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MEASUREMENT METHOD FOR COGNITIVE FATIGUE AND ITS APPARATUS BASED ON AUDITORY STIMULI)

  • 기술번호 : KST2015228996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D 영상에 의한 시각피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측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에 관련하며, 청각자극 실험패러다임을 이용하여 모바일 3D 콘텐츠 시청 전후의 태스크 퍼포먼스와 청각 사건유발 전위의 변화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3D 시각피로를 정량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A61B 5/0496 (2006.01) A61B 5/05 (2006.01) A61B 3/00 (2006.01)
CPC A61B 3/10(2013.01) A61B 3/10(2013.01) A61B 3/1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068477 (2014.06.05)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627718-0000 (2016.05.31)
공개번호/일자 10-2015-0140490 (2015.12.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60608)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4.06.05)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민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2 문성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3 이동수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4 고미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5 우덕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티앤아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A동 ****호(문정동, 엠스테이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6.05 수리 (Accepted) 1-1-2014-0531574-7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5.09.1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5.11.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5-0092546-21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5.11.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790488-86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5.12.2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5-1281577-23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5.12.29 수리 (Accepted) 1-1-2015-1281564-30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6.05.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373750-6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소리자극 제시장치 내에 정의된 것으로, 100개의 소리자극 중에서 랜덤하게 40개의 소리자극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40개의 소리자극을 기설정된 시간범위 사이의 랜덤 간격으로 왼쪽과 오른쪽에 제시하는 단계;(b) 피험자에게 집중할 방향과 무시할 방향을 왼쪽과 오른쪽에 랜덤하게 기설정된 시간마다 피험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표시장치로 지시하는 단계;(c) 국제 10-20법에 따른 전극 배치 구조에서, "F3", "F4", "C3", "C4", "P3", "P4", "O1", "O2" 지점의 기록 전극들을 이용하여, 집중된 방향의 표적 자극과 무시된 방향의 비표적 자극에 대응하는 청각유발 전위(AERP)를 검출하는 단계;(d) 상기 청각유발 전위(AERP)의 전기성분(P200)과 후기성분(LPP, Late Positive Potential)의 진폭 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e) 상기 청각유발 전위(AERP)의 전기성분(P200)과 후기성분(LPP)의 신호대 잡음비를 평가하여 인지피로 여부를 정량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2 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a)를 적어도 2번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3 3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서, 상기 100개의 소리자극은 네츄럴 사운드 소리자극이며, 상기 추출된 40개의 소리자극은 평균 335
4 4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a)에서, 120초가 1블록을 이루어 5블록 당 상기 추출된 40개의 소리자극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5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 이후에, 피험자가 제대로 태스크를 수행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2블록이 끝날 때마다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집중이 요구되는 영역에 나온 소리자극의 개수를 피험자가 기억하여 상기 표시장치 상에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6 6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b)는, 피험자에게 집중할 방향과 무시할 방향을 왼쪽과 오른쪽에 랜덤하게 30초에 한 번씩 피험자로부터 60 cm 떨어진 표시장치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7 7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기록 전극들 위치에서의 안전도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도 노이즈를 제거할 때 독립성분분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방법
8 8
제7 항에 있어서,상기 독립성분분석 시, 우선 VEOG 채널을 노이즈로 지정하고 뇌파 두 지점을 종속변수로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네 번 실시한 후, HEOG 노이즈도 같은 방식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방법
9 9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b)에서 지시된 방향의 소리자극이 나올 때마다 피험자가 스페이스 바를 누르도록 하여 행동적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소리자극이 나온 시점으로부터 200∼1000ms 사이에 스페이스가 눌린 반응만을 유효반응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10 10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d)에서, 상기 청각유발 전위(AERP)의 전기성분(P200)과 후기성분(LPP)의 최대 진폭 값과 평균 진폭 값을 소리자극 제시 전 200 ms에서 소리자극 제시 시점의 기준 평균값으로부터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11 11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d)에서, 상기 청각유발 전위(AERP)의 전기성분(P200)은 각 표적 자극이 나타난 시점에서 -200∼1000 ms에 속하는 뇌파 구간들만을 추출하여 안전도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 사건 유발전위 구간을 선별하여 평균 유발전위를 산출한 후, 상기 평균 유발전위 성분 중 표적이 나타난 시점에서 200∼300 ms 사이에 최대 정적 전위 값을 갖는 성분을 전기성분(P200)으로 정의하며, 표적이 나타난 시점 이후 500∼1000 ms 사이에서 나타난 정적 전위 값들의 평균을 후기성분(LPP)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12 1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단계(e)에서, 집중된 방향의 전기성분(P200)의 평균 진폭 값에서 무시된 방향의 전기성분(P200)의 평균 진폭 값을 뺀 값이 시청 전보다 감소한 경우, 집중된 방향의 후기성분(LPP)의 평균 진폭 값에서 무시된 방향의 후기성분(LPP)의 평균 진폭 값을 뺀 값이 시청 전보다 감소한 경우, 지시된 방향의 자극에 대한 평균 반응 시간이 시청 전과 비교해 길어진 경우, 시청 전과 비교해 주관적 피로도가 증가한 경우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경우에 해당 되면, 인지피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자극 기반 인지피로 측정 방법
13 13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범부처 Giga KOREA 사업 기가급 대용량 양방향 실감콘텐츠 기술 개발(부제: 휴먼팩터 기반 초다시점 영상 품질 측정 기술 개발, 2N3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