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첨가제를 함유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 잉크 및 이를 이용한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8007112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유기태양전지의 광활성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인쇄공정이 가능한 TCB 첨가제의 구조 및 TCB 첨가제를 이용하여 광활성 잉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공명구조를 가지는 TCB 첨가제는 공기 중에 광활성 잉크와 혼합되어 인쇄공정을 통해 광활성 필름이 제조되어 광활성층이 형성된다. 형성된 광활성층은 공명구조를 가지는 TCB 첨가제를 사용하여 내부의 형상이 균일하다. 또한, TCB 첨가제는 높은 증기압과 낮은 끓는점으로 광활성층 형성 후에 자가 제거되어 추가적인 첨가제 제거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태양전지의 수명유지 및 공정비가 절감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t. CL C09D 11/101 (2014.01.01) C08G 61/02 (2006.01.01) C08G 61/12 (2006.01.01) C09D 11/03 (2014.01.01) H01L 51/00 (2006.01.01)
CPC C09D 11/101(2013.01) C09D 11/101(2013.01) C09D 11/101(2013.01) C09D 11/101(2013.01) C09D 11/101(2013.01) C09D 11/10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58087 (2016.11.25)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59011 (2018.06.0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11.25)
심사청구항수 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광희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이선규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11.25 수리 (Accepted) 1-1-2016-1155346-5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12.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02.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8-0025035-67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02.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112020-23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04.1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0371271-82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04.13 수리 (Accepted) 1-1-2018-0371270-36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08.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552698-55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10.1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1001217-27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10.11 수리 (Accepted) 1-1-2018-1001215-36
10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9.01.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002774-6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첨가제를 함유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 잉크로서첨가제; 및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광활성 잉크를 포함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 잉크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벤젠 공명구조를 가진 1,2,4-tricholorobenzene이며, C6H3Cl3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 잉크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광활성 잉크는 상기 첨가제, 전자주개 및 전자받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 잉크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주개는 광활성 잉크로 적용 가능한 전자주개는 고분자로 Thiophene계열에 P3HT, Poly(3-hexylthiophene-2,5-diyl), Carbazole계열에 PCDTBT, Poly[N-9'-heptadecanyl-2,7-carbazole-alt-5,5-(4',7'-di-2-thienyl-2',1',3'-benzothiadiazole)], Phenylene계열에 MEH-PPV, Poly[2-methoxy-5-(2-ethylhexyloxy)-1,4-phenylenevinylene], Benzothiadiazol계열에 2-Cyano-3-{6-{4-[N,N-bis(4-hexyloxyphenyl)amino]phenyl}-benzothiadiazol-4,4-dihexyl-4H-cyclopenta[2,1-b:3,4-b']dithiophene-2-yl}acrylic acid, PffBT4T-2OD, Poly[(5,6-difluoro-2,1,3-benzothiadiazol-4,7-diyl)-alt-(3,3'''-di(2-octyldodecyl) 2,2';5',2'';5'',2'''-quaterthiophen-5,5'''-diyl)], PffBT4T-C9C13, poly[(5,6-difluoro-2,1,3-benzothiadiazol-4,7-diyl)- alt-(3,3'''- di(2-nonyltridecyl)-2,2';5',2'';5'',2'''-quaterthiophen-5,5'''-diyl)], PCDTBT, Poly[N-9'-heptadecanyl-2,7-carbazole-alt-5,5-(4',7'-di-2-thienyl-2',1',3'-benzothiadiazole)], Benzodithiophene계열에 PBDTT, poly(4,8-bis(5-(2-ethylhexyl)thiophen-2-yl)benzo[1,2-b:4,5-b']dithiophene), PTB7, Poly[[4,8-bis[(2-ethylhexyl)oxy]benzo[1,2-b:4,5-b']dithiophene-2,6-diyl][3-fluoro-2-[(2-ethylhexyl)carbonyl]thieno[3,4-b]thiophenediyl]], PBDTTT-EFT / PTB7-Th, Poly[4,8-bis(5-(2-ethylhexyl)thiophen-2-yl)benzo[1,2-b;4,5-b']dithiophene-2,6-diyl-alt-(4-(2-ethylhexyl)-3-fluorothieno[3,4-b]thiophene-)-2-carboxylate-2-6-diyl)], Benzoxadiazole계열에 PQcOX-T, PQCOX-TT, PQCOX-BIT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받개는 Fullerene 계열의 PC61BM, 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 PC71BM, Phenyl-C71-butyric acid methyl ester, ICBA ,1',1′'',4',4''-Tetrahydro-di[1,4]methanonaphthaleno[1,2:2',3',56,60:2'',3''][5,6]fullerene-C60, indene-C60 bisadduct, Rhodanine 계열의 FBR, (5Z,50Z)-5,50-{(9,9-dioctyl-9H-fluorene-2,7-diyl)bis[2,1,3-benzothiadiazole-7,4-diyl(Z)methylylidene]}bis(3-ethyl-2-thioxo-1,3-thiazolidin-4-one), Indacenodithiophene계열의 IDTBR, Indacenodithieno[3,2-b]thiophene계열의 ITIC, 3,9-bis(2-methylene-(3-(1,1-dicyanomethylene)-indanone))-5,5,11,11-tetrakis(4-hexylphenyl)-dithieno[2,3-d:2',3'-d']-s-indaceno[1,2-b:5,6-b']dithiophene, Naphthalene diimide(NDI)계열의 P(NDI2OD-T2), poly((N,N'-bis(2-octyldodecyl)-naphthalene-1,4,5,8-bis(dicarboximide)-2,6-diyl)-alt-5,5'-(2,2'-bithiophene)) 이외에도 Perylene diimide(PDI), Terrylene diimide(TDI)계열, Spirobiflourene(SF)계열, Isoindigo계열 3,9-bis(2-methylene-(3-(1,1-dicyanomethylene)-indanone))-5,5,11,11-tetrakis(4-hexylphenyl)-dithieno[2,3-d:2',3'-d']-s-indaceno[1,2-b:5,6-b'], Benzothiadiazole(BT)계열 또는 유사 유도체 중에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태양전지의 인쇄공정용 광활성 잉크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광활성 잉크에서전자주개와 전자받개의 혼합 무게비는 전자주개가 1일 때, 전자받개를 1 내지 3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 잉크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광활성 잉크에서상기 첨가제는 상기 광활성 잉크의 1 % 내지 5 % 부피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 잉크
8 8
첨가제, 및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광활성 잉크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한 광활성층의 제조방법으로서,첨가제와 광활성 잉크가 혼합되는 단계; 및상기 혼합된 용액으로 광활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벤젠 공명구조를 가진 1,2,4-tricholorobenzene이며, C6H3Cl3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와 광활성 잉크가 혼합되는 단계에서 전자주개와 전자받개의 혼합 무게비는 전자주개가 1일 때, 전자받개를 1 내지 3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11 11
제8항에 있어서, 첨가제와 광활성 잉크가 혼합되는 단계에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광활성 잉크의 1 % 내지 5 % 부피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12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용액으로 광활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광활성 필름을 형성되면서 상기 혼합된 용액에 함유된 첨가제는 공기 중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13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된 용액으로 광활성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광활성 필름의 두께는 50nm 내지 1000nm로 인쇄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공정용 광활성층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광주과학기술원 기후변화대응 기초원천기술개발과제 인쇄기반의 고성능 유기태양전지 모듈제작기술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광주과학기술원 도약연구지원 인쇄 공정이 가능한 고효율의 삼중 접합 유기태양전지 신규 소자 및 모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