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Reactant-conversion process at the liquid-liquid interface)

  • 기술번호 : KST2017000151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액체 사이의 계면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보다 원활한 조건에서 빠르게 수행시켜 반응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생성물질의 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에 관한 것이다.
Int. CL G01N 33/50 (2006.01) C12P 41/00 (2006.01) C12N 9/20 (2006.01) C12M 1/00 (2006.01) B01J 19/28 (2015.01) B01J 19/30 (2006.01) G01N 33/53 (2006.01)
CPC C12M 1/00(2013.01) C12M 1/00(2013.01) C12M 1/00(2013.01) C12M 1/00(2013.01) C12M 1/00(2013.01) C12M 1/00(2013.01) C12M 1/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80317 (2016.06.27)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001661 (2017.01.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50090710   |   2015.06.25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6.27)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중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양주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3 임종성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6.27 수리 (Accepted) 1-1-2016-0619809-15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08.31 수리 (Accepted) 1-1-2016-0847412-30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6.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426912-20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8.21 수리 (Accepted) 1-1-2017-0803591-19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8.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803592-54
6 최후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2017.11.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818947-56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2.04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206126-33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2.04 수리 (Accepted) 1-1-2017-1206125-98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12.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899818-07
10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01.04 수리 (Accepted) 1-1-2018-0013024-14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제1액체, 제2액체 및 구조체를 포함하고,상기 제1액체-제2액체 간 계면에 구조체가 배치되며,상기 구조체는 반응 촉매; 상기 반응 촉매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구조체를 제1액체-제2액체 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부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부는 내부에 부유 조절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극을 가지며, 상기 구조체는 공극의 부피를 조절하거나; 또는 몸체부 및 부유부 중 1종 이상의 재질 및 조성을 변화시켜서; 구조체의 평균밀도를 조절하고,상기 제1액체 및 제2액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액체는 반응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반응물질은 상기 구조체에 포함된 반응촉매의 촉매 작용에 의해 생성물질을 형성하며,상기 제1액체, 제2액체 및 구조체는 하기 방정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방정식 1]제2액체 밀도 003c# 구조체 평균밀도 003c# 제1액체 밀도
2 2
삭제
3 3
삭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체 및 제2액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물, 이소옥탄(isooctane), 디클로로핵산(dichlorohexane), 핵산(hexane), 헵테탄(heptane), 사이클로핵산(cycloha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 옥탄(oct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톨루엔(toluene),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아세톤(acetone), 피리딘(pyridin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및 부탄디올(butanedi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5 5
제1액체, 제2액체, 제3액체,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를 포함하고,상기 제2액체는 제1액체 및 제3액체와 계면을 형성하며, 제1액체와 제3액체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상기 제1구조체는 제1액체와 제2액체 사이에 형성된 계면에 존재하고, 상기 제2구조체는 제2액체와 제3액체 사이에 형성된 계면에 존재하며,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반응 촉매; 상기 반응 촉매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를 액체-액체 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부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부는 내부에 부유 조절 물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공극을 가지며, 상기 구조체는 공극의 부피를 조절하거나; 또는 몸체부 및 부유부 중 1종 이상의 재질 및 조성을 변화시켜서; 구조체의 평균밀도를 조절하고,상기 제1액체 및 제2액체는 반응물질을 포함하며,상기 반응물질은 제1구조체가 포함하는 반응촉매에 의해 제2액체에 중간물질을 형성하고,상기 중간물질은 제2구조체가 포함하는 반응촉매에 의해 제3액체에 최종생성물질을 형성하며,상기 제1액체, 제2액체, 제3액체,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는 하기 방정식 2 및 방정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 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방정식 2]제2액체 밀도 003c# 제1구조체 평균밀도 003c# 제1액체 밀도[방정식 3]제2액체 밀도 003c# 제2구조체 평균밀도 003c# 제3액체 밀도
6 6
삭제
7 7
제5항에 있어서,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 각각은 동일한 반응촉매 또는 서로 다른 반응촉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8 8
삭제
9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체, 제2액체 및 제3액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물, 이소옥탄(isooctane), 디클로로핵산(dichlorohexane), 핵산(hexane), 헵테탄(heptane), 사이클로핵산(cycloha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 옥탄(oct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톨루엔(toluene),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아세톤(acetone), 피리딘(pyridine),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및 부탄디올(butanedi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10 10
삭제
11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적층되며,상기 반응 촉매는 상기 몸체부에 흡착, 이온결합, 공유결합 또는 접착성 물질에 의해 반응 촉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12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한 개 이상 구비되어 적층되며,상기 몸체부가 담체를 포함하며,상기 반응 촉매는 상기 담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고분자 섬유, 전기전도성 고분자, 다공성 입자, 구형입자, 나노입자, 비드, 탄소나노튜브, 와이어, 필라, 그래핀, 퓰러렌 및 폴리도파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14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흡착, 이온결합, 공유결합 또는 접착성 물질에 의해 반응 촉매에 고정되는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15 1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촉매는 유기촉매인 효소와 무기촉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물질 전환 공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탄산무수화효소, 트립신, 키모트립신, 서브틸리신, 파파인, 서몰리신, 리파아제, 페록시다아제, 티로시나아제, 라카아제, 셀룰라아제, 자일라나제, 락타아제, 유기포스포하이드롤레이즈, 콜린에스테라아제, 글루코스 산화효소, 피라노스 산화효소, 포름산 탈수소 효소, 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 알코올 탈수소 효소, 포도당 탈수소 효소, 및 포도당 이성화 효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17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촉매는 플래티늄, 백금, 로듐, 팔라듐, 납, 이리듐, 루비듐, 철, 니켈, 아연, 코발트, 구리, 망간, 티타늄, 루테늄, 은, 몰리브덴, 텅스텐, 알루미늄, 철, 안티몬, 주석, 비스무트, 바륨, 오스뮴, 산화질소, 산화구리, 산화망간, 산화티타늄, 산화바나늄,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18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가교 결합제를 이용하여 효소 간의 가교결합을 통한 효소군집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19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석출제를 통해 효소를 석출시키고,가교 결합제를 이용하여 효소 간의 가교결합을 통한 효소군집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20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결합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안히드라이드, 디에폭사이드, 디알데하이드, 디이미드, 1-에틸-3-디메틸 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글루타르알데하이드, 비스(이미도에스테르), 비스(석신이미딜에스테르), 디애시드 클로라이드, 도파민, 도파민 유래 카테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제니핀 및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21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석출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부틸알콜, 아세톤, 폴리에틸렌글리콜, 암모늄 설페이트, 소듐클로라이드, 소듐설페이트, 소듐포스페이트, 포타슘클로라이드, 포타슘설페이트, 포타슘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22 2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격자 형태의 면상 구조체이고,상기 몸체부에는 반응물질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23 2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조절 물질은 공기, 질소, 산소, 아르곤, 이산화탄소, 네온, 오존, 헬륨, 메탄, 크세논, 크립톤, 수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24 24
삭제
25 2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재질 및 부유부의 재질 각각은 독립적으로 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스티렌(PS), 폴리락틱산,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틱-co-글리콜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이민,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우레탄, 폴리글리콜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스티렌-co-무수말레산, 테플론, 콜라겐, 나일론, 셀룰로우즈, 키토산, 유리, 금, 은, 알루미늄, 철, 구리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액체 계면에서의 반응물질 전환 공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753961 KR 대한민국 FAMILY
2 KR101843399 KR 대한민국 FAMILY
3 KR101960593 KR 대한민국 FAMILY
4 US20180185818 US 미국 FAMILY
5 WO201620906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6 WO201620906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연구실사업 미생물 오염 방지 및 제거를 위한 나노바이오촉매 소재 개발
2 산업통상자원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기술사업 나노바이오촉매 기반 고효율 이산화탄소 전환 및 활용 기술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나노섬유 기반 3차원 복합구조 담체 및 전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