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중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모드 자동 검출 방법, 상기 패킷 모드 자동 검출을 위한 시그널 필드 전송방법 및 상기 패킷 모드에 기반한 이득 제어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13863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중 모드 패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종래 기술과 호환되면서 높은 신뢰도로 패킷 모드를 자동 검출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송 프레임의 시그널 필드에 포함된 전송 속도 및/또는 패킷 길이 설정 값과 시그널 필드의 위상 회전 상태를 이용해 패킷 모드를 자동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킷 모드 자동 검출에 이용될 수 있도록 시그널 필드의 전송 시 데이터 톤 및/또는 파일럿 톤의 위상을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켜 변조한 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nt. CL H04L 29/02 (2006.01.01) H04W 28/02 (2009.01.01) H04L 12/26 (2006.01.01) H04L 27/20 (2006.01.01) H04L 27/2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082674 (2019.07.09)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84241 (2019.07.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090101925   |   2009.10.26
대한민국  |   1020090101956   |   2009.10.26
대한민국  |   1020100013642   |   2010.02.12
대한민국  |   1020100006218   |   2010.01.22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19-0022855 (2019.02.27)
관련 출원번호 1020190022855;1020190159297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8.08)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일구 경기도 광명시 서원로 **,
2 최은영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석규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병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 **층 (서초동, 재우빌딩)(마루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7.09 수리 (Accepted) 1-1-2019-0702302-19
2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08.08 수리 (Accepted) 1-1-2019-0813403-03
3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9.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637372-37
4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2.03 수리 (Accepted) 1-1-2019-1250272-3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first modulated 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제 1 비트들 셋을 제 1 모듈레이션 (modulation scheme)을 통해 모듈레이팅하는 단계;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first modulated 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제 2 비트들 셋을 제 2 모듈레이션 (modulation scheme)을 통해 모듈레이팅하는 단계;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first modulated 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제 3 비트들 셋을 제 3 모듈레이션 (modulation scheme)을 통해 모듈레이팅하는 단계;제 4 모듈레이티드 시퀀스(first modulated 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제 4 비트들 셋을 제 4 모듈레이션 (modulation scheme)을 통해 모듈레이팅하는 단계; 및상기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상기 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및 상기 제 4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제 1 모듈레이션 및 상기 제 4 모듈레이션은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방식이고, 제 3 모듈레이션은 Q-BPSK (Quadrature Binary Phase Shift Keying)이고, 상기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는 상기 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직전에 (immediately precedes) 위치하고, 상기 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는 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직전에 (immediately precedes) 위치하고, 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는 상기 제 4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직전에 (immediately precedes) 위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의 위상은 상기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의 위상보다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으로 90°도 회전된, 데이터 전송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4 개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4개의 OFDM 심볼들은 각각(respectively) 상기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상기 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및 제 4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4개의 OFDM 심볼들 각각은 파일럿 시퀀스(pilot sequence)를 포함하고,상기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는 BPSK에 의해 모듈레이팅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모듈레이션은 BPSK인, 데이터 전송 방법
6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모듈레이션은 Q-BPSK인, 데이터 전송 방법
7 7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메모리;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프로세서;상기 메모리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는 상기 프로세서는,상기 통신 장치가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first modulated 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제 1 비트들 셋을 제 1 모듈레이션 (modulation scheme)을 통해 모듈레이팅하도록 하고,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first modulated 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제 2 비트들 셋을 제 2 모듈레이션 (modulation scheme)을 통해 모듈레이팅 하도록 하고,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first modulated 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제 3 비트들 셋을 제 3 모듈레이션 (modulation scheme)을 통해 모듈레이팅 하도록 하고,제 4 모듈레이티드 시퀀스(first modulated sequence)를 생성하기 위해 제 4 비트들 셋을 제 4 모듈레이션 (modulation scheme)을 통해 모듈레이팅 하도록 하고, 및상기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상기 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및 상기 제 4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되,상기 제 1 모듈레이션 및 상기 제 4 모듈레이션은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방식이고, 제 3 모듈레이션은 Q-BPSK (Quadrature Binary Phase Shift Keying)이고, 상기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는 상기 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직전에 (immediately precedes) 위치하고, 상기 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는 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직전에 (immediately precedes) 위치하고, 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는 상기 제 4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직전에 (immediately precedes) 위치하는, 무선 통신 장치
8 8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의 위상은 상기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의 위상보다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으로 90°도 회전된, 무선 통신 장치
9 9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4 개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4개의 OFDM 심볼들은 각각(respectively) 상기 제 1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상기 제 2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상기 제 3 모듈레이티드 시퀀스 및 제 4 모듈레이티드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10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4개의 OFDM 심볼들 각각은 파일럿 시퀀스(pilot sequence)를 포함하고,상기 각각의 파일럿 시퀀스는 BPSK에 의해 모듈레이팅되는, 무선 통신 장치
11 11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모듈레이션은 BPSK인, 무선 통신 장치
12 12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모듈레이션은 Q-BPSK인, 무선 통신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721671 KR 대한민국 FAMILY
2 KR101802497 KR 대한민국 FAMILY
3 KR101841251 KR 대한민국 FAMILY
4 KR101954651 KR 대한민국 FAMILY
5 KR102000213 KR 대한민국 FAMILY
6 KR1020200067817 KR 대한민국 FAMILY
7 KR102086835 KR 대한민국 FAMILY
8 KR102121966 KR 대한민국 FAMILY
9 US08582418 US 미국 FAMILY
10 US09001637 US 미국 FAMILY
11 US09154359 US 미국 FAMILY
12 US09503304 US 미국 FAMILY
13 US10057095 US 미국 FAMILY
14 US10728069 US 미국 FAMILY
15 US20110096685 US 미국 FAMILY
16 US20140036829 US 미국 FAMILY
17 US20150207657 US 미국 FAMILY
18 US20150372853 US 미국 FAMILY
19 US20170026212 US 미국 FAMILY
20 US20180375701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1721671 KR 대한민국 DOCDBFAMILY
2 KR101802497 KR 대한민국 DOCDBFAMILY
3 KR101841251 KR 대한민국 DOCDBFAMILY
4 KR101954651 KR 대한민국 DOCDBFAMILY
5 KR102000213 KR 대한민국 DOCDBFAMILY
6 KR102086835 KR 대한민국 DOCDBFAMILY
7 KR102121966 KR 대한민국 DOCDBFAMILY
8 KR20110046333 KR 대한민국 DOCDBFAMILY
9 KR20170036673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0 KR20170131828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1 KR20180030972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2 KR20190022606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3 KR20190137059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4 KR20200026242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5 KR20200067817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6 US10057095 US 미국 DOCDBFAMILY
17 US10728069 US 미국 DOCDBFAMILY
18 US2011096685 US 미국 DOCDBFAMILY
19 US2014036829 US 미국 DOCDBFAMILY
20 US2015207657 US 미국 DOCDBFAMILY
21 US2015372853 US 미국 DOCDBFAMILY
22 US2017026212 US 미국 DOCDBFAMILY
23 US2018375701 US 미국 DOCDBFAMILY
24 US8582418 US 미국 DOCDBFAMILY
25 US9001637 US 미국 DOCDBFAMILY
26 US9154359 US 미국 DOCDBFAMILY
27 US9503304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IEEE 802.11 VHT 초고속 무선랜 무선전송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