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단백질 활성도 및 상호작용의 동시 측정방법

  • 기술번호 : KST2015009173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단백질 활성도 및 상호작용의 동시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타겟 효소 단백질과 기질단백질 사이의 효소 활성도 및 단백질 상호작용을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형광물질을 표지함으로써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신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겟 효소 단백질과 기질단백질 사이의 활성도 및 상호작용은 형광물질로 표지된 효소 및 단백질 어레이를 이용하여 동시에 분석될 수 있다.
Int. CL G01N 33/68 (2006.01) C12Q 1/56 (2006.01) G01N 33/58 (2006.01) G01N 33/52 (2006.01)
CPC G01N 33/68(2013.01) G01N 33/68(2013.01) G01N 33/68(2013.01) G01N 33/68(2013.01) G01N 33/6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10117129 (2011.11.10)
출원인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333110-0000 (2013.11.20)
공개번호/일자 10-2013-0051785 (2013.05.2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1127)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1.11.10)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하권수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우석로***번길 *
2 정세희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후석로***번길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문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 ***호 제니스국제특허법률사무소 (봉천동, 청동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강원도 춘천시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1.11.10 수리 (Accepted) 1-1-2011-0889608-72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1.11.15 수리 (Accepted) 1-1-2011-0901479-51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1.12.13 수리 (Accepted) 4-1-2011-5249875-98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2.03.08 수리 (Accepted) 4-1-2012-5049179-27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2.08.1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2.09.21 수리 (Accepted) 9-1-2012-0073389-94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06.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395614-64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3.08.09 수리 (Accepted) 1-1-2013-0724318-36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3.08.0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3-0724319-82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11.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784441-86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05 수리 (Accepted) 4-1-2019-5230938-2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단백질 효소 활성도 및 단백질 상호작용의 동시 측정방법:a) 아미노 잔기 말단을 갖는 알콕시실란을 기판의 표면에 도입하는 단계;b) 상기 기판의 표면에 천공된 테이프를 부착하여 다수의 스폿(spot)이 형성된 어레이(array) 칩을 제조하는 단계;c) 상기 스폿의 단부에 타겟 효소의 기질 또는 상호작용 단백질을 도입하는 단계;d) 형광물질로 표지된 타겟 효소와 CaCl2, DTT 및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5-biotinamidopentylamine)을 함유하는 반응용액을 상기 기질 또는 상호작용 단백질 상에 적하하여 기질 또는 상호작용 단백질과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의 아민교환반응(transamindation)시키는 단계;e) 상기 아민교환반응 생성물의 말단부에 위치한 바이오틴에 상기 d)단계의 형광물질과 다른 종류의 형광물질로 표지된 스트렙트아비딘 또는 아비딘을 도입하는 단계; 및f) 상기 d)와 e) 단계에서 표지된 두 종류의 형광물질을 분석함으로써 타겟 효소 활성도 및 상호작용을 동시에 측정하는 단계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알콜시실란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minopropyltrimethoxysil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효소 활성도 및 단백질 상호작용의 동시 측정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타겟 효소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2이고, 기질 또는 상호작용 단백질은 피브리노겐(fibrinogen), 피브로넥틴(fibronectin), α-시누클레인(α-synuclein), 레티노블라스토마(retinoblastoma), 알돌라아제 A(aldolase A), 그랜칼신(grancalcin), S100A7(S100 calcium binding protein A7),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Bcl-2(B-cell lymphoma 2), SMAD2(Sma- and Mad-related protein 2), 아넥신 A1 (annexin A1), Rac1(Ras-related C3 botulinum toxin substrate 1), GST(gluatathione S-transferase), E-카드헤린(E-cadherin), G-액틴(G-actin) 및 HSA(human serum albumi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효소 활성도 및 단백질 상호작용의 동시 측정방법
4 4
삭제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기질 또는 상호작용 단백질을 도입한 후 단백질이 결합하지 않은 스폿의 빈 부분을 블로킹(blocking) 용액으로 처리하여 블로킹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효소 활성도 및 단백질 상호작용의 동시 측정방법
6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및 e) 단계의 형광물질은 싸이3(Cy3), 싸이5(Cy5), 알렉사(Alexa), 보디피(BODIPY), 로다민(Rhodamine) 및 큐도트(Q-do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며, 서로 다른 종류를 사용함으로써 두 가지 종류의 형광채널을 통해 형광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효소 활성도 및 단백질 상호작용의 동시 측정방법
7 7
삭제
8 8
삭제
9 9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바이오신소재융복합연구사업단/지역거점연구단육성 사업 혈관질환 연구·진단용 바이오칩 개발
2 한국과학재단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 생체상호 단백질 라이브러리 세포주 기반 융합사이토믹스 기술개발 및 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