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전기방사 및 식각공정으로부터 촉매가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서(Catalysts functionalized metal oxide nanotubes via electrospinning and etching process, fabrication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gas sensor compris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800388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전기방사 및 식각공정으로부터 촉매가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서가 개시된다. 전기방사 기법을 통해 제작된 금속산화물 나노튜브는 2가지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 1차원 나노섬유가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2가지 이상의 금속산화물 중 특정 금속산화물이 제거됨에 따라 형성된 다공성 나노튜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후, 촉매를 기능화시켜 열린 구조를 갖는 촉매가 결착된 금속산화물 다공성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각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다공성 나노튜브는 쉘 (shell) 사이사이의 메조포어 (mesopore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높은 표면적을 지니고 열린 구조를 가져, 효과적인 표면 가스 반응 과 원활한 가스 침투 및 확산을 가능하게 하여 감도를 높이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촉매를 결착시킴으로써 보다 고감도, 고선택성을 지니는 유해환경가스 감지 및 날숨 분석 센서에 적용 할 수 있다.
Int. CL C01G 19/02 (2006.01.01) C01B 33/12 (2006.01.01) B82Y 40/00 (2017.01.01) G01N 27/04 (2006.01.01) G01N 27/327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102307 (2017.08.11)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36521 (2018.04.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16-0126029 (2016.09.30)
관련 출원번호 1020160126029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8.11)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일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불레모 페레시 탄자니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조희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성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 (논현동) 삼성빌딩 *층(피앤티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8.11 수리 (Accepted) 1-1-2017-0776990-99
2 수수료 반환 안내서
Notification of Return of Official Fee
2017.08.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115263-37
3 직권정정안내서
Notification of Ex officio Correction
2017.08.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115264-83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9.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613811-59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0.3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070672-49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0.30 수리 (Accepted) 1-1-2017-1070671-04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3.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149055-76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단일 노즐 (single nozzle)을 이용하여 주석산화물 (SnO2)의 제1 금속산화물의 전구체 및 이산화규소 (SiO2)의 제2 금속산화물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용액을 전기방사 (electrospinning)하여 생성되고 주석산화물 (SnO2)의 제1 금속산화물 및 이산화규소 (SiO2)의 제2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 1차원 나노섬유가,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금속산화물이 제거됨에 따라 형성된 다공성 나노튜브 구조를 가지며,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및 상기 제2 금속산화물 전구체는 산화물 형성 에너지 (enthalpy energy)가 서로 다름에 따라 상기 주석산화물의 상기 제1 금속산화물이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의 표면으로 확산되고, 상기 이산화규소의 제2 금속산화물이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의 내부에서 산화되어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의 코어-쉘 (core-shell)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나노튜브는 함량 비율이 다른 상기 제1 금속산화물과 상기 제2 금속산화물로 구성된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에서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금속산화물이 제거됨에 따라 나노튜브 구조와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열린 구조 (open structur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나노튜브는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가 열처리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및 상기 제2 금속산화물이 산화되고 고분자가 분해됨에 따라 코어-쉘 (core-shell)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식각 공정에 의해 상기 제2 금속산화물이 제거됨에 따라 나노튜브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나노튜브는 직경이 100 nm 내지 5 μm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5 5
제3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나노튜브는 쉘 (shell)의 두께가 10 nm 내지 500 nm 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에 촉매 입자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촉매 입자는 크기가 1 nm 내지 15 nm의 범위에 포함되며, Pt, Pd, Ag, Au, IrO2, RuO2, Rh2O3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8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금속산화물 나노튜브를 저항 변화의 인식이 가능한 센서 기판 위에 도포하여 환경유해 가스 및 생체지표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용 부재
9 9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a) 단일 노즐 (single nozzle)을 이용하여 주석산화물 (SnO2)의 제1 금속산화물의 전구체 및 이산화규소 (SiO2)의 제2 금속산화물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용액을 전기방사 (electrospinning)하여 복합 1차원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 및(b) 용매 (etchant)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에서 상기 제2 금속산화물을 제거함으로써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및 상기 제2 금속산화물 전구체는 산화물 형성 에너지 (enthalpy energy)가 서로 다름에 따라 상기 주석산화물의 상기 제1 금속산화물이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의 표면으로 확산되고, 상기 이산화규소의 제2 금속산화물이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의 내부에서 산화되어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의 코어-쉘 (core-shell)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10 10
삭제
11 11
제9항에 있어서,상기 (a) 단계는,함량 비율이 다른 상기 제1 금속산화물 및 상기 제2 금속산화물로 구성된 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12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는,상기 복합 1차원 나노섬유에서 상기 제1 금속산화물의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2 금속산화물이 제거됨에 따라 2 nm 내지 50 nm 범위의 기공이 형성된 열린 구조(open structure)의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13 13
제9항에 있어서,(c) 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에 촉매 입자를 결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상기 촉매 입자를 0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는,상기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와 상기 촉매 입자의 결착력을 위해 고분자 바인더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스티렌 (PS), 폴리메틸메스아크릴레이트 (PMMA),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폴리에테르우레탄,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PMA),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PVA), 폴리퍼퓨릴알콜 (PPFA),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PPO),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VC),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비닐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마이드, 피치 (pitch) 및 페놀 수지 (phenol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산화물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792438 KR 대한민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날숨 호흡지문 분석 기반 신체 건강 모니터링 및 질병 자가진단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