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드론 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확장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505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무인기 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및 통신서비스 확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론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MBS(Mobile Base Station)드론; MBS드론에게 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드론; 충전드론이 MBS드론에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충전드론을 충전시켜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스테이션; 및 MBS드론, 충전드론 및 충전스테이션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므로,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의 제공시간과 제공범위를 확장 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Int. CL H02J 50/50 (2016.01.01) H02J 50/10 (2016.01.01) G06Q 50/06 (2012.01.01) H04B 5/00 (2006.01.01) H02J 50/40 (2016.01.01) B60L 53/38 (2019.01.01) B64C 39/02 (2006.01.01) H02J 50/80 (2016.01.01)
CPC H02J 50/50(2013.01) H02J 50/10(2013.01) G06Q 50/06(2013.01) H04B 5/0037(2013.01) H02J 50/40(2013.01) B60L 53/38(2013.01) B64C 39/024(2013.01) H02J 50/80(2013.01) B60L 2200/10(2013.01) B64C 2201/06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44467 (2020.11.02)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59184 (2022.05.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1.02)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중헌 서울특별시 동작구
2 박수현 인천광역시 연수구
3 박승훈 경기도 구리시
4 최민석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대학
5 신원용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귀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길 ** ***호 (가산동, 한신IT타워*차)(디앤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1.02 수리 (Accepted) 1-1-2020-1166495-20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5.12 수리 (Accepted) 1-1-2021-0549056-39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11.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드론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기지국 역할을 임의의 위치에서 수행하는 복수개의 MBS(Mobile Base Station)드론;상기 MBS드론이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MBS드론에게 전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충전드론; 상기 충전드론을 충전시켜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스테이션; 및 상기 충전드론이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충전스테이션과 상기 충전드론을 매칭시켜주며, 상기 MBS드론을 공통적으로 충전할 복수개의 상기 충전드론을 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충전드론 각각의 전력제공가능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MBS드론에 대한 충전 시 상기 충전드론의 전력제공가능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상기 MBS드론의 개수에 따라 상기 충전되어야 할 상기 MBS드론에게 제공할 제공전력량을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주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충전드론의 상기 전력제공가능범위를 확인하였을 때, 상기 충전드론의 전력제공가능범위에 포함되는 상기 MBS드론이 단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충전드론이 상기 MBS드론에게 제공할 전력량을 최대값으로 지정하여 주고, 상기 충전드론의 전력제공가능범위에 포함되는 상기 MBS드론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MBS드론을 충전할 수 있는 다른 충전드론과의 전력제공가능범위 내의 다른 충전드론의 개수에 따라 상대적으로 지정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3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드론은 전력제공을 위하여 하나의 상기 충전스테이션과 연결되어 충전되며, 하나의 상기 충전스테이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드론이 매칭되어 동시에 전력수급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충전드론이 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4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스테이션에서 충전되는 상기 충전드론은,상기 충전드론이 완전히 충전되었을 때 갖는 전력의 양(capacity)과 상기 충전드론이 충전시 갖고 있는 잔여 전력의 양과의 차이만큼 상기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5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충전드론이 상기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양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충전드론과 상기 충전스테이션을 매칭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6 6
제 5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MBS드론에 대하여 복수개의 상기 충전드론이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MBS드론이 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7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어느 하나의 상기 충전드론이 어느 하나의 상기 MBS드론에게로 이동하기에 이동소요전력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드론과 상기 어느 하나의 MBS드론을 매칭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8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MBS드론은, 리아프노브 콘트롤(Lyapunov control)을 이용하여 에너지효율과 큐 안정성(queue stability) 사이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
9 9
MBS(Mobile Base Station)드론, 충전드론, 충전스테이션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서비스의 확장방법으로서,상기 관리서버가 충전이 요구되는 상기 충전드론을 상기 충전스테이션에 매칭시켜주는 충전매칭단계; 상기 충전드론이 상기 충전매칭단계에서 매칭된 상기 충전스테이션으로 이동하여 상기 충전스테이션에서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되는 충전드론충전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충전이 요구되는 상기 MBS드론에게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드론충전단계에서 충전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충전드론을 매칭시켜주되, 상기 MBS드론을 공통적으로 충전할 복수개의 상기 충전드론을 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충전드론 각각의 전력제공가능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MBS드론에 대한 충전 시 상기 충전드론의 전력제공가능범위에 포함되는 다른 상기 MBS드론의 개수에 따라 상기 충전되어야 할 상기 MBS드론에게 제공할 전력량을 개별적으로 지정하여 주는 드론매칭단계; 및상기 드론매칭단계에서 상기 MBS드론이 매칭받은 상기 충전드론으로부터 각기 상기 지정된 전력량을 제공받아 충전하는 MBS드론충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확장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드론매칭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충전드론의 상기 전력제공가능범위를 확인하였을 때, 상기 충전드론의 전력제공가능범위에 포함되는 상기 MBS드론이 단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충전드론이 상기 MBS드론에게 제공할 전력량을 최대값으로 지정하여 주고, 상기 충전드론의 전력제공가능범위에 포함되는 상기 MBS드론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MBS드론을 충전할 수 있는 다른 충전드론과의 전력제공가능범위 내의 다른 충전드론의 개수에 따라 상대적으로 지정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확장방법
11 11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드론매칭단계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어느 하나의 상기 충전드론이 어느 하나의 상기 MBS드론에게로 이동하기에 전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충전드론과 상기 어느 하나의 MBS드론을 매칭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확장방법
12 12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MBS드론충전단계에서 충전된 상기 MBS드론은, 리아프노브 콘트롤(Lyapunov control)을 이용하여 에너지효율과 큐 안정성(queue stability) 사이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기반 네트워크 통신서비스 확장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R&D) 이동체간 가상현실을 위한 5G 이동통신 기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