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스캐빈져 수용체 저해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9002657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수지상세포의 스캐빈져 수용체(scavenger receptor)에 대한 저해제(inhibit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Atg5(Autophagy protein 5) 유전자 결손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Atg5 유전자의 결손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발현이 증가된 수지상세포의 스캐빈져 수용체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여 수지상세포의 면역 활성을 정상적으로 보존함으로써 Atg5 유전자의 결손으로 인한 면역 활성 감소로 인한 모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 CL A61K 48/00 (2006.01.01) A61K 39/395 (2006.01.01) G01N 33/50 (2017.01.01) G01N 33/68 (2006.01.01)
CPC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A61K 48/0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19297 (2017.09.18)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10-1994677-0000 (2019.06.25)
공개번호/일자 10-2019-0031632 (2019.03.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9070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9.18)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흥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오동선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정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 ***층(논현동,썬라이더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9.18 수리 (Accepted) 1-1-2017-0902762-6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07.1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09.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8-0117233-81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10.3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737346-38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12.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1285439-38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12.20 수리 (Accepted) 1-1-2018-1285438-93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5.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359240-76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tg5(Autophagy protein 5) 유전자 결손된 수지상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러스, 기생충 또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또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수지상세포는 CD36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처리에 의해 스캐빈져 수용체(scavenger receptor)의 발현 또는 활성이 억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2 2
삭제
3 3
삭제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암은 유방암, 대장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두경부암, 간암, 난소암, 신장암, 피부암, 폐암, 악성 흑색종, 유암종, 전립선암, 고환암, 갑상선암, 또는 위암인, 약학 조성물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감염증은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C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노로바이러스(norovirus), 리스테리아(Listeria), 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대장균(Escherichia coli),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이질균(Shigella) 또는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에 의한 감염증인, 약학 조성물
6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에어로졸,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인, 약학 조성물
7 7
(a) Atg5(Autophagy protein 5) 유전자가 결손된 수지상세포를 준비하고 상기 수지상세포에서의 CD36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수지상세포에 분석할 시료를 처리하고 CD36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의 CD36의 발현 수준이 상기 (a) 단계에서의 CD36의 발현 수준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분석할 시료를 Atg5 유전자가 결손된 수지상세포와 함께 투여하는 경우에 바이러스, 기생충 또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또는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후보물질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기생충 또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또는 암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의 선별방법
8 8
삭제
9 9
삭제
10 10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암은 유방암, 대장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두경부암, 간암, 난소암, 신장암, 피부암, 폐암, 악성 흑색종, 유암종, 전립선암, 고환암, 갑상선암, 또는 위암인, 선별방법
11 11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감염증은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C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노로바이러스(norovirus), 리스테리아(Listeria), 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대장균(Escherichia coli),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이질균(Shigella) 또는 톡소포자충(Toxoplasma gondii)에 의한 감염증인, 선별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EZBARO)항헤르페스 바이러스 면역반응에서 공생박테리아 불균형에 의한 기억 T세포 형성 조절 기전 규명(2016)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수지상세포에 의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인식 및 제시에 있어서 오토파지의 작용기전 규명(3차년)
3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KAIST자체연구사업 질병의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 및 검증(2017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