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병 진단 방법(METHOD FOR THE DIAGNOSYS OF THE DISEASE REVEALED BY ABNORMAL AGGREGATED PROTEINS USING ANALYSIS OF OLIGOMERIC PROTEINS)

  • 기술번호 : KST2017011697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병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혈액, 혈장, 혈청, 타액, 소변, 눈물, 콧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액 샘플을 준비하는 단계, 체액 샘플을 희석하는 단계, 희석된 체액 샘플내 응집 단백질을 바이오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 및 검출하는 단계, 및 응집 단백질 희석에 따른 바이오 센서의 신호변화를 분석하여 측정치로부터 농도 희석에 따른 기울기를 생성하는 단계, 농도 희석에 따른 기울기로부터 올리고머 비를 분석 및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바, 바이오 센서를 이용하여 혈액의 임피던스 및 단백질 농도 측정함과 모노머와 올리고머의 수치 대비에 따른 기울기를 검출하여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이나 그에 따른 질병 등을 더욱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G01N 33/68 (2006.01.01) G01N 33/543 (2006.01.01) G01N 33/535 (2006.01.01) G01N 21/552 (2014.01.01) G01N 27/02 (2006.01.01)
CPC G01N 33/6896(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33/6896(2013.01) G01N 33/689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01018 (2016.01.05)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1807285-0000 (2017.12.04)
공개번호/일자 10-2017-0081957 (2017.07.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국내출원/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1.05)
심사청구항수 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지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2 신경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3 지재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4 김태송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5 김영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6 김상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1.05 수리 (Accepted) 1-1-2016-0008661-91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01.15 수리 (Accepted) 1-1-2016-0048465-75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5.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347141-59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7.17 수리 (Accepted) 1-1-2017-0682645-25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7.1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682679-77
6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7.09.13 수리 (Accepted) 1-1-2017-0890092-55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11.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832206-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체액 샘플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체액 샘플을 희석하는 단계;상기 희석된 체액 샘플내 응집 단백질을 바이오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 및 검출하는 단계; 및 응집 단백질 희석에 따른 상기 바이오 센서의 신호변화를 분석하여 측정치로부터 농도 희석에 따른 기울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농도 희석에 따른 기울기로부터 올리고머 비를 분석 및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상기 응집 단백질은 베타 아밀로이드인 것인,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환 가능성 예측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샘플은 혈액, 혈장, 혈청, 타액, 소변, 눈물, 콧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액의 샘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환 가능성 예측 방법
3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샘플을 희석하는 단계는상기 체액 샘플을 일정한 비율로 다른 시약 혹은 버퍼용액과 섞어서 연속적으로 1회 이상 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환 가능성 예측 방법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된 체액 샘플내 응집 단백질을 바이오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 및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희석된 체액 샘플내 응집 단백질의 수치, 농도, 양,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치, 농도, 양,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시에는 응집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Amyloid β)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체액 샘플의 수치, 농도, 양,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환 가능성 예측 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응집 단백질 희석에 따른 상기 바이오 센서의 신호변화를 분석하여 측정치로부터 농도 희석에 따른 기울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각 모노머와 올리고머가 혼합된 체액 샘플을 희석 또는 농축하여, 이 농도의 변화에 따른 수치, 농도, 양,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기울기로 각각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환 가능성 예측 방법
6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샘플을 준비하는 단계는 신경유래 엑소좀(Neuronal Exosome) 분석 방식으로 상기 체액에서 엑소좀을 추출하거나 추출한 엑소좀으로부터 신경유래 엑소좀을 분리하여 분석 샘플을 준비하거나 상기 엑소좀을 분해(lysis)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환 가능성 예측 방법
7 7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응집 단백질 희석에 따른 상기 바이오 센서의 신호변화를 분석하여 측정치로부터 농도 희석에 따른 기울기를 생성하는 단계는 체액 샘플 응집 단백질 또는 체액샘플 엑소좀으로부터 추출한 응집 단백질를 이용하여 상기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하기의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상기 모노머와 올리고머의 비에 따른 기울기를 검출하는 단계; [수학식 1],여기서 y는 센서의 신호, r는 전체 베타아밀로이드 중 올리고머의 비율 (,), Km은 모노머의 농도변화 기울기, Ko는 올리고머의 농도변화 기울기, 그리고 h는 농도희석비이다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된 체액 샘플내 응집 단백질을 바이오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 및 검출하는 단계는 (a) 항체가 바인딩된 자성 비드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incubation)하는 단계; (b) 준비된 항체가 형성된 자성 비드와 진단을 필요로 하는 비정상인 샘플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단계; (c) 상기 비정상인의 샘플 비드를 상기 바이오센서의 마이크로웰 영역에 위치시킨 후 베타 아밀로이드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b)와 (c) 과정을 (a) 과정에서 준비된 비정상인의 샘플 수만큼 반복해서 측정 및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환 가능성 예측 방법
9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센서는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metry) 센서 어레이, Bead 기반 EIS 센서, ELISA(enzyme linked immunoassay), SPR (Surface Plasmon Resonance) 기반 분석 센서 혹은 FET형 바이오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상적인 응집 단백질의 올리고머 분석을 통한 질환 가능성 예측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03264093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2 EP03264093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3 US10585105 US 미국 FAMILY
4 US20180080946 US 미국 FAMILY
5 WO201711955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326409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2 EP326409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3 EP326409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4 US10585105 US 미국 DOCDBFAMILY
5 US2018080946 US 미국 DOCDBFAMILY
6 WO2017119553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신경유래 소포체 기반 알츠하이머병의 혈액 진단용 나노바이오센서 시스템 개발
2 산업통상자원부 (주)캔티스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알츠하이머성 경도인지장애 진단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