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도플러 오차에 강인한 저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 기술번호 : KST202301062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저궤도 위성 환경을 포함한 고속이동체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저전력 광대역 전송 장치에서 로라(LoRa) 기술의 전송 방식과 유사한 처프(chirp) 대역 확산 기법을 이용하는, 도플러 오차에 강인한 저전력 전송 장치 및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저전력 전송 장치는, 입력되는 메시지 비트를 부호화하는 인코딩 블록, 부호화된 데이터를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빙 블록, 및 처프 확산 스펙트럼 기법으로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 블록을 포함하고, 변조된 신호를 포함한 페이로드가 프리앰블과 함께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때, 프리앰블의 패턴은 연속적인 업처프 심볼과 연속적인 다운처프 심볼이 대칭적인 길이로 존재하는 구조를 가진다.
Int. CL H04L 27/10 (2006.01.01) H04L 1/00 (2006.01.01) H04W 84/06 (2019.01.01) H04W 4/70 (2018.01.01)
CPC H04L 27/103(2013.01) H04L 1/0071(2013.01) H04L 1/0057(2013.01) H04L 1/0059(2013.01) H04W 84/06(2013.01) H04W 4/70(2013.01) Y10S 367/9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060105 (2022.05.17)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60530 (2023.11.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판수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강진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중빈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유준규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임경래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정동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7 정수엽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05.17 수리 (Accepted) 1-1-2022-0520442-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저궤도 위성 환경을 포함한 고속 이동체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저전력 전송 장치로서,입력되는 메시지 비트를 부호화하는 인코딩 블록;부호화된 데이터를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빙 블록; 및처프(chirp) 확산 스펙트럼 기법으로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 블록을 포함하고,변조된 신호를 포함한 페이로드는 프리앰블과 함께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전송되며,상기 프리앰블의 패턴은 연속적인 업처프(upchirp) 심볼과 연속적인 다운처프(downchirp) 심볼이 대칭적인 길이로 존재하는 구조를 가지는,저전력 전송 장치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외부로 전송되는 송신 신호는 상기 프리앰블 및 상기 페이로드 사이에 레퍼런스 심볼을 가진 버스트 구조를 가지는, 저전력 전송 장치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은, 채널코딩된 데이터 블록의 각 4+CR(coding rate) 비트의 SF(spreading factor) 개에 대해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수행하며,상기 SF는 최하위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와 최상위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 간의 행-열 심볼의 열 길이에 대응하고,상기 4+CR 비트는 상기 행-열 심볼의 행 길이에 대응하는, 저전력 전송 장치
4 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의 출력은 SF 비트씩 묶여 (4+CR)개의 LoRa 심볼에 매핑되며, 여기서 상기 인터리빙의 쓰기(write) 과정을 대각선 방향으로 처리하고, 읽기(read) 과정을 세로 방향으로 처리하여 상기 출력의 코드워드의 비트들이 LoRa 심볼로 매핑되는 SF 비트 묶음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는, 저전력 전송 장치
5 5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의 출력에 그레이 인덱싱 기법을 적용하며,상기 그레이 인덱싱은 인접된 심볼 인덱스에 해당되는 SF 비트들 간의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가 1이 되도록 심볼 매핑을 해주는 것을 포함하는, 저전력 전송 장치
6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은 상기 SF가 커짐에 따라 상기 변조 블록에서 출력되는 비트열 간의 최소 거리(minimum distance)를 최소화하는 그레이 매핑 기법을 적용하는, 저전력 전송 장치
7 7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은 대각 인터리버(diagonal interleaver), 행-열 나선형 비트 인터리버(row-column helicoidal bit interleaver), 블록 인터리버(block interleaver), 순환 쉬프트 인터리버(cyclic shift interleaver), 헬리칼 인터리버(helical interleaver) 및 랜덤 인터리버(random interleav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저전력 전송 장치
8 8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인코딩 블록은 해밍코드를 이용하는 해밍 인코딩 블록이나 길쌈부호를 이용하는 인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저전력 전송 장치
9 9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인코딩 블록과 상기 인터리빙 블록 사이에 화이트닝 블록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이트닝 블록은 인코딩 과정에서 발생한 비트간 상관성(correlation)을 제거하는, 저전력 전송 장치
10 10
청구항 9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과 상기 변조 블록 사이에 그레이 인덱싱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그레이 인덱싱 블록은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심볼 에러로 인한 비트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심볼을 생성하는, 저전력 전송 장치
11 11
저궤도 위성 환경을 포함한 고속 이동체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저전력 통신 장치로서,복조 모듈 및 디코딩 모듈을 구비하는 수신단을 포함하고,상기 복조 모듈은 버스트 검출 및 도플러 주파수 검출을 위한 상관기를 구비하고,상기 상관기는 업처프 FFT 블록, 제1 가산기 및 제1 ABS 블록을 구비한 제1 직렬 구조,다운처프 FFT 블록, 제2 가산기 및 제2 ABS 블록을 구비하는 제2 직렬 구조,상기 제1 직렬 구조와 상기 제2 직렬 구조가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최대값 선택 블록을 구비하고,상기 최대값 선택 블록은 상기 수신단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I(in-phase)/Q(quadrature) 샘플 입력의 심볼들에서 최대값과 상기 최대값의 위치를 결정하는, 통신 장치
1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제1 가산기는 상기 업처프 FFT 블록의 출력에서 상기 제1 ABS 블록의 출력을 뺀 값을 상기 제1 ABS 블록으로 다시 입력하고, 상기 제2 가산기는 상기 다운처프 FFT 블록의 출력에서 상기 제2 ABS 블록의 출력을 뺀 값을 상기 제2 ABS 블록으로 다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3 13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수신단의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는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 사이에 레퍼런스 심볼을 가진 버스트 구조를 가지는, 통신 장치
14 14
청구항 11에 있어서,인코딩 모듈과 변조 모듈을 구비하는 송신단을 더 포함하며,상기 송신단은,입력되는 메시지 비트를 부호화하는 인코딩 블록;부호화된 데이터를 인터리빙하는 인터리빙 블록; 및처프(chirp) 확산 스펙트럼 기법으로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 블록을 포함하고,상기 송신단을 통해 외부로 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프리앰블의 패턴은 연속적인 업처프(upchirp) 심볼과 연속적인 다운처프(downchirp) 심볼이 대칭적인 길이로 존재하는 구조를 가지는, 통신 장치
15 15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은, 채널코딩된 데이터 블록의 각 4+CR(coding rate) 비트의 SF(spreading factor) 개에 대해 인터리빙(interleaving)을 수행하며,상기 SF는 최하위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와 최상위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 간의 행-열 심볼의 열 길이에 대응하고, 상기 4+CR 비트는 상기 행-열 심볼의 행 길이에 대응하는, 통신 장치
16 16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은 그 출력이 SF 비트씩 묶여 (4+CR)개의 LoRa 심볼에 매핑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인터리빙 블록은 상기 인터리빙의 쓰기(write) 과정을 대각선 방향으로 처리하고 읽기(read) 과정을 세로 방향으로 처리하여 상기 출력의 코드워드의 비트들이 LoRa 심볼로 매핑되는 SF 비트 묶음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달라지도록 동작하는, 통신 장치
17 17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은 그 출력에 그레이 인덱싱 기법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그레이 인덱싱은 인접된 심볼 인덱스에 해당되는 SF 비트들 간의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가 1이 되도록 심볼 매핑을 해주는 것을 포함하고,상기 인터리빙 블록은 상기 SF가 커짐에 따라 상기 변조 블록에서 출력되는 비트열 간의 최소 거리(minimum distance)를 최소화하는, 통신 장치
18 18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인코딩 블록은 해밍코드를 이용하는 해밍 인코딩 블록이나 길쌈부호를 이용하는 인코딩 블록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9 19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인코딩 블록과 상기 인터리빙 블록 사이에 화이트닝 블록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화이트닝 블록은 인코딩 과정에서 발생한 비트간 상관성(correlation)을 제거하는, 통신 장치
20 20
청구항 19에 있어서,상기 인터리빙 블록과 상기 변조 블록 사이에 그레이 인덱싱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그레이 인덱싱 블록은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심볼 에러로 인한 비트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한 심볼을 생성하는, 통신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저궤도 초소형위성(10kg급) 기반 글로벌 IoT 서비스를 위한 저전력 위성다중액세스 핵심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