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P(NDI2HD-T2) 기반 n-타입 중합체를 전자받개로 사용하는 전-중합체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All-polymer solar cell using P(NDI2HD-T2) based n-type polymer as an accep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기술번호 : KST201701875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전-중합체 태양전지(All-Polymer Solar Cells, all-PSCs)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P(NDI2HD-T2)에 기반하는 n-형 중합체(n-type polymer)를 전자받개(acceptor)로 사용하여 활성층(active layer)을 구성하되, 상기 P(NDI2HD-T2)의 분자량을 조절하여 상기 활성층의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전력변환효율, 단락전류밀도 등 개선된 광발전(photovoltaic) 특성을 가지는 전-중합체 태양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P(NDI2HD-T2)에 기반하는 n-타입 중합체(n-type polymer)를 전자받개(acceptor)로 사용하고, 상기 P(NDI2HD-T2)의 분자량을 조절하여 활성층(active layer)의 구조를 제어함으로써, 전력변환효율, 단락전류밀도 등 개선된 광발전(photovoltaic) 특성을 가지는 전-중합체 태양전지(all-PSCs)를 제조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Int. CL H01L 51/42 (2017.12.20) H01L 51/00 (2017.12.20)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172045 (2017.12.14)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141634 (2017.12.2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16-0066307 (2016.05.30)
관련 출원번호 1020160066307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12.14)
심사청구항수 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범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2 정지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원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창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층(역삼동,성보역삼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12.14 수리 (Accepted) 1-1-2017-1246598-96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02.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138553-44
3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8.04.23 수리 (Accepted) 1-1-2018-0401524-87
4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8.05.24 수리 (Accepted) 1-1-2018-0509065-20
5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8.09.0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595752-75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중합체 전자주개(polymer donor)와 중합체 전자받개(polymer accep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활성층을 포함하는 전-중합체 태양전지(all-Polymer Solar Cells)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상기 중합체 전자받개를 구성하는 P(NDI2HD-T2)의 분자량에 따른 상기 활성층에서의 배향(orientation)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P(NDI2HD-T2)의 분자량을 결정하는 단계, 이때 결정된 분자량은 적어도 49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p-형 중합체로서 PTB7-Th에 기반하는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중합체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층 형성 단계는,(a) 상기 중합체 전자주개를 구성하는 p-형 중합체와 상기 중합체 전자받개를 구성하는 제n-형 중합체가 혼합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b) 상기 혼합된 용액을 스핀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중합체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중합체 전자받개와 중합체 전자주개는 벌크-이종접합(BHJ) 형상을 이루어 활성층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중합체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결정된 P(NDI2HD-T2)의 분자량에 의하여, 상기 활성층에서 면상 배향(face-on orientation)을 이루는 영역이 모서리상 배향(edge-on orientation)을 이루는 영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중합체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성층은 박막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중합체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170135047 KR 대한민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글로벌프론티어사업 고효율, 고안정성 유무기물질 합성 기술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중견연구자지원사업 고효율 및 고안정성을 가지는 유기 태양전지용 유기/고분자 신소재 개발
3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EEWS 연구사업 필름형 반투명 태양전지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