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N-결합형 당 단백질의 선택적 분리방법

  • 기술번호 : KST2015126302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표면에 글루타싸이온기기 결합되고, 글루타싸이온 말단에 결합된 하이드라자이드기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당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는 극소형 금 나노입자 및 이를 이용한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금 나노입자는 그 표면에 N-결합형 당 단백질과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기능기가 결합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면 원하는 특정 단백질을 간단한 공정을 통해 매우 선택적으로 신속하게 분리 정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백질 대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질병 치료제 등의 연구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Int. CL C07K 1/14 (2006.01) B82B 3/00 (2006.01) B22F 1/00 (2006.01)
CPC B22F 1/0018(2013.01) B22F 1/0018(2013.01) B22F 1/0018(2013.01) B22F 1/001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20024463 (2012.03.09)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334941-0000 (2013.11.25)
공개번호/일자 10-2013-0103100 (2013.09.2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123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2.03.09)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동일 대한민국 경기 안양시 동안구
2 박선영 대한민국 서울 동작구
3 이후근 대한민국 인천 연수구
4 천후엔창 베트남 인천 연수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2.03.09 수리 (Accepted) 1-1-2012-0193419-04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2.04.06 수리 (Accepted) 4-1-2012-5073562-19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1.10 수리 (Accepted) 4-1-2013-5005541-78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4.24 수리 (Accepted) 4-1-2013-5062749-37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3.06.24 수리 (Accepted) 4-1-2013-5088566-87
6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3.06.2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7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3.08.12 수리 (Accepted) 9-1-2013-0067717-15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8.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586623-00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9.25 수리 (Accepted) 4-1-2014-5114224-7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금 나노입자; 상기 금 나노입자 표면에 결합되어 금 나노입자를 둘러싸고 있는 글루타싸이온; 및 상기 글루타싸이온 말단에 결합된 하이드라자이드기;를 포함하고,상기 하이드라자이드기가 N-결합형 당 단백질의 탄수화물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금 나노입자의 직경은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N-결합형 당 단백질에서, 상기 단백질은 N-글리코실화에 최적화된 아미노산 공통염기서열 Asn-X-Ser/Thr(N-X-S/T)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
4 4
(a)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글루타싸이온기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b) 상기 글루타싸이온의 말단에 하이드라자이드기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5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 글루타싸이온 용액과 하이드로젼 테트라클로로 아우레이트 트라이하이드레이트 용액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 용액에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 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금 나노입자의 표면에 글루타싸이온기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6 6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표면에 글루타싸이온이 결합된 금 나노입자,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및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를 혼합한 용액을 교반하는 단계; 및(b2) 상기 혼합 용액에 하이드라진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글루타싸이온의 말단에 하이드라자이드기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는 상기 글루타싸이온이 결합된 금 나노입자 대비 8-12 배 몰비로 혼합하고,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상기 글루타싸이온이 결합된 금 나노입자 대비 8-12 배 몰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8 8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하이드라진은 상기 글루타싸이온이 결합된 금 나노입자 대비 8-12 배 몰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 분리용 극소형 금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9 9
(a) 분리하고자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을 포함하는 단백질 혼합 시료 용액을 산화시키는 단계;(b) 상기 단백질 혼합 용액에 제 1 항에 따른 금 나노입자를 혼합하여 N-결합형 당 단백질과 금 나노입자를 커플링시키는 단계;(c) 상기 커플링 반응 후, 금 나노입자를 유기 용매로 씻어주는 단계; 및(d) 상기 (c) 단계 이후에 당 사슬 절단효소(PNGase F)를 첨가하여 비글라이코실화된 N-결합형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의 분리방법
10 10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 요오드아세트아미드를 단백질 혼합 시료 용액에 넣고, 혼합 용액의 pH를 4-5로 조절한 후에 반응시켜서 탄수화물의 시스-디올을 알데하이드로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의 분리방법
11 11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의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염화나트륨 수용액, 우레아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의 분리방법
12 12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 금 나노입자를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2-5회 씻어준 후, 우레아 수용액으로 다시 씻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해서 N-결합형 당 단백질과 결합되지 않고, 비특이적 결합을 한 금 나노입자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의 분리방법
13 13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N-결합형 당 단백질에서, 상기 단백질은 N-글리코실화에 최적화된 아미노산 공통염기서열 Asn-X-Ser/Thr(N-X-S/T)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의 분리방법
14 14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N-결합형 당 단백질의 분리방법은 (e) 상기 비글라이코실화된 N-결합형 단백질을 분리한 후에 메탄올을 이용하여 금 나노입자만을 제거하고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결합형 당 단백질의 분리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사업) 전기화학적 활성을 갖는 나노입자의 합성과 바이오센서로의 응용연구
2 교육과학기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점연구소지원 나노융합그린에너지 원천기술 개발
3 교육과학기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사업(WCU) WCU 4차년도 지능형(스마트)나노 복합체 연구
4 교육과학기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반연구자지원(기본연구) 전자 전이 조절이 가능한 나노입자 복합체 연구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