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06375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에서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예는, 방송 컨텐츠와 부가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송 컨텐츠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질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객체를 독출하고, 독출된 대상 객체를 1차 분석하여 상기 질문 데이터의 주제를 독출하는 단계; 소셜 미디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소셜 미디어로부터 상기 주제와 관련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방송 신호 내 부가 정보를 상기 주제에 근거하여 2차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주제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확장되고 변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Int. CL H04N 21/236 (2011.01) H04N 21/25 (201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00134032 (2010.12.2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2-0091496 (2012.08.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류법모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장명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신지애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현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5 최미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임수종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7 이충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8 허정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9 오효정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10 이창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11 윤여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12 최윤재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13 박상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우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 *층(역삼동, 중평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0.12.23 수리 (Accepted) 1-1-2010-0854157-38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방송 컨텐츠와 부가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방송 컨텐츠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질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객체를 독출하고, 독출된 대상 객체를 1차 분석하여 상기 질문 데이터의 주제를 독출하는 단계;소셜 미디어를 검색하고, 검색된 소셜 미디어로부터 상기 주제와 관련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상기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방송 신호 내 부가 정보를 상기 주제에 근거하여 2차 분석하는 단계; 및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주제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확장되고 변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검색된 소셜 미디어를 목록화하여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제공된 소셜 미디어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셜 미디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주제는, 상기 독출된 대상 객체들의 타입, 유형,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제약 조건, 응답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판단하여 독출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는, 클라우드 또는 서버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질문 및 응답 데이터의 형식은, 텍스트(text), 음성(voice or audio), 제스쳐(gesture), 비디오(video), 이미지(image)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두 개 이상이 조합된 대화 형식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6 6
제2항에 있어서,상기 질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은, 리모컨(remote controller), 로컬 키(local key), 키보드(keyboard),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 스마트 폰(smart phone), 마우스(mouse), 터치 패드(touch pad), 제스쳐 입력 수단, 포인터(pointer)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7 7
제2항에 있어서,상기 소셜 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독출된 주제와 관련된 이슈, 평판 정보, 및 기타 상기 주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단어를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8 8
제2항에 있어서,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소셜 미디어 데이터는, 날짜(date), 요일(day), 시간(time), 이슈(issue), 장르(genre), 형식(forma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10 10
방송 컨텐츠와 부가 정보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방송 컨텐츠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질문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질문 데이터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및상기 질문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상 객체를 독출하고, 독출된 대상 객체를 1차 분석하고, 상기 1차 분석을 통해 독출된 대상 객체로부터 질문 데이터의 주제를 독출하는 분석부와,소셜 미디어를 검색하는 검색부와,검색된 소셜 미디어로부터 상기 독출된 주제와 관련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된 부가 정보를 상기 주제를 기초로 2차 분석하여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주제에 대응되는 응답 데이터를 구성하여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소셜 미디어를 목록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제공된 소셜 미디어 목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소셜 미디어를 선택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서버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13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분석부는, 상기 독출된 대상 객체들의 타입, 유형,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제약 조건, 응답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판단하여 상기 주제를 독출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14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질문 및 응답 데이터의 형식은, 텍스트(text), 음성(voice or audio), 제스쳐(gesture), 비디오(video), 이미지(image)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두 개 이상이 조합된 대화 형식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15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질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은, 리모컨(remote controller), 로컬 키(local key), 키보드(keyboard),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 스마트 폰(smart phone), 마우스(mouse), 터치 패드(touch pad), 제스쳐 입력 수단, 포인터(pointer)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16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소셜 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독출된 주제와 관련된 이슈, 평판 정보, 및 기타 상기 주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단어를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17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서버는,상기 수집된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저장부는, 상기 소셜 미디어 데이터는, 날짜(date), 요일(day), 시간(time), 이슈(issue), 장르(genre), 형식(forma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20167153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2167153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웹 QA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