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2248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2.5, PM2.5) 노출 여부 확인용 마이크로 RNA 및 이를 이용한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 세포 또는 폐암세포에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 수용성 추출액 및 유기성 추출액을 노출시킨 결과, 1.300 배 이상 과발현되는 마이크로 RNA 1 종과 0.769 배 이하 저발현되는 마이크로 RNA 1 종을 선별함으로써, 상기 2 종의 마이크로 RNA를 바이오마커로 이용하여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의 모니터링,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의 위해성 판정, 및 2.5 마이크로미터 이하 미세먼지에 의해 야기되는 독성 작용 기작 규명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t. CL C12Q 1/68 (2006.01) C12N 15/11 (2006.01) G01N 33/574 (2006.01)
CPC C12Q 1/6888(2013.01) C12Q 1/6888(2013.01) C12Q 1/6888(2013.01) C12Q 1/6888(2013.01) C12Q 1/6888(2013.01) C12Q 1/688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081593 (2013.07.11)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609374-0000 (2016.03.30)
공개번호/일자 10-2015-0008252 (2015.01.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6040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07.11)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류재천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2 신찬영 대한민국 서울 송파구
3 송미경 대한민국 울산 남구
4 이효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5 최한샘 대한민국 충남 천안시 동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원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성지하이츠빌딩*차 ***호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7.11 수리 (Accepted) 1-1-2013-0624856-65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2.19 수리 (Accepted) 4-1-2014-5022002-69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01.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036567-10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5.02.2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5-0190867-23
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2.26 수리 (Accepted) 1-1-2015-0190868-79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07.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459538-40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9.08 수리 (Accepted) 1-1-2015-0871976-31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6.01.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071726-7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의 모든 마이크로 RNA(miRNA) 또는 이의 상보가닥 분자가 집적된, 2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
3 3
제 1항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포함하는 2
4 4
제 3항에 있어서, 인간 폐 세포 또는 폐암 세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5 5
하기의 모든 마이크로 RNA에 상보적이고, 상기 마이크로 RNA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모두 포함하는 2
6 6
1) 실험군인 피검체로부터 분리된 체세포 및 대조군인 정상개체로부터 분리된 체세포에서 각각의 RNA를 분리하는 단계;2) 단계 1)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RNA를 각각 다른 형광물질로 표지하는 단계;3) 단계 2)의 형광물질로 표지된 실험군 및 대조군의 RNA를 제 1항의 마이크로어레이 칩과 혼성화시키는 단계;4) 단계 3)의 반응한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분석하는 단계; 및5) 단계 4)의 분석한 데이터에서 실험군의 제 1항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에 집적된 마이크로 RNA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
7 7
제 6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체세포는 인간의 폐 세포 또는 인간 폐암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RNA 발현 여부 확인 방법
8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폐암 세포는 A549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RNA 발현 여부 확인 방법
9 9
제 6항에 있어서, 단계 2)의 형광물질은 Cy3(Cyanine 3), Cy5, 폴리 엘-리신-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안산염(poly L-lysine-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 로다민-비-이소티오시안산염(rhodamine-B-isothiocyanate, RITC) 및 로다민(rhodam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RNA 발현 여부 확인 방법
10 10
1) 실험군인 피검체로부터 분리된 체세포 및 대조군인 정상개체로부터 분리된 체세포에서 각각의 RNA를 분리하는 단계;2) 단계 1)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RNA를 각각 cDNA로 합성하는 단계;3) 단계 2)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cDNA를 각각 제 1항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에 집적된 마이크로 RNA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실시간 RT-PCR(Real-time reverse transcript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4) 단계 3)의 실험군의 증폭산물의 발현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
11 11
제 10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체세포는 인간의 폐 세포 또는 인간 폐암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12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폐암 세포는 A549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500553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500553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환경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환경성 폐질환 유발 유전체 조기진단 시스템 개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