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광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4061893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광섬유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광섬유 제조장치는 전기로, 전기로 내에 위치하는 충진물 주입부 전기로의 일측 측벽에 형성되며, 충진물 주입부와 연결되는 공정 가스 주입구, 상기 전기로의 타측 측벽에 형성되는 광섬유 출입구 및 전기로 외부에 위치하는 광섬유 권취부를 구비함으로써 공정 중 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광섬유의 공기홀 내부를 완전히 충진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의 제조방법은 공기홀 광섬유의 일측을 용융된 충진물과 접촉하도록 충진물 용기 내에 배치하고, 가압 챔버를 통해 압력을 가하되, 압력을 조절하면서 충진물을 광섬유의 공기홀 내부로 침투시킴으로써 충진홀 광섬유의 복굴절 크기 및 복굴절의 온도 민감도를 조절하여 적용 분야에 따라 적합한 복굴절 특성을 가지는 광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광섬유 센서 또는 전기 광학 소자 등에 응용할 수 있다.
Int. CL C03B 37/027 (2006.01) G02B 6/00 (2006.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20063485 (2012.06.14)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1335406-0000 (2013.11.26)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3121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06.14)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원택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김복현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3 이승호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광역시 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6.14 수리 (Accepted) 1-1-2012-0471782-06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3.05.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3.06.07 수리 (Accepted) 9-1-2013-0044363-73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07.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498130-16
5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3.09.17 수리 (Accepted) 1-1-2013-0853446-64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3.10.1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3-0926678-39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3.10.14 수리 (Accepted) 1-1-2013-0926662-10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11.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799514-6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전기로;상기 전기로 내에 위치하는 충진물 주입부;상기 전기로의 일측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충진물 주입부와 연결되는 공정 가스 주입구; 상기 전기로의 타측 측벽에 형성되는 광섬유 출입구; 및상기 전기로의 외부에 위치하는 광섬유 권취부를 포함하고,상기 충진물 주입부는,장착홀 및 상기 장착홀을 둘러싸는 가스킷이 구비된 광섬유 장착부;상기 광섬유 장착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충진물 용기; 및상기 충진물 용기 하부에 배치되는 용기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제조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진물 주입부는 가압 챔버인 광섬유 제조장치
3 3
삭제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용기 높이 조절부는 톱니 구비 장치를 이용하여 승강되는 광섬유 제조장치
5 5
전기로; 상기 전기로 내에 위치하며, 충진물 용기를 포함하는 가압 챔버; 상기 전기로의 일측 측벽에 형성되는 공정 가스 주입구; 상기 전기로의 타측 측벽에 형성되는 광섬유 출입구; 및 상기 전기로 외부에 위치하는 광섬유 권취부를 포함하는 광섬유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광섬유 제조장치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공기홀을 가지는 공기홀 광섬유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충진물 용기 내에 고형의 충진물을 배치하고, 공정 가스 주입구를 통해 공정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상기 전기로 내부를 승온하여 상기 고형의 충진물을 용융하는 단계;상기 공기홀 광섬유의 일측을 상기 용융된 충진물과 접촉하도록 상기 충진물 용기 내에 배치하고, 상기 가압 챔버를 통해 제1 압력을 가하여 상기 충진물을 상기 공기홀 광섬유의 공기홀 내부로 침투시키는 단계; 및제2 압력을 가하여 상기 광섬유 출입구를 통해 상기 충진물이 침투된 공기홀 광섬유를 외부로 반출 및 냉각시켜 충진홀 광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제2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광섬유의 복굴절을 제어하는 광섬유의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 압력은 1×10-12 bar ~ 120 bar인 광섬유의 제조방법
7 7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압력은 7 bar ~ 120 bar이고, 상기 제2 압력은 1×10-12 bar ~ 7 bar인 광섬유의 제조방법
8 8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압력은 7 bar ~ 30 bar이고, 상기 제2 압력은 30 bar ~ 120 bar인 광섬유의 제조방법
9 9
제5항에 있어서,상기 충진물 용기 내에 고형의 충진물을 배치하고, 공정 가스 주입구를 통해 공정 가스를 주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가압 챔버 내의 산화성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의 제조방법
10 10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공정 가스는 비 산화성 가스인 광섬유의 제조방법
11 11
제5항에 있어서,상기 공기홀 광섬유는 유리 광섬유인 광섬유의 제조방법
12 12
제5항에 있어서,상기 충진물은 금속 또는 고분자 물질인 광섬유의 제조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은 Au, Pt, Ag, Ni, Cu, In, Sn, Pb, Cr, Mn, Zn, Ga, Al, Bi, Sb, Ti, Se, V, Fe, Co, Zr, Nb, Mo, Te, Ru, Rh, Pd, Cd, W, Tl, Po, Si, P, S, Ge, As, Se 및 T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인 광섬유의 제조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이소프렌(polyisopren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폴리페닐렌옥사이드 (polyphenylene oxid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페놀(polypheno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 terephthalate) 및 아크니로니트릴 부타지엔 스틸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광섬유의 제조방법
15 15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홀은 클래딩 영역에 형성되는 광섬유의 제조방법
16 16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광주과학기술원 기술혁신사업 고출력저손실광섬유레이저공통핵심기술개발(1/5)
2 교육과학기술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천기술개발사업 특수 대기 환경위해물질의 초고속,고감도,실시간 광학적 검출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