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TSAH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제

  • 기술번호 : KST202200528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TSAH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제에 관한 것으로, TSAHC 처리에 의해 TM4SF5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에 따른 IL6, IL1β, TNFα, CXCL1, CXCL6, CCL2, CCL5, CCL20, CXCL10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케모카인의 발현 및 분비가 억제되고, 이러한 TM4SF5의 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은 간조직, 간상피세포 및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 및 대사 기능의 이상을 유발하고, TM4SF5 유전자 변형 동물에서의 간조직 손상, 면역세포의 recruit와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는 바, TSAHC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면역억제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A61K 31/18 (2006.01.01) A61P 37/06 (2006.01.01) A61P 1/16 (2006.01.01) A23L 33/10 (2022.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210150240 (2021.11.04)
출원인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2-0061880 (2022.05.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200148087   |   2020.11.06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1.11.04)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정원 서울특별시 관악구
2 김은미 서울특별시 관악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원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성지하이츠빌딩*차 ***호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1.11.04 수리 (Accepted) 1-1-2021-1270627-68
2 특허고객번호 정보변경(경정)신고서·정정신고서
2022.04.04 수리 (Accepted) 4-1-2022-5079741-7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4′-(p-톨루엔설포닐아미노)-4-하이드록시칼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억제제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4′-(p-톨루엔설포닐아미노)-4-하이드록시칼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간 상피세포 혹은 대식세포의 분화 및 활성화, 포도당 흡수, 해당작용 기능 활성화,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의 분비 억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은 TM4SF5 (Transmembrane 4 L6 family member 5)의 발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4 4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은 상피세포의 TM4SF5 혹은 SIRT1 (Sirtuin 1)의 발현의 증가 혹은 FAK (focal adhesion kinase)의 티로신 (Tyrosine) 397의 인산화, c-Src의 티로신 416의 인산화 또는 STAT3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의 티로신 705의 인산화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은 간 조직에 면역세포의 유입 (recruit) 혹은 간 상피세포의 FAK (focal adhesion kinase)의 티로신 (Tyrosine) 397의 인산화, c-Src의 티로신 416의 인산화 또는 STAT3의 티로신 705의 인산화의 증가를 억제하거나, collagen I alpha 1, 혹은 laminin γ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6 6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은 대식세포와 상호작용하여 대식세포 내의 TM4SF5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7 7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은 F4/80, IL1β (Interleukin 1 beta), IL6 (Interleukin 6), TNFα (tumor necrosis factor α), CCR10 (C-C Motif Chemokine Receptor 10), CXCL6 (C-X-C Motif Chemokine Ligand 6), CCL2 (C-C Motif Chemokine Ligand 2), CCL5, CCL20, CXCL1, CXCL2, CXCL3, CXCL5, CXCL6, CXCL8, 및 CXCL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8 8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은 TM4SF5 발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거나, KEAP1 (Kelch Like ECH Associated Protein 1)의 발현에 의해 감소하는 CCL2, CCL5, CCL20, CXCL1, CXCL6, CXCL8, 또는 CXCL10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4′-(p-톨루엔설포닐아미노)-4-하이드록시칼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대식세포에서 IL-6 (Interleukin 6), CCL2, IL1β 및 TNFα (tumor necrosis factor-α)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4′-(p-톨루엔설포닐아미노)-4-하이드록시칼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간상피세포에서 TM4SF5와 IL6Rα (Interleukin-6 receptor subunit alpha)와의 결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p-톨루엔설포닐아미노)-4-하이드록시칼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대식세포에서 GLUT1과의 TM4SF5의 결합, 세포외부 포도당에 대한 해당작용(혹은 세포외부산화도, ECAR; Extra Cellular Acidification Rate)의 예민도 (sensitivity), 혹은 해당작용을 억제하여 M1 타입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p-톨루엔설포닐아미노)-4-하이드록시칼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지속적인 CCL20 또는 CXCL10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의 처리 혹은 노출에 의해 M1 타입 대식세포가 M2 타입으로 전환하거나 마이토콘드리아의 호흡작용에 따른 산소소모량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1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p-톨루엔설포닐아미노)-4-하이드록시칼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지속적인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의 처리 혹은 노출에 의해 대식세포에서 Mannose receptor C-type 1 (MRC1, CD206), fibronectin (FN1), Arginase I(Arg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의 발현을 억제하여 M2 타입 대식세포의 만성적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제는 고지방식이, 메티오닌-콜린 결핍 식이, 혹은 CCl4 처리를 통한 지방의 축적, 간상피세포의 손상, α-SMA (α-smooth muscle actin)의 발현 증가, 면역세포의 활성화 및 밀집, Ccl20 혹은 Cxcl10의 발현, 또는 콜라젠의 축적에 따른 간 장기 혹은 간 조직의 과잉 염증작용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면역억제제
15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제는 고지방식이 혹은 메티오닌-콜린 결핍 식이를 통한 쿠퍼 대식세포 혹은 골수유래 대식세포의 Tm4sf5, Trem2, Clec4f 또는 Tim4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16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억제제는 자가면역질환, 또는 장기 혹은 조직 절제에 따른 과잉 염증작용 혹은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 거부 반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면역억제제
17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장기 또는 조직은 간 또는 간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억제제
18 18
4′-(p-톨루엔설포닐아미노)-4-하이드록시칼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질환, 또는 조직 절제에 따른 과잉 염증작용 혹은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 거부 반응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장기 또는 조직은 간 또는 간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개인기초(과기정통부)(R&D) TM4SF5 결합단백질체-의존적 NASH 제어 연구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대학교 원천기술개발사업 자연살상세포 면역관문 TM4SF5 저해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