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신경 작용제 감지를 위한 표면 탄성파 센서의 고분자 감지막 증착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09041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신경 작용제 감지를 위한 표면 탄성파 센서의 고분자 감지막 증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 탄성파 센서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표면 개질하여 감지막을 균일하게 증착할 수 있으며, 신경 작용제에 대한 흡착 성질이 강한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표면 탄성파 센서에 감지막을 증착하여 신경작용제에 대한 탐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 탄성파 센서의 고분자 감지막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G01N 29/24 (2006.01.01) G01N 29/02 (2006.01.01) H01L 23/00 (2006.01.01) H01L 21/02 (2006.01.01) H05K 3/32 (2006.01.01)
CPC G01N 29/2462(2013.01) G01N 29/022(2013.01) H01L 24/80(2013.01) H01L 21/02118(2013.01) H05K 3/325(2013.01) G01N 2291/021(2013.01) G01N 2291/0255(2013.01) G01N 2291/0256(2013.01) G01N 2291/0423(2013.01) G01N 2291/02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189084 (2020.12.31)
출원인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96541 (2022.07.0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2.31)
심사청구항수 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주형 인천광역시 연수구
2 김진욱 인천광역시 연수구
3 박혜원 부산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빛과소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동 ***호(가산동, 롯데IT캐슬)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12.31 수리 (Accepted) 1-1-2020-1439540-13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1.11 수리 (Accepted) 1-1-2021-0030081-43
3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21.01.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1-0005079-68
4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1.01.26 수리 (Accepted) 1-1-2021-0100783-51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9.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12.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2-0033559-39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2.02.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2-0142194-23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2.04.21 수리 (Accepted) 1-1-2022-0429202-63
9 [출원서 등 보완]보정서
2022.04.21 수리 (Accepted) 1-1-2022-0429208-3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표면 탄성파 센서의 표면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신경 작용제 검출용 고분자 감지막을 형성할 화학물질과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플라즈마 표면 처리를 진행한 상기 표면 탄성파 센서의 지연라인에 상기 혼합 용액을 드롭 케스팅(drop casting) 방법을 이용해 코팅하는 단계; 및컨벡션(convection) 오븐을 사용해 상기 혼합 용액이 코팅된 상기 표면 탄성파 센서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작용제 감지를 위한 표면 탄성파 센서의 고분자 감지막 증착 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용매와 혼합되는 상기 화학물질로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되는 티오우레아(Thioureas) 기반의 신경가스 검출을 위한 고분자 물질이 사용되며,하기 구조식 1의 R1 및 R2는 각각 페닐기, 벤질기, 싸이클로헥실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작용제 감지를 위한 표면 탄성파 센서의 고분자 감지막 증착 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 formamide, DMF) 용매와 혼합되는 상기 화학물질로 하기 구조식 2로 표시되는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s, POSS) 기반의 신경가스 검출용 화합물이 사용되며,하기 구조식 2의 R3는 페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 작용제 감지를 위한 표면 탄성파 센서의 고분자 감지막 증착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울산과학기술원 민군기술협력(R&D)(산업부) 반도체 레이저 기반 비접촉식 화학작용제 탐지기 개발
2 산업통상자원부 울산과학기술원 민군기술협력(R&D)(산업부) 화학작용제 인공지능 탐지/식별 어레이센서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