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마이크로 LED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 기술번호 : KST202100125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n-형 반도체 기판; 상기 n-형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 구조체층; 및 상기 발광 구조체층 상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구조체층은, In 및 Ga을 포함하는 활성층이 상부에 형성된 발광 구조체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구조체층은, 각각이 단일 또는 복수 개의 발광 구조체를 포함하며, 둘 이상의 다른 파장을 발광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구분되는 영역들을 형성하고, 상기 구분되는 영역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발광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은, 각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발광 구조체의 밑면의 크기, 발광 구조체의 높이, 발광 구조체의 중심 간의 간격 중 적어도 한 개가 서로 상이한 것인, 마이크로 LED 구조체 및 마이크로 LED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1L 33/08 (2010.01.01) H01L 33/00 (2010.01.01) H01L 33/50 (2010.01.01) H01L 27/15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25781 (2021.02.25)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23963 (2021.03.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70136637   |   2017.10.20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분할
원출원번호/일자 10-2018-0113806 (2018.09.21)
관련 출원번호 1020180113806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25)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용훈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심영출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우기영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25 수리 (Accepted) 1-1-2021-0231176-9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n-형 반도체 기판;상기 n-형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 구조체층; 및상기 발광 구조체층 상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구조체층은, In 및 Ga을 포함하는 활성층이 상부에 형성된 발광 구조체의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구조체층은, 각각이 단일 또는 복수 개의 발광 구조체를 포함하며, 둘 이상의 다른 파장의 빛을 발광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구분되는 영역들을 형성하고,상기 구분되는 영역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발광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구분되는 영역들 각각은 개별적으로 P-형 반도체층 및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p-형 반도체층 및 전극층은, 상기 구분되는 영역들 각각을 덮어 평탄화된 층을 형성하고,상기 구분되는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원뿔; 원기둥; 다각형 기둥; 원형의 링; 다각형의 링; 반구; 평평한 상부를 갖도록 끝이 잘린 형태의 원뿔, 원형의 링 및 다각형의 링 형태; 및 실리던 형태의 중공 함몰부를 포함하는 원뿔, 다각형뿔 및 다각형 기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구조체를 포함하고,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은, 각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발광 구조체의 밑면의 크기, 발광 구조체의 높이, 발광 구조체의 중심 간의 간격 중 적어도 한 개가 서로 상이한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분되는 영역을 구성하는 발광 구조체의 높이는,장파장의 빛을 발광하는 영역을 구성하는 발광 구조체 일수록 큰 값을 가지는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분되는 영역을 구성하는 발광 구조체 각각의 중심 간의 간격은,장파장의 빛을 발광하는 영역 일수록 큰 값을 가지는,마이크로 LED 구조체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은 상기 활성층 내의 In-마이그레이션(migration) 정도가 상이한 것이고, 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은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의 발광 구조체 상의 상기 활성층 내의 In-마이그레이션(migration) 정도는, 제1 영역 003e# 제2 영역 003e# 제3 영역인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은 상기 활성층 내의 Ga 대비 In의 평균 농도가 서로 상이한 것이고, 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의 발광 구조체 상의 상기 활성층 내 Ga 대비 In의 평균 농도의 비는, 장파장의 빛을 발광하는 영역일 수록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의 발광구조체 상의 상기 활성층의 평균 두께는,장파장의 영역일 수록 큰 값을 가지는 것인, 마이크로 LED 구조체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은, 상기 발광구조체의 간격이 50 nm 내지 100 ㎛이고,상기 발광 구조체의 높이가 50 nm 내지 50 ㎛인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은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적어도 세 개의 영역을 형성하고,상기 전극층은 p-형 금속 전극층인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층은, 복수층이고,상기 복수층은, 각각 3차원 구조체의 면에 따라 상이한 성장율을 갖고,상기 활성층은 초격자층(super lattice layer)을 더 포함하는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
10 10
제1항의 마이크로 LED 구조체를 포함하는, 컬러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11 11
하부 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n-형 반도체층 상에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마스크층에 각각 단일 또는 복수 개의 개구 패턴을 포함하되, 개구 패턴의 간격, 크기 또는 둘 다가 서로 상이하여 서로 구분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영역을 패터닝하는 단계;상기 각각의 구분되는 영역의 마스크층 개구 패턴 상에 개방된 n-형 반도체층 위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파장을 발광하도록 서로 구분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성장된 발광 구조체층 상에 In 및 Ga을 포함하는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체층 상에 p-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발광 구조체층의 서로 구분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영역 각각과 개별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도록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상기 구분되는 영역들 각각의 발광 구조체들은 높이, 형태, 면적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한 것이며, 단일 공정 과정을 통해 모두 동시에 성장된 것인,마이크로 LED의 제조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개구 패턴은 원형, 라인형 및 다각형 형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상기 개구 패턴은 형상, 크기, 깊이 및 패턴간의 간격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구분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고,상기 개구 패턴의 구분되는 영역에 따라, 상기 발광 구조체층의 복수 개의 구분되는 영역들이 생성되는 것인, 마이크로 LED 구조체의 제조방법
13 1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구분되는 영역들은, 상기 개구의 중심 간의 간격이 50 nm 내지 100 ㎛이고,상기 개구는 50 nm 내지 50 ㎛의 직경을 갖는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의 제조방법
14 14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발광 구조체층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850 ℃ 내지 1200 ℃ 및 50 torr 내지 500 torr에서 이루어지는 것인,마이크로 LED 구조체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0.5) 3차원 반도체 구조를 이용한 고효율 무형광체 백색 LED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개인연구지원 반도체 양자점과 금속 표면 플라즈몬 제어를 통한 양자 포토닉스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