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CRISPR/Cas9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유전체 편집 방법 및 이의 용도

  • 기술번호 : KST2021012117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CRISPR/Cas9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유전체 편집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유도 돌연변이 및 불일치 가이드 RNA (sgRNA)를 이용한 CRISPR 시스템은 표적 DNA에 유의적인 유전체 편집 효과를 달성하는 바, 본 발명의 CRISPR 시스템은 유전자 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교정용 조성물, 유전체 수준의 스크리닝,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치료제, 질병 진단 또는 이미징용 조성물 개발, 형질전환동식물 개발 등의 폭넓은 분야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C12N 15/63 (2006.01.01) C12N 15/10 (2017.01.01) C12N 9/22 (2006.01.01) C12N 15/113 (2010.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43583 (2021.04.02)
출원인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23237 (2021.10.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040352   |   2020.04.02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4.02)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상준 서울특별시 송파구
2 이호중 부산광역시 서구
3 김현주 경상북도 구미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순웅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 (구로동,에이스테크노타워*차)(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4.02 수리 (Accepted) 1-1-2021-0392481-93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1.04.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058528-98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납부자번호)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Payer number)
2021.04.13 수리 (Accepted) 1-1-2021-0423193-6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표적 D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공여 핵산 분자 및 가이드 RNA를 포함하는 CRISPR/Cas9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CRISPR-associated protein 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 방법으로서,상기 표적 DNA와 상기 가이드 RNA 서열 간에 1 개 이상의 불일치(mismatch) 뉴클레오타이드가 부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CRISPR/Cas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RNA는 표적 DNA와 혼성화하는 crRNA(CRISPR RNA) 및 tracrRNA (transactivating crRNA)를 포함하는 이중 RNA (dualRNA), 또는 상기 crRNA 및 tracrRNA의 부분을 포함하고 표적 DNA와 혼성화하는 단일-사슬 가이드 RNA (sg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ISPR/Cas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 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표적 DNA는 상기 crRNA 또는 sgRNA와 상보적인 서열의 뉴클레오타이드 및 프로토스페이서-인접 모티프(protospacer-adjacent motif, PA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ISPR/Cas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공여 핵산 분자는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ISPR/Cas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공여 핵산 분자는 표적 DNA 상에 변형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RISPR/Cas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변형은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의 치환,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의 삽입, 하나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의 결실, 녹아웃(knockout), 녹인(knockin), 내인성 핵산 서열의 상동, 이종상동성(endogenous) 또는 이종 핵산 서열로의 치환,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RISPR/Cas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 방법
7 7
표적 D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공여 핵산 분자 및 가이드 RNA를 포함하는 CRISPR/Cas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용 조성물로서,상기 표적 DNA와 상기 가이드 RNA 서열 간에 1 개 이상의 불일치(mismatch) 뉴클레오타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RISPR/Cas9 시스템 기반 유전체 편집용 조성물
8 8
표적 D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공여 핵산 분자 및 가이드 RNA를 포함하는 CRISPR/Cas9 시스템 기반의 유전체 편집 효율 증가 방법으로서,상기 표적 DNA와 상기 가이드 RNA 서열 간에 1 개 이상의 불일치(mismatch) 뉴클레오타이드가 부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CRISPR/Cas9 시스템 기반의 유전체 편집 효율 증가 방법
9 9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CRISPR/Cas9 시스템 기반의 표적 DNA가 편집된 대상체의 제조 방법:(a) 표적 D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하고, 표적 DNA 상에 변형을 유발하는 공여 핵산 분자를 제작하는 단계; (b) 표적 DNA에 대해 상보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표적 DNA에 대해 1 개 이상의 불일치(mismatch) 뉴클레오타이드가 부여된 가이드 RNA를 제작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의 공여 핵산 분자 및 상기 (b) 단계의 가이드 RNA를, 편집시키고자 하는 대상체에 주입시켜 상기 표적 DNA와 상기 가이드 RNA 서열 간에 2 개 이상의 불일치(mismatch)가 발생함으로써 대상체의 표적 DNA가 편집되는 단계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CRISPR/Cas9 시스템은 항생제 저항성 선별마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적 DNA가 편집된 대상체의 제조 방법
11 11
제9항의 표적 DNA가 편집된 대상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표적 DNA가 편집된 대상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미생물 혐기탄소대사 시스템의 신개념 제어기술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초연구실지원사업 미생물 다중 상호작용 기초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