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드론 영상을 이용한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9040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드론 영상을 이용한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조선소 적치장을 호버링 중인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상기 적치장에 대한 드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드론 영상과 해당 적치장의 수치지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정합하여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정합된 영상으로부터 적치장의 지번을 추출하고, 추출된 적치장의 지번을 이용하여 적치장의 전체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 정합 영상으로부터 적치장 내의 블록을 검출하고, 검출된 블록을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블록이 차지하는 현재 적치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 적치장의 전체 면적과 블록이 차지하는 현재 적치 면적을 이용하여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적치장의 지번, 식별된 블록,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조선소 적치장의 적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한의 블록이동으로 인력, 장비, 작업시간, 및 트랜스 포터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선소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t. CL G06Q 10/04 (2012.01.01) G06Q 10/08 (2012.01.01) G06Q 10/10 (2022.01.01) G06Q 10/06 (2012.01.01) G06T 7/11 (2017.01.01) G06Q 50/08 (2012.01.01) B64C 39/0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023078 (2021.02.22)
출원인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95057 (2022.07.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86213   |   2020.12.29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02.22)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경호 인천광역시 서구
2 남병욱 인천광역시 부평구
3 한영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4 이재준 경기도 의정부시 오목로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백 대한민국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이노플렉스 *차 ***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2.22 수리 (Accepted) 1-1-2021-0208209-7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조선소 적치장을 호버링 중인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상기 적치장에 대한 드론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상기 드론 영상과 해당 적치장의 수치지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정합하여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정합된 영상으로부터 적치장의 지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치장의 지번을 이용하여 상기 적치장의 전체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상기 정합 영상으로부터 적치장 내의 블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블록을 식별하는 단계,상기 식별된 블록이 차지하는 현재 적치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상기 적치장의 전체 면적과 상기 블록이 차지하는 현재 적치 면적을 이용하여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적치장의 지번, 상기 식별된 블록, 상기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조선소 적치장의 적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이전 시점에서 촬영된 제1 드론 영상과 현재 시점에서 촬영된 제2 드론 영상으로부터 드론의 GPS 값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제1 드론 영상에서의 상기 드론의 GPS값과 상기 제2 드론 영상에서의 상기 드론의 GPS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이동에 대한 방위각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방위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드론 영상의 방위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드론 영상의 중심점과 상기 제2 드론 영상의 중심점 및 상기 적치장의 수치 지도의 절대 좌표값을 삼각 측량에 적용하여 상기 제2 드론 영상과 상기 수치 지도를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방법
3 3
상기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현재 시점에서 촬영된 드론 영상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템플릿 이미지를 매칭시키는 단계,상기 매칭된 템플릿 이미지 중심의 GPS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GPS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시점에서 촬영된 드론 영상의 방위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매칭된 템플릿 이미지 중심의 GPS 좌표와 상기 적치장의 수치 지도의 절대 좌표값을 삼각 측량에 적용하여 상기 현재 시점에서 촬영된 드론 영상과 상기 수치 지도를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조선소 적치장으로 이동 전인 각각의 블록에 대한 촬영 영상과 해당 블록에 대한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방법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블록을 식별하는 단계는,상기 정합 영상에 기 학습된 딥 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정합 영상에서 각각의 블록을 ROI(Region-of-Interest)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ROI로부터 상기 블록의 외곽(edge)을 검출하여 외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검출된 블록의 외관 정보와 기 저장된 블록의 촬영 영상 및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블록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연산하는 단계는,상기 적치된 블록이 복수의 지번에 걸쳐 있는 경우, 각각의 지번에 적치되어 있는 크기를 각각 헤론 공식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연산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방법
7 7
드론 영상을 이용한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조선소 적치장을 호버링 중인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된 상기 적치장에 대한 드론 영상을 획득하는 드론 영상 획득부,상기 드론 영상과 해당 적치장의 수치지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정합하여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정합 영상 생성부,상기 정합된 영상으로부터 적치장의 지번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치장의 지번을 이용하여 상기 적치장의 전체 면적을 연산하고, 상기 정합 영상으로부터 적치장 내의 블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블록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블록이 차지하는 현재 적치 면적을 연산하는 제어부,상기 적치장의 전체 면적과 상기 블록이 차지하는 현재 적치 면적을 이용하여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연산하는 연산부, 그리고 상기 적치장의 지번, 상기 식별된 블록, 상기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조선소 적치장의 적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정합 영상 생성부는,이전 시점에서 촬영된 제1 드론 영상과 현재 시점에서 촬영된 제2 드론 영상으로부터 드론의 GPS 값을 각각 추출하고, 제1 드론 영상에서의 상기 드론의 GPS값과 상기 제2 드론 영상에서의 상기 드론의 GPS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이동에 대한 방위각을 연산하며, 상기 방위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드론 영상의 방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드론 영상의 중심점과 상기 제2 드론 영상의 중심점 및 상기 적치장의 수치 지도의 절대 좌표값을 삼각 측량에 적용하여 상기 제2 드론 영상과 상기 수치 지도를 정합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
9 9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정합 영상 생성부는,현재 시점에서 촬영된 드론 영상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템플릿 이미지를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템플릿 이미지 중심의 GPS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GPS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시점에서 촬영된 드론 영상의 방위를 설정하며
10 10
제7항에 있어서,상기 조선소 적치장으로 이동 전인 각각의 블록에 대한 촬영 영상과 해당 블록에 대한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상기 정합 영상에 기 학습된 딥 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정합 영상에서 각각의 블록을 ROI(Region-of-Interest)로 선택하고, 상기 ROI로부터 상기 블록의 외곽(edge)을 검출하여 외관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검출된 블록의 외관 정보와 기 저장된 블록의 촬영 영상 및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블록의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
12 12
제7항에 있어서,상기 연산부는,상기 적치된 블록이 복수의 지번에 걸쳐 있는 경우, 각각의 지번에 적치되어 있는 크기를 각각 헤론 공식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적치장의 적치율 및 가용 면적을 연산하는 조선소 적치장 모니터링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클래드코리아원주 조선해양산업기술개발(R&D) 조선해양 배관철의장블록물류 혁신을 위한 스마트 생산협업시스템 개발 (3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