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종 전이금속이 도핑된 소듐 바나듐 플루오로포스페이트/소듐 바나듐 포스페이트 복합체의 소듐 이온 저장재료로의 이용

  • 기술번호 : KST202101059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도핑된 화합물의 소듐 이온 저장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전지용 전극 재료, 소듐 이온 전지용 전극, 소듐 이온 전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Na3V2-xMx(PO4)2F3)/(Na3V2-yMy(PO4)3) 복합체 (M = Fe,Mn,Cr,Cu,Zn,Ti, 0003c#x,y≤2)으로 구성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저장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듐 이온 저장재료를 사용하면 바나듐 함량을 줄이는 동시에 높은 방전 용량을 유지할 수 있고, 이차전지인 소듐 이온 전지, 소듐-마그네슘 하이브리드 이온 전지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충방전 사이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t. CL H01M 4/58 (2015.01.01) H01M 4/36 (2006.01.01) H01M 4/136 (2010.01.01) H01M 10/054 (2010.01.01) C01B 25/45 (2006.01.01) C01B 25/455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00138384 (2020.10.23)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99501 (2021.08.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13120   |   2020.02.04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0.23)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육종민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박재열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호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박정재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정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 ***호(논현동,썬라이더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0.23 수리 (Accepted) 1-1-2020-1127319-5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Na3V2-xMx(PO4)2F3 단일상 또는 Na3V2-xMx(PO4)2F3/Na3V2-yMy(PO4)3 복합체 (0003c#x,y≤2) 를 포함하고 M은 전이금속인 것인, 소듐 이온 저장재료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은 Fe, Ti, Cu, Cr, Mn 및 Zn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소듐 이온 저장재료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은 Fe인, 소듐 이온 저장재료
4 4
제3항의 소듐 이온 저장재료를 전극 활물질로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전지용 전극재료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활물질은 도전성 카본, 귀금속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코팅된 것인, 소듐 이온 전지용 전극 재료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재료는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전지용 전극 재료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바인더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알긴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및 불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전지용 전극 재료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전극 재료는 도전재를 더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전지용 전극 재료
9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 재료를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전지용 전극
10 10
제9항의 전극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전지 또는 소듐-마그네슘 하이브리드 이온 전지
11 11
(a) 소듐 플루오라이드 (Sodium fluoride), 암모늄 메타바나데이트 (Ammonium metavanadate), 암모늄 포스페이트 일염기성 (Ammonium phosphate monobasic) 및 시트릭 에시드 (Citric acid)를 혼합 후, 가열하여 전구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건조된 전구체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듐 이온 저장재료의 제조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전구체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는 80℃에서 수행되고, 이후 120℃에서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인 소듐 이온 저장재료의 제조방법
13 1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건조된 전구체 혼합물을 펠렛으로 압축한 후 가열하는 단계는 300℃에서 수행되고, 이후 650℃에서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것인 소듐 이온 저장재료의 제조방법
14 14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건조된 전구체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인 소듐 이온 저장재료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나노·소재기술개발(R&D) 소재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고성능 전극 신물질 개발
2 교육부 한국과학기술원 BK21플러스사업(R&D) 저장용량 자가 회복특성을 가지는 구리 기반 칼코게나이드- 소듐 이온 전지 음극소재의 새로운 패러다임 및 풀 셀 전지에의 응용
3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차산업핵심기술개발(R&D) 1분 충전 600km 주행 전기차용 3차원 전고체 전지 및 시스템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