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와이어 구동 장치

  • 기술번호 : KST202300916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와이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와이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에 있어서 와이어를 당기는 힘뿐만 아니라 와이어를 풀어 미는 힘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한 와이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구동 장치는, 와이어를 통해 당기는 힘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미는 힘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으며 높은 강성을 가지는 와이어의 슬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t. CL B25J 9/10 (2006.01.01) B66D 1/14 (2006.01.01) A61B 34/30 (2016.01.01) A61B 17/00 (2022.01.01)
CPC B25J 9/104(2013.01) B25J 9/102(2013.01) B66D 1/14(2013.01) A61B 34/30(2013.01) A61B 2034/302(2013.01) A61B 2034/303(2013.01) A61B 2017/0039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20133139 (2022.10.17)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3-0144925 (2023.10.1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20044150   |   2022.04.08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2.10.17)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규진 서울특별시 관악구
2 천상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3 최형민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두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 *** (성산동 대명비첸시티오피스텔) ***호(공감 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2.10.17 수리 (Accepted) 1-1-2022-1089394-5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3.03.2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와이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구동 장치에 있어서,베이스;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상기 스풀에 연결되어 상기 스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풀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상기 스풀에서 풀려 나온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움직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축과, 상기 와이어가 스풀로 움직이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축에 대한 상대 회전이 방지되고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제1축에 대한 상대 회전이 허용되는 제1회전부를 구비하는 제1원웨이 클러치;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와 와이어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롤러;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에서 풀려 나온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움직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축과, 상기 와이어가 제1원웨이 클러치로 움직이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2축에 대한 상대 회전이 방지되고 반대 방향으로의 상대 회전이 허용되는 제2회전부를 구비하는 제2원웨이 클러치; 및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원웨이 클러치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2원웨이 클러치와 와이어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롤러;를 포함하는 와이어 구동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스풀보다 더 빠른 원주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구동 장치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 및 제1롤러와 상기 스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에서 풀려 나온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스풀에서 풀려 전진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장력 원웨이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구동 장치
4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와 제2원웨이 클러치는, 각각 기어와 타이밍 벨트와 체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구동 장치
5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와이어의 전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와이어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상기 와이어가 내부를 경유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보우덴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구동 장치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보우덴 케이블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한쪽 끝의 연장 방향과 반대쪽 끝의 연장 방향이 서로 예각을 가지도록 휘어지게 배치되는 와이어 구동 장치
7 7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와이어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 구동 장치에 있어서,베이스;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상기 스풀에 연결되어 상기 스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풀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상기 스풀에서 풀려 나온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움직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축과, 상기 와이어가 스풀로 움직이는 방향으로의 상기 제1축에 대한 상대 회전이 방지되고 반대 방향으로의 상기 제1축에 대한 상대 회전이 허용되는 제1회전부를 구비하는 제1원웨이 클러치;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와 와이어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1롤러; 및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 및 제1롤러와 상기 스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풀에서 풀려 나온 상기 와이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스풀에서 풀려서 전진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장력 원웨이 클러치;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구동 장치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스풀보다 더 빠른 원주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구동 장치
9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는, 기어와 타이밍 벨트와 체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와이어 구동 장치
10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와이어의 전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와이어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베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상기 와이어가 내부를 경유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보우덴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와이어 구동 장치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보우덴 케이블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한쪽 끝의 연장 방향과 반대쪽 끝의 연장 방향이 서로 예각을 가지도록 휘어지게 배치되는 와이어 구동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집단연구지원 인간중심 소프트로봇기술 연구센터
2 산업통상자원부 네오펙트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환자 중증도별 개별화가 가능한 착용형 경량 상지재활 로봇 시스템 및 환자중심 비대면 자가재활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