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축 가능한 봉지재

  • 기술번호 : KST2022005932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신축 가능한 봉지재는, 신축 가능한 주름 구조를 가지는 주름부 및 주름부에 밀착되어 주름부를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며, 주름부는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이 상호 적층되는 다층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계층적인 구조로 인해 높은 신축성과 함께, 다층구조의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의 복합구조로 인해 높은 신축성과 함께 낮은 가스 및 수분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Int. CL H01L 51/52 (2006.01.01) G09F 9/30 (2006.01.01) H05B 33/04 (2006.01.01)
CPC H01L 51/5237(2013.01) G09F 9/301(2013.01) H05B 33/04(2013.01) H01L 2251/533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54171 (2020.11.18)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7679 (2022.05.2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1.18)
심사청구항수 2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창수 서울특별시 용산구
2 최병호 서울특별시 강북구
3 조성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4 송승학 서울특별시 성북구
5 우주연 경기도 이천시
6 전은석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연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호(문정동, 문정대명벨리온)(시안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1.18 수리 (Accepted) 1-1-2020-1234330-35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3.08 수리 (Accepted) 1-1-2021-0268335-15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10.1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2.01.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2-0042145-52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2.03.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193417-05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2.05.09 수리 (Accepted) 1-1-2022-0492061-88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2.05.0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2-0492062-2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신축 가능한 주름 구조를 가지는 주름부; 및상기 주름부에 밀착되어, 상기 주름부를 포장하는 포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부는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이 상호 적층되는 다층구조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주기적인 또는 비주기적인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의 물결, 주름 또는 돌기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핫 엠보싱 또는 기 신축된 기판을 이용한 주름 형성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주름부는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Brick) 및 상기 복수의 브릭들 사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몰탈(Mortar)로 마련되는 브릭-몰탈 구조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브릭은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몬모릴나이트(Montmorillonite)를 포함하는 나노클레이,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및 타이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를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몰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 dimetylsiloxane, PDMS),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PUA), 퍼플루오르폴리에터(Perfluoropolyether, PFPE), 폴리에틸렌(Polyester, PE)를 포함하는 신축성 고분자 그룹 또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 물질의 복합소재 중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상기 브릭보다 큰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브릭의 종횡비는 10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브릭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브릭들 사이의 간격에 비해 10배 이상인 신축 가능한 봉지재
7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릭은,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부재 및, 상기 복수의 브릭부재들 사이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몰탈부재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브릭-몰탈유닛을 포함하거나,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무기층 및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유기층이 상호 교번적으로 차례로 적층되는 다층구조의 층상유닛으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브릭부재 또는 상기 브릭무기층은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및 타이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를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고, 상기 몰탈부재 또는 상기 브릭유기층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 dimetylsiloxane, PDMS),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PUA), 퍼플루오르폴리에터(Perfluoropolyether, PFPE), 폴리에틸렌(Polyester, PE)를 포함하는 신축성 고분자 그룹 또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 물질의 복합소재 중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브릭부재 또는 상기 브릭무기층보다 큰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무기층 및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된 복수의 유기층이 상호 교번적으로 차례로 적층되어 층상구조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기층은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및 타이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유기층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 dimetylsiloxane, PDMS),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PUA), 퍼플루오르폴리에터(Perfluoropolyether, PFPE), 폴리에틸렌(Polyester, PE)를 포함하는 신축성 고분자 그룹 또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 물질의 복합소재 중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무기층보다 큰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기층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 증착 공정으로 증착되고, 상기 복수의 유기층은 알루콘(Alucone) 또는 진콘(Zincone)을 포함하는 메탈콘(Metalcone) 필름을 포함하여, MLD(Molecular Layer Deposition) 증착 공정으로 증착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2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기층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공극이 형성되어 가스와 수분의 침투 경로를 연장시키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3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기층은,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부재 및, 상기 복수의 브릭부재들 사이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몰탈부재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브릭-몰탈유닛을 포함하거나,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무기부재 및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유기부재가 상호 교번적으로 차례로 적층되는 다층구조의 층상유닛으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브릭부재 또는 상기 무기부재는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및 타이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를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고, 상기 몰탈부재 또는 상기 유기부재는 폴리디메틸실록산(Poly dimetylsiloxane, PDMS),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PUA), 퍼플루오르폴리에터(Perfluoropolyether, PFPE), 폴리에틸렌(Polyester, PE)를 포함하는 신축성 고분자 그룹 또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 물질의 복합소재 중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브릭부재 또는 상기 무기부재보다 큰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5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상기 주름부보다 큰 탄성 및 신축성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6 16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인 주름 형상을 가지며, 신축 가능한 주름부; 및상기 주름부보다 큰 탄성 및 신축성을 가지고 상기 주름부에 밀착되어 포장하는 포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주름부는 유기물질 및 무기물질이 상호 적층되는 다층구조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7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는 주기적인 또는 비주기적인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의 물결, 주름 또는 돌기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핫 엠보싱 또는 기 신축된 기판을 이용한 주름 형성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8 18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무기물질은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몬모릴나이트(Montmorillonite)를 포함하는 나노클레이,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및 타이타늄옥사이드(Titanium Oxide)를 포함하는 산화물계 세라믹 그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상기 유기물질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 dimetylsiloxane, PDMS),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PUA), 퍼플루오르폴리에터(Perfluoropolyether, PFPE), 폴리에틸렌(Polyester, PE)를 포함하는 신축성 고분자 그룹 또는 상기 신축성 고분자 물질의 복합소재 중 선택되는 것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상기 무기물질보다 큰 신축성 및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19 19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주름부는,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Brick) 및 상기 복수의 브릭들 사이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몰탈(Mortar)로 마련되는 브릭-몰탈 구조 또는,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무기층 및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된 복수의 유기층이 상호 교번적으로 차례로 적층되어 층상구조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20 20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브릭의 종횡비는 10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브릭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브릭들 사이의 간격에 비해 10배 이상인 신축 가능한 봉지재
21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릭은,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부재 및, 상기 복수의 브릭부재들 사이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몰탈부재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브릭-몰탈유닛을 포함하거나,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무기층 및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유기층이 상호 교번적으로 차례로 적층되는 다층구조의 층상유닛으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22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기층은 ALD(Atomic layer deposition) 증착 공정으로 증착되고, 상기 복수의 유기층은 알루콘(Alucone) 또는 진콘(Zincone)을 포함하는 메탈콘(Metalcone) 필름을 포함하여, MLD(Molecular Layer Deposition) 증착 공정으로 증착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23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기층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공극이 형성되어 가스와 수분의 침투 경로를 연장시키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24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기층은,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브릭부재 및, 상기 복수의 브릭부재들 사이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몰탈부재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브릭-몰탈유닛을 포함하거나, 상기 무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무기부재 및 상기 유기물질로 마련되는 복수의 유기부재가 상호 교번적으로 차례로 적층되는 다층구조의 층상유닛으로 마련되는 신축 가능한 봉지재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산업기술알키미스트프로젝트 AI기반 경량 초임계 기계물성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