잘린 반구 등 다양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기계적 근육도(MMG)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싱 겔은,상기 돌기가 형성된 일면에 전도성이 있는 물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기계적 근육도(MMG)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싱 겔은,타면에 접촉돌기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기계적 근육도(MMG)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센싱 겔은,전극체로, 탄소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전극체는 전극의 형태가 교차형 (interdigit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싱 겔은, 절연물질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에 가소제 및 이온성 액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싱 겔은,전도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센싱 겔은,압전물질에 가소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압전 물질은,폴리비닐 플로라이드 트리플루오르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 PVDF-TrFE, PT),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트리오푸루오르 에틸렌-클로로 풀로오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chlorofluoroethylene, PVDF-TrFE-CFE),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13 1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3 센서는, 하나 이상의 제1 센싱 겔을 포함하되,상기 패치의 일 면에 나란히 배열된 (+)전극체가 삽입된 제1 센싱 겔, 접지(G) 전극체가 삽입된 제1 센싱 겔 및 (-)전극체가 삽입된 제1 센싱 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14 1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제3 센서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중 근육이 수축되는 동안 생성된 근전도(EMG) 및 기계근조도(MMG) 신호와 동시에 변경되는 혈압(BP) 및 심전도(ECG) 신호에서 비롯된 두 가지 위상 시간차(Dtbe: BP 및 ECG, Dtem: ECG 및 MMG)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
15 15
제1 센싱 겔을 제조하는 단계;제2 센싱 겔을 제조하는 단계;상기 제1 센싱 겔 및 상기 제2 센싱 겔의 표면 개질에 의해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1 센싱 겔 및 상기 제2 센싱 겔에 전극체를 삽입하는 단계; 및,전극체가 삽입된 상기 제1 센싱 겔과 상기 제2 센싱 겔을 배열하여 센서 모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모달 센서의 제조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돌기는, 원뿔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의 제조 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싱 겔은 심전도(ECG)를 측정하는 제1 센서, 혈압(BP)를 측정하는 제2 센서, 근전도(EMG)를 측정하는 제3 센서로 구현되되,상기 제2 센싱 겔은 기계적 근육도(MMG)를 측정하는 제2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의 제조 방법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 2센서는 상기 제1 센싱 겔과 제2 센싱 겔이 적층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의 제조 방법
19 19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서와 제3 센서의 제1 센싱 겔은,절연물질에 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하되,전도성 고분자와 절연물질은 0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절연물질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에 가소제 및 이온성 액체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의 제조 방법
21 21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2 센싱 겔은,압전물질과 가소제를 혼합하되,압전물질과 가소제의 중량비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의 제조 방법
22 22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압전 물질은,폴리비닐 플로라이드 트리플루오르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 PVDF-TrFE, PT), 폴리플루오린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트리오푸루오르 에틸렌-클로로 풀로오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chlorofluoroethylene, PVDF-TrFE-CFE),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의 제조 방법
23 23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는 대상체에 부착되는 일면이 등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원뿔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모달 센서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후속연구 기계적수용기, 이온채널, 신경신호, 뇌인지의 통합적 모사기반 지능형 인공촉각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