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STRAIN SENSOR USING NANOCOMPOSI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기술번호 : KST2016017609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가 개시된다.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금속 나노와이어들, 제1 폴리머 물질 및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층; 및 상기 나노 복합체층 상에 배치되고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나노 복합체층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다.
Int. CL G01B 7/16 (2006.01) B82B 3/00 (2006.01)
CPC G01B 7/18(2013.01) G01B 7/1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64559 (2016.05.26)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118159 (2016.10.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15-0046254 (2015.04.01)
관련 출원번호 1020150046254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내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2 황병웅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3 트란 쾅 트룽 베트남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남건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박종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차상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5.26 수리 (Accepted) 1-1-2016-0505894-91
2 공지예외적용주장 증명서류 제출기한 안내문
2016.06.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6-0084550-85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2.23 수리 (Accepted) 4-1-2017-5028829-4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금속 나노와이어들,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며 전도성을 나타내는 제1 폴리머 물질 및 투명하고 상기 제 1 폴리머 물질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지며 비전도성을 나타내는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삼성분계 나노 복합체층; 및 상기 나노 복합체층 상에 배치되고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나노 복합체층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제 1 폴리머 물질은 폴리(3,4-에틸렌 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ate), PEDOT:PS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폴리피롤(polypy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상기 제 2 폴리머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폴리머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의 표면은 산소 플라즈마 처리되어 있는,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5 5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기판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들,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며 전도성을 나타내는 제1 폴리머 물질 및 투명하고 상기 제 1 폴리머 물질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지며 비전도성을 나타내는 제2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삼성분계 나노 복합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 복합체층 상에 투명하고 신축성을 가지는 제3 폴리머 물질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나노 복합체층 내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제 1 폴리머 물질은 폴리(3,4-에틸렌 디옥시티오펜):폴리(4-스티렌설포네이트)(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4-styrenesulfonate), PEDOT:PS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폴리피롤(polypyrole)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상기 제 2 폴리머 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에코플렉스(ecoflex)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복합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산소 플라즈마 처리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1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들이 랜덤하게 배치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 폴리머 물질 및 상기 제2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스핀코팅하고 제2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7 7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용액의 스핀코팅은 회전속도 200 내지 400rpm에서 이루어지는,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8 8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 용액의 상기 제1 폴리머 물질의 농도는 10 내지 50%이고, 상기 제2 용액의 상기 제2 폴리머 물질의 농도는 50 내지 90%인,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9 9
제5항에 있어서,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3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제3 용액을 상기 나노 복합체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 상에 스핀코팅하고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10 10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열처리하는 단계는 5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11 11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2 열처리하는 단계는,질소(N2) 분위기에서, 50 내지 12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후 120 내지 200℃에서 60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된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변형률 감지센서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881195 KR 대한민국 FAMILY
2 US20160290780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도전) 2/3 선택적 자극감응 증폭형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기반 고기능성-다기능성 전계효과트랜지스터 검지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