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유기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11516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유기태양전지는 후면전극층; 상기 후면전극층 상에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금속나노전극; 및 상기 금속나노전극 상에 유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나노전극 및 상기 유전체는 상기 활성층에 함입되고, 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식 1]dP 003e# dM + dC(상기에서, dP는 활성층의 두께이고, dM은 금속나노전극의 두께이고, dC는 공동의 두께임)
Int. CL H01L 51/44 (2006.01.01) H01L 51/42 (2006.01.01)
CPC H01L 51/441(2013.01) H01L 51/441(2013.01) H01L 51/44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102656 (2014.08.08)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567923-0000 (2015.11.04)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51111)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4.08.08)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상준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2 다니엘 메이슨 오스트레일리아 서울시 관악구
3 인성준 대한민국 서울시 강동구
4 박남규 대한민국 서울시 서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아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 **,**층(역삼동, 동희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8.08 수리 (Accepted) 1-1-2014-0753912-5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5.01.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5.03.13 수리 (Accepted) 9-1-2015-0017943-91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3.17 수리 (Accepted) 4-1-2015-5033829-92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5.13 수리 (Accepted) 4-1-2015-5062924-01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05.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328556-23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5.07.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5-0697980-87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07.20 수리 (Accepted) 1-1-2015-0697979-30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5.10.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747252-10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5.13 수리 (Accepted) 4-1-2019-5093546-10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5.23 수리 (Accepted) 4-1-2019-5101798-31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2 수리 (Accepted) 4-1-2019-5154561-59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11.25 수리 (Accepted) 4-1-2020-5265458-4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후면전극층; 상기 후면전극층 상에 활성층;상기 활성층 상에 금속나노전극; 및 상기 금속나노전극 상에 유전체를 포함하며,상기 금속나노전극 및 상기 유전체는 상기 활성층에 함입되고,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식 1]dP 003e# dM + dC(상기에서, dP는 활성층의 두께이고, dM은 금속나노전극의 두께이고, dC는 공동의 두께(후면전극과 금속나노전극 사이의 활성층의 두께)임)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 상에 정공주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3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상에 광투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두께가 50nm 내지 3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5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전극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금속나노전극과 간격은 100nm 내지 6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전극의 최저면에서부터 후면전극층의 거리가 10nm 내지 3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7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전극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몰리브덴(Mo), 니켈(Ni), 백금(Pt), 티타늄(Ti), 팔라듐(Pd) 및 크롬(C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산화 규소(SiO2), 산화 탄탈륨(Ta2O5), 산화 타이타늄(TiO2), 산화 몰리브데늄(MoOx), 산화 니켈(NiOx), 산화 텅스텐(WOx), 황화 아연(ZnS), 산화 구리(CuOx),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마그네슘(MgO), 산화 니켈(NiO), 산화 바나듐(V2O5), 산화 망간(MnO2) 및 산화 주석(SnO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9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p-type 폴리머와 n-type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p-type 폴리머와 n-type 폴리머를 1 : 0
11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p-type 폴리머는 폴리-3-헥실티오펜[poly-3-hexylthiophene, P3HT], 폴리-3-옥틸티오펜[poly-3-octylthiophene, P3OT],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 [poly-p-phenylenevinylene, PPV], 폴리(디옥틸플루오렌) [poly(9,9'-dioctylfluorene)],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1,4-페닐렌비닐렌) [poly(2-methoxy,5-(2-ethyle-hexyloxy)-1,4-phenylenevinylene, MEH-PPV], 폴리(2-메틸,5-(3',7'-디메틸옥틸옥시))-1,4-페닐렌비닐렌 [poly(2-methyl,5-(3',7'-dimethyloctyloxy))-1,4-phenylenevinylene, MDMO-PPV]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물질을 포함하고;상기 n-type 폴리머는 (6,6)-페닐-C61-부티릭에시드메틸에스테르[(6,6)-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 PCBM], (6,6)-페닐-C71-부티릭에시드 메틸에스테르[(6,6)-phenyl-C71-butyric acid methyl ester, C70-PCBM], 풀러렌(fullerene, C60), (6,6)-티에닐-C61-부티릭에시드 메틸에스테르[(6,6)-thi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 ThCBM],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 전지
12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주입층은 산화몰리브데늄 (MoO3), 산화니켈(NiOx), 산화바나듐(V2O5), 플루오린화리튬(LiF), 산화텅스텐(WO3) 및 산화구리(CuOx)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
13 13
광투과층 상에 유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유전체 상에 금속나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유전체 및 금속나노전극이 함입되도록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활성층 상에 후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하기의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의 제조방법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정공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