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유연 전극 제조 방법, 신축성 전자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8289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전도성과 고신축률을 동시에 갖는 유연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연 전극을 포함하는 신축성 전자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연 전극 제조 방법은 은 나노 플레이크;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신축성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에 도포된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건조하여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MIBK(Methyl iso-butyl ketone) 또는 헥실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1B 13/00 (2006.01.01) H01B 5/14 (2006.01.01) H01B 1/02 (2006.01.01) C08L 75/02 (2006.01.01) C08L 83/08 (2006.01.01) H01L 25/04 (2014.01.01) H01L 25/00 (2014.01.01) C09D 11/52 (2014.01.01) B41M 1/12 (2006.01.01)
CPC H01B 13/0026(2013.01) H01B 13/0033(2013.01) H01B 5/14(2013.01) H01B 1/02(2013.01) C08L 75/02(2013.01) C08L 83/08(2013.01) H01L 25/04(2013.01) H01L 25/50(2013.01) C09D 11/52(2013.01) B41M 1/1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70489 (2020.12.08)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81051 (2022.06.1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2.08)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동희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2 윤지용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3 곽정훈 서울특별시 관악구
4 김선홍 서울특별시 관악구
5 백근우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차상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박종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남건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08 수리 (Accepted) 1-1-2020-1329489-80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0.12.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0-0190662-26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12.21 수리 (Accepted) 1-1-2020-1384766-56
4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1.07.29 수리 (Accepted) 4-1-2021-5205564-29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9.0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4.04 수리 (Accepted) 4-1-2022-5079741-7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은 나노 플레이크;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신축성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상기 기판에 도포된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건조하여 상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용매는 MIBK(Methyl iso-butyl ketone) 또는 헥실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인,유연 전극 제조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은 스크린 프린팅 기법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유연 전극 제조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은 10 내지 40℃에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유연 전극 제조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 전극 제조 방법:[화학식 1]상기 화학식 1에서, n 은 30 내지 40 이다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은 상기 은 나노 플레이크를 전체 중량 대비 70 내지 80wt%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유연 전극 제조 방법
6 6
신축성 기판 상에 제1 전자 소자와 제2 전자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신축성 기판 상에 은 나노 플레이크;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상기 제1 전자 소자와 상기 제2 전자 소자를 연결하도록 도포하는 단계; 및상기 용매가 증발하도록 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을 건조하여 상기 제1 전자 소자와 상기 제2 전자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유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신축성 전자 소자 제조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용매는 MIBK(Methyl iso-butyl ketone) 또는 헥실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신축성 전자 소자 제조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은 10 내지 40℃에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신축성 전자 소자 제조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자 소자 제조 방법:[화학식 1]상기 화학식 1에서, n 은 30 내지 40 이다
10 10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잉크 조성물은 상기 은 나노 플레이크를 전체 중량 대비 70 내지 80wt%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신축성 전자 소자 제조 방법
11 11
제6항에 있어서,상기 유연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후, 제1 전자, 제2 전자 및 유연 전극의 상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신축성 전자 소자 제조 방법
12 12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보호층은 PDMS 및 poly(dimethylsiloxane)(PDMS)-4,4'-methylenbis(phenyl urea)(MPU)x-isophorone bisurea units(IU)(1-x) (0003c#x≤1)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신축성 전자 소자 제조 방법
13 13
신축성 기판의 상면에 배치된 제1 전자 소자 및 제2 전자 소자; 및상기 제1 전자 소자 및 제2 전자 소자를 연결하도록 상기 신축성 기판 상에 배치된 유연 전극;을 포함하고,상기 유연 전극은 은 나노 플레이크 및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은 나노 플레이크 전도성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신축성 전자 소자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성을 갖는 고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전자 소자:[화학식 1]상기 화학식 1에서, n 은 30 내지 40 이다
15 15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자 소자 및 제2 전자 소자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디스플레이 소자, 트랜지스터 소자 및 센서 소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신축성 전자 소자
16 16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전자 소자, 제2 전자 소자 및 유연 전극의 상면에 형성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신축성 전자 소자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신진연구지원사업 말초신경장애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신축성 자가치유 재료 기반의 자가적응, 자가결합, 신경에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전자신경외피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R&D) 무선전자 신경 바이패스 구현을 위한, 초저전력/저지연/자가전원 RF 데이터/전력 동시 송수신 회로 및 신축성 전자신경외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