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젤형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한 복합전극과 이차전지 및 그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20606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젤형 고분자전해질을 이용한 복합전극과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온 전도도, 전극과의 접착력, 유기용매 전해질과의 호환성, 기계적 강도, 침투성 등 우수한 특성을 모두 구비하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및 이러한 젤형 고분자 전해질을 양극과 음극 표면에 도포하여 전극 기공 내에는 고분자 전해질이 침투되고 전극 표면에는 얇은 고분자 전해질 막이 형성되도록 한 복합전극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전극과 분리막을 적층시켜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튬 이온전지와 리튬 고분자전지의 장점을 살린 리튬 이차전지로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전지 대형화에 유리하며, 에너지밀도, 싸이클수명, 저온 및 고온특성, 고율 충방전특성, 안정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Int. CL H01M 10/0565 (2010.01) H01M 10/058 (2010.01)
CPC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H01M 10/056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00011005 (2000.03.06)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0324626-0000 (2002.02.01)
공개번호/일자 10-2001-0086972 (2001.09.1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020227)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0.03.06)
심사청구항수 2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경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동작구
2 조병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은평구
3 조원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노원구
4 김형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강북구
5 김운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관악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장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 *층~*층 (논현동, 비너스빌딩)(박장원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0.03.06 수리 (Accepted) 1-1-2000-0041562-24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2.01.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2-0010646-61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2.03.02 수리 (Accepted) 4-1-2002-0020822-81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9.12.15 수리 (Accepted) 4-1-2009-5247056-16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2.19 수리 (Accepted) 4-1-2014-5022002-6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고분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 고분자 5 내지 90중량%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 고분자 및 PMMA계 고분자 중에서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 고분자 5 내지 80 중량%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계 고분자 및 PVdF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I 고분자 5 내지 80중량%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물은 총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AN계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로니트릴-메틸아크릴레이트) 코포리머 중 하나이고,

상기 PMMA계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코-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코-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고,

상기 PVdF계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코폴리머 중 하나이며,

상기 PVC계 고분자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코-아크릴로니트릴) 중 하나인 젤형 고분자 전해질

3 3

제1항에 있어서, 접착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PAN계 또는 PMMA계 고분자의 비율을 40% 이상으로 하고, 유기용매 전해질과의 호환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PMMA계 또는 PVdF계 고분자의 비율을 40% 이상으로 하며,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PVdF계 또는 PVC계 고분자의 비율을 40%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은 가소제 또는 유기용매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메틸 아세트아미드(dimethyl acetamide, DMA), N, N-디메틸포름아미드(N, N-diemthylformamide, DMF),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N), 부틸렌 카보네이트(butylene carbonate, BC),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 전해질은 리튬염이 용해된 에틸렌 카보네이트-디메틸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dimethyl carbonate; EC-DMC) 용액, 리튬염이 용해된 에틸렌 카보네이트-디에틸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diethyl carbonate; EC-DEC) 용액, 리튬염이 용해된 에틸렌 카보네이트-에틸 메틸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ethyl methyl carbonate; EC-EMC) 용액 및 이들 용액에 저온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MA(methyl acetate), MP(methyl propionate), EA(ethyl acetate), EP(ethyl propionate), PC(propylene carbonate), BC(butylene carbonate),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은 젤형 고분자 전해질 중량의 20 중량% 이하로 충진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SiO2, TiO2, BaTiO3, BaO, MgO, Al2O3, LiAlO2, Li2O, Na2O, Li3N, Li2CO3, Li(OH), LiF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9 9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고분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 고분자 5 내지 90중량%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 고분자 및 PMMA계 고분자 중에서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 고분자 5 내지 80 중량%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계 고분자 및 PVdF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I 고분자 5 내지 80중량%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물은 총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양극 또는 음극의 기공 안에 침투되어 있고, 상기 양극 또는 음극의 표면에는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1 ㎛ ∼ 20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전극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LiCoO2, LiNiO2, LiCoNiO2, LiMn2O4, LiMnO2, V2O5 및 V6O13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복합전극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음극은 흑연, 코크스, 하드카본, 주석산화물, 이 물질들의 리튬화합물, 리튬 및 리튬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되는 복합전극

12 12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양극의 기공 안에 침투되어 있고, 상기 양극의 표면에는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1 ㎛ ∼ 20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양극과, 고분자 전해질,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및 부직포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분리막과,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음극의 기공 안에 침투되어 있고, 상기 음극의 표면에는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1 ㎛ ∼ 20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음극이 복합음극/분리막/복합양극/분리막/복합음극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복합음극 및 복합양극에 연결된 단자 및

상기 적층체를 둘러싸는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

13 13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양극의 기공 안에 침투되어 있고, 상기 양극의 표면에는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1 ㎛ ∼ 20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양극과, 고분자 전해질,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및 부직포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분리막과,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음극의 기공 안에 침투되어 있고, 상기 음극의 표면에는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1 ㎛ ∼ 20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음극이 복합양극/분리막/복합음극/분리막/복합양극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와,

상기 복합음극 및 복합양극에 연결된 단자 및

상기 적층체를 둘러싸는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

14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전해질은 PEO계의 순수 고분자전해질, PAN계, PVdF계 및 PMMA계 등의 젤형고분자전해질, PEGDA계 및 PEGDMA계 등의 자외선경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이들이 블렌딩된 고분자전해질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리튬 이차전지

15 15

PAN계 고분자 및 PMMA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 고분자 5 내지 90중량%와, PVdF계 고분자 및 PMMA계 고분자 중에서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 고분자 5 내지 80중량%와, PVC계 고분자 및 PVdF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I 고분자 5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혼합물 100중량%와, 가소제, 유기용매 전해질 또는 충진제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80 ∼ 18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블렌딩하고,

블렌딩한 혼합물의 점도가 수천 ∼ 수만 cps 정도의 점도가 얻어지면 상기 혼합물을 캐스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의 1 내지 20배의 중량으로 첨가하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 전해질은 상기 고분자 혼합물의 1 내지 20배의 중량으로 첨가하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18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상기 고분자 혼합물의 20중량% 이하로 첨가하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19 19

PAN계 고분자 및 PMMA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 고분자 5 내지 90중량%와, PVdF계 고분자 및 PMMA계 고분자 중에서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 고분자 5 내지 80중량%와, PVC계 고분자 및 PVdF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I 고분자 5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혼합물 100중량%와, 가소제, 리튬염이 함유되지 않은 유기용매 전해질 또는 충진제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80 ∼ 18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블렌딩하고,

블렌딩한 혼합물의 점도가 수천 ∼ 수만 cps 정도의 점도가 얻어지면 상기 혼합물을 캐스팅하고,

캐스팅된 상기 혼합물에 리튬염이 용해되어 있는 유기용매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제조방법

20 20

이차전지용 전극 표면에 리튬염이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유기용매 전해질을 함유한 젤형 고분자 전해질 혼합용액 또는 유기용매만 함유한 고분자 매트릭스 혼합용액을 10 ㎛ ∼ 100 ㎛ 정도의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전극 내부의 기공 안에 고분자 혼합용액의 일부가 침투되고 표면에는 1 ㎛ ∼ 20 ㎛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젤형 고분자 전해질 및 고분자 매트릭스가 형성되도록 하는 복합전극 제조방법

21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 혼합용액 또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혼합용액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고분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 고분자 5 내지 90중량%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 고분자 및 PMMA계 고분자 중에서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 고분자 5 내지 80 중량%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계 고분자 및 PVdF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I 고분자 5 내지 80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합물은 총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복합전극 제조방법

22 22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양극의 기공 안에 침투되어 있고, 상기 양극의 표면에는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1 ㎛ ∼ 20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양극과, 고분자 전해질,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및 부직포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분리막과,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음극의 기공 안에 침투되어 있고, 상기 음극의 표면에는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이 1 ㎛ ∼ 20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복합음극을 라미네이션 공정으로 접합시켜 적층체를 형성하고,

상기 복합음극 및 복합양극에 단자를 연결시키고,

상기 적층체를 전지케이스에 삽입하고,

상기 전지케이스 내에 유기용매 전해질을 주입하고,

상기 전지케이스를 진공밀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

23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전해질은 PEO계의 순수 고분자전해질, PAN계, PVdF계 및 PMMA계 등의 젤형고분자전해질, PEGDA계 및 PEGDMA계 등의 자외선경화형 고분자 전해질, 또는 이들이 블렌딩된 고분자전해질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

24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복합양극/분리막/복합음극/분리막/복합양극의 순서로 적층되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

25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복합음극/분리막/복합양극/분리막/복합음극의 순서로 적층되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

26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젤형 고분자 전해질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고분자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 고분자 5 내지 90중량%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계 고분자 및 PMMA계 고분자 중에서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 고분자 5 내지 80 중량%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계 고분자 및 PVdF계 고분자 중 하나로 선택되는 기능-III 고분자 5 내지 80중량%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혼합물은 총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