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VEGFR2 억제제를 포함하는 고혈압성 혈관누출로 인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스크리닝 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1206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혈압성 혈관누출로 인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고혈압성 혈관 누출로 인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우수하다.
Int. CL A61K 31/409 (2006.01.01) A61K 31/4164 (2006.01.01) A61P 9/00 (2006.01.01) A61P 9/10 (2006.01.01) G01N 33/68 (2006.01.01) G01N 33/50 (2017.01.01) C12Q 1/6883 (2018.01.01)
CPC A61K 31/409(2013.01) A61K 31/4164(2013.01) A61P 9/00(2013.01) A61P 9/10(2013.01) G01N 33/6893(2013.01) G01N 33/5064(2013.01) C12Q 1/6883(2013.01) C12Q 2600/136(2013.01) C12Q 2600/15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200042428 (2020.04.07)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124853 (2021.10.1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4.07)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인준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양지명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미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서림빌딩 **층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4.07 수리 (Accepted) 1-1-2020-0362786-20
2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05.04 수리 (Accepted) 1-1-2020-0454014-93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5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1.02.1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1.04.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21-0184217-03
7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1.10.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1-0801393-0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VEGFR2(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2)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억제제를 포함하는, 고혈압성 혈관누출(vascular leakage)로 인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1) Sox17, Dll4, N1ICD, 및 Notch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활성이 약화 또는 불활성화,(2) Dll4와 Notch1의 상호작용이 억제, 또는(3) 상기 (1) 및 (2)의 조합의 특징을 갖는 환자에 적용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망막 표피 혈관층(superficial vascular layers; SVL)에서 비출혈성 혈관누출이 발생한 환자에 적용하기 위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제는 siRNA(small interference RNA), shRNA(short hairpin RNA), miRNA(microRNA), 리보자임(ribozyme), DNAzyme, PNA(peptide nucleic acids),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항체, 앱타머, 추출물, 및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성 혈관누출로 인한 질병은 고혈압 망막병증, 고혈압성 망막부종, 고혈압성 혈관기능 장애, 고혈압성 염증, 고혈압성 뇌병증, 고혈압성 뇌부종, 및 고혈압성 신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6 6
생물학적 시료에서 (1) Sox17, Dll4, N1ICD, 및 Notch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활성이 약화 또는 불활성화,(2) Dll4와 Notch1의 상호작용이 억제, 또는(3) 상기 (1) 및 (2)의 조합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EGFR2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억제제에 의한 고혈압성 혈관누출로 인한 질병 치료에 적절한 환자 선별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7
Sox17, Dll4, N1ICD, 및 Notch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상호작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VEGFR2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억제제 적용 대상 선별용 조성물
8 8
내피세포 특이적으로 (1) Sox17, Dll4, N1ICD, 및 Notch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활성이 약화 또는 불활성화,(2) Dll4와 Notch1의 상호작용이 억제, 또는(3) 상기 (1) 및 (2)의 조합의 특징을 갖는 것인, 고혈압성 혈관누출로 인한 질병 모델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성 혈관누출로 인한 질병은 고혈압 망막병증, 고혈압성 망막부종, 고혈압성 혈관기능 장애, 고혈압성 염증, 고혈압성 뇌병증, 고혈압성 뇌부종, 및 고혈압성 신병증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질병 모델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질병 모델은 분리된 세포, 조직, 기관, 및 동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질병 모델
1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세포는 망막 동맥 내피세포인, 질병 모델
12 12
제8항에 있어서, 망막의 동맥에서 비출혈성 혈관누출이 발생하는, 질병 모델
13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출혈성 혈관누출은 트랜스시토시스에 의한 것인, 질병 모델
14 14
제8항에 있어서, 망막 표피 혈관층(superficial vascular layers; SVL)에서 혈관누출이 발생하는, 질병 모델
15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질병 모델에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후보물질이 처리된 질병 모델에서 Sox17, Dll4, Notch1, N1ICD, VEGFR2, 및 SREBP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상기 후보물질이 미처리된 대조군와 상기 후보물질이 처리된 질병 모델에서 측정된 결과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혈압성 혈관 누출로 인한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의 스크리닝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물질이 처리된 질병 모델에서 측정된 Sox17, Dll4, Notch1, 및 N1IC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이 상기 후보물질이 미처리된 대조군 보다 증가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고혈압성 혈관 누출로 인한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로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크리닝 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물질이 처리된 질병 모델에서 측정된 VEGFR2, 및 SREBP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발현 또는 활성 수준이 상기 후보물질이 미처리된 대조군 보다 감소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고혈압성 혈관 누출로 인한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물로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크리닝 방법
18 18
내피세포 특이적으로 Sox17, Dll4, N1ICD, 및 Notch1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을 약화 또는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혈압성 혈관누출로 인한 질병 모델의 제조 방법
19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세포는 망막 동맥 내피세포인, 방법
20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세포 특이적으로 Sox17, Dll4, N1ICD, 및 Notch1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을 약화 또는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는 Sox17, Dll4, N1ICD, 및 Notch1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전자를 Cre 재조합효소 또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결실시키는 것인, 방법
21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세포 특이적으로 Sox17, Dll4, N1ICD, 및 Notch1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활성을 약화 또는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는 Sox17, Dll4, N1ICD, 및 Notch1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타겟으로 하는 항체를 처리하는 것인, 방법
22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성 혈관누출로 인한 질병 모델은 망막 표피 혈관층(superficial vascular layers; SVL)에서 혈관누출이 발생하는 것인,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EZBARO)내피 전사 네트워크의 혈관신생 및 혈관안정 조절 작용(2019)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 원천기술개발사업 (통합EZ)뇌미세순환 장애 조기진단 및 극복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