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산화탄소 가스로부터 계층적 다공성 구조의 결정성 탄소소재를 제조하는 방법

  • 기술번호 : KST202202059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함유 가스로부터 계층적 다공성 구조의 탄소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압의 온건한 조건에서 탄화칼슘 환원제를 활용한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을 통해서 산소 환원 반응의 활성과 전기에너지 저장능력이 우수한 계층적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결정성 탄소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결정성 탄소소재는 높은 표면적과 부피가 큰 기공들을 가지고 있어 리튬 이온 전지, 리튬-황 전지 또는 슈퍼커패시터와 같은 에너지 저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Int. CL C01B 32/05 (2017.01.01) H01M 4/587 (2010.01.01) H01M 10/0525 (2010.01.01) H01G 11/26 (2013.01.01) H01G 11/32 (2013.01.01)
CPC C01B 32/05(2013.01) H01M 4/587(2013.01) H01M 10/0525(2013.01) H01G 11/26(2013.01) H01G 11/32(2013.01) C01P 2002/52(2013.01) C01P 2006/1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10051625 (2021.04.21)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145034 (2022.10.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도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3 박재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양정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제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이처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04.21 수리 (Accepted) 1-1-2021-0464756-65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2.10.26 수리 (Accepted) 1-1-2022-1134300-22
3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2.10.27 접수중 (On receiving) 1-1-2022-1138688-1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산화탄소 함유 가스와 금속 카바이드(metal carbide) 환원제를 5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기공(<2nm), 메조 기공(2~50nm) 및 매크로 기공(>50nm)을 모두 포함하는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카바이드는 칼슘 카바이드(CaC2), 마그네슘 카바이드(Mg2C3), 나트륨 카바이드(Na2C2), 칼륨 카바이드(K2C2) 및 스트론튬 카바이드(SrC2)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카바이드는 1 내지 100㎛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후에 수득된 고체 생성물을 세척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단계에서 보론 하이드라이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카바이드 환원제와 보론 하이드라이드의 질량비는 1:0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 하이드라이드는 리튬 보론 하이드라이드(LiBH4), 나트륨 보론 하이드라이드(NaBH4), 칼륨 보론 하이드라이드(KBH4), 마그네슘 보론 하이드라이드(Mg(BH4)2), 칼슘 보론 하이드라이드(Ca(BH4)2) 및 스트론튬 보론 하이드라이드(Sr(BH4)2)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8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기공(<2nm, 150~200 m2/g, 0
9 9
0~3V에서 1 A/g으로 구동 시, 200 사이클 이후, 290 mAh/g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8항의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음극
10 10
1
11 11
-1~0V에서 1A/g으로 구동 시, 250 사이클 이후, 60 F/g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8항의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를 포함하는 슈퍼커패시터의 음극
12 12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 기공(<2nm, 200~250 m2/g, 0
13 13
0~3V에서 1 A/g으로 구동 시, 200 사이클 이후, 340 mAh/g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12항의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음극
14 14
1
15 15
-1~0V에서 1A/g으로 구동 시, 250 사이클 이후, 64 F/g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12항의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를 포함하는 슈퍼커패시터의 음극
16 16
이산화탄소 함유 가스, 질소 전구체와 금속 카바이드 환원제를 5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최소 0
17 17
이산화탄소 함유 가스와 금속 카바이드 환원제를 5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반응시켜 결정성 탄소소재를 수득한 다음, 상기 결정성 탄소 소재와 질소 전구체를 용매에 분산시키고 열처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소가 도핑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기공(<2nm), 메조 기공(2~50nm) 및 매크로 기공(>50nm)을 모두 포함하는 질소가 도핑된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18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카바이드는 칼슘 카바이드(CaC2), 마그네슘 카바이드(Mg2C3), 나트륨 카바이드(Na2C2), 칼륨 카바이드(K2C2) 및 스트론튬 카바이드(SrC2)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가 도핑된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19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비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가 도핑된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20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탄소물질과 질소 전구체를 1:1~1:5의 질량비로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가 도핑된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21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전구체는 폴리파이롤(polypyrrol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멜라민(C3H6N6), PDI(N,N'-bis(2,6-diisopropyphenyl)-3,4,9,10-perylenetetracarboxylicdiim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요소(CO(NH2)2), 암모니아(NH3), 소듐 아자이드(NaN3), 하이드라진(N2H4) 및 암모니아보레인(NH3BH3)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소가 도핑된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의 제조방법
22 22
제16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와 반응 시, 질소 전구체로서 질소 가스를 사용하고, 이산화탄소와 질소 가스의 부피비를 1:0
23 23
제16항 또는 제17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최대 14%의 질소가 도핑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기공(<2nm, 150~200 m2/g, 0
24 24
0~3V에서 1 A/g으로 구동 시, 200 사이클 이후, 380 mAh/g의 성능을 나타내는 제23항의 질소가 도핑된 계층적 다공성 결정성 탄소소재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전지의 음극
25 25
1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집단연구지원 분산형 저탄소 수소생산 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