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기반 음극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기반 음극

  • 기술번호 : KST2020000709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리튬이온배터리에 적용 가능한 탄소 기반 음극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기반 음극에 관한 것으로서, 이산화탄소를 탄소 전구체 또는 보조 성분으로 사용하여 붕소, 질소, 실리콘 및 금속 산화물과 같은 재료들과 탄소의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를 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 소재로 적용할 수 있어 지구 온난화와 대기 오염의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인 리튬이온배터리의 전극 소재 합성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리튬이온배터리의 높은 저장 용량을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리튬이온배터리의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Int. CL H01M 4/1393 (2010.01.01) H01M 4/1395 (2010.01.01) H01M 4/587 (2010.01.01) H01M 4/38 (2006.01.01) H01M 4/36 (2006.01.01) H01M 10/0525 (2010.01.01) C01B 33/02 (2006.01.01) D01F 9/12 (2006.01.01) C01B 32/05 (2017.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90084353 (2019.07.12)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0-0007724 (2020.01.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80081726   |   2018.07.1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7.12)
심사청구항수 3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우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최원영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희천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처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장제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7.12 수리 (Accepted) 1-1-2019-0715348-13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09.0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12.09 수리 (Accepted) 9-1-2019-0056195-4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기체 및 붕소 전구체를 비활성 기체의 분위기 하에서 가열시켜 붕소가 도핑된 탄소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2 2
(a)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기체, 붕소 전구체 및 질소 전구체를 비활성 기체의 분위기 하에서 가열시켜 붕소 및 질소가 도핑된 탄소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3 3
(a)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기체 및 탄소 전구체, 붕소 전구체 또는 붕소 전구체와 질소 전구체 및 실리콘 함유 물질을 비활성 기체의 분위기 하에서 가열시켜 실리콘-탄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4 4
(a) 탄소 전구체, 질소 전구체 또는 붕소 전구체의 혼합물을 재결정 또는 전기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b)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기체를 공급하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전구체를 산화 및 탄소화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5 5
(a) 탄소 전구체, 질소 전구체 또는 붕소 전구체 및 실리콘 함유 물질의 혼합물을 재결정 또는 전기방사하여 실리콘-탄소나노섬유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b)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기체를 공급하면서 상기 실리콘-탄소나노섬유 전구체를 산화 및 탄소화시켜 실리콘-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6 6
(a) 탄소 전구체, 질소 전구체 또는 붕소 전구체 및 금속 산화물 전구체의 혼합물을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기체를 공급하면서 가열시켜 금속 산화물-다공성 탄소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7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상기 붕소가 도핑된 탄소재료, 붕소 및 질소가 도핑된 탄소재료, 실리콘-탄소 복합체 또는 금속 산화물-탄소 복합체에 도전재와 바인더 용액을 혼합한 다음, 생성된 슬러리에서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8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또는 상기 실리콘-탄소나노섬유 복합체에서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또는 상기 실리콘-탄소나노섬유 복합체에 도전재와 바인더 용액을 혼합한 다음, 생성된 슬러리에서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0 10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전구체는 기체, 비정질 탄소 물질 및 결정질 탄소 물질 및 고분자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전구체는 이산화탄소(CO2); 활성탄(activated carbon), 카본블랙(carbon black), 숯(charcoal); 흑연(graphite), 그래핀(graphen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및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2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붕소 전구체는 보론옥사이드(B2O3), 보릭에시드(H3BO3), 리튬 보로하이드라이드(LiBH4),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NaBH4), 칼륨 보로하이드라이드(KBH4), 마그네슘 보로하이드라이드(Mg(BH4)2), 칼슘 보로하이드라이드(Ca(BH4)2), 스트론튬 보로하이드라이드(Sr(BH4)2) 및 암모니아보레인(NH3BH3)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3 13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전구체는 폴리파이롤(polypyrrol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멜라민(C3H6N6), PDI(N,N'-bis(2,6-diisopropyphenyl)-3,4,9,10-perylenetetracarboxylicdiim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요소(CO(NH2)2), 암모니아(NH3), 암모니아 수산화물(NH4OH), 하이드라진(N2H4), 암모니아보레인(NH3BH3) 및 질소기체(N2)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4 14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물질은 실리콘 나노파티클(Si nanoparticle), 이산화규소(SiO2), 탄화규소(SiC), 사염화규소(SiCl4), 질화규소(Si3N4), 아세트산규소(Si(OCOCH3)4), 사불화규소(SiF4), 사브롬화규소(SiBr4), 일산화규소(SiO) 및 테트라에틸 올쏘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Si(OEt)4)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5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전구체는 코발트 산화물 전구체, 망간 산화물 전구체 및 철 산화물 전구체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 산화물 전구체는 염화코발트(CoCl2), 브롬화코발트(CoBr2), 아이오딘화코발트(CoI2), 카보닐코발트(Co2(CO)8), 아세트산코발트(cobalt(II) acetate), 나프텐산코발트(cobalt naphthenate), 질산코발트(Co(NO3)2), 황산코발트(CoSO4) 및 코발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cobalt acetylacetonate)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망간 산화물 전구체는 과망간산칼륨(KMnO4), 망간산칼륨(K2MnO4), 망간산바륨(BaMnO4), 염화망간,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황화망간(manganese sulfide, MnS), 초산망간(manganese(II) acetate), 망가니즈 아세틸아세토네이트(manganese(II) acetylacetonate), 브롬화망간(manganese(II) bromide, MnBr2), 질산망간(manganese(II) nitrate, Mn(NO3)2)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8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철 산화물 전구체는 염화철(II, FeCl2), 염화철(III, FeCl3), 브롬화철(FeBr2) 요오드화철(iron (II) iodide, FeI2), 황화철(FeS), 이황화철(FeS2) 및 철아세틸아세토네이트(iron(III) acetylacetonate)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19 19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에 산, 물 또는 알코올로 세척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 제조방법
20 2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산, 물 또는 알코올로 세척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21 2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1~10℃min-1의 속도로 400~700℃까지 승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 제조방법
22 2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유량이 200 mlmin-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23 23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주사기 침과 컬렉터 사이 거리는 10~15 cm, 컬렉터로의 방사 각도는 수평방향 기준 30~50도의 각도, 방사시 작동 전압은 15~20 kV, 방사 유속은 0
24 24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비활성 기체를 20~200 ml/min의 유속으로 유입하는 조건에서 1~10 의 속도로 승온하여 200~1200 에서 0
25 25
제6항에 있어서, 비활성 기체를 20~200 ml/min의 유속으로 유입하는 조건에서 1~10 의 속도로 승온하여 200~1200 에서 0
26 2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붕소, 질소, 실리콘 및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물질과 탄소의 복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의 제조방법
27 27
(a) 탄소 전구체, 질소 전구체 또는 붕소 전구체의 혼합물을 재결정 또는 전기방사하여 탄소나노섬유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b)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기체를 공급하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 전구체를 산화 및 탄소화시켜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 중간층의 제조방법
28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붕소 전구체는 보론옥사이드(B2O3), 보릭에시드(H3BO3), 리튬 보로하이드라이드(LiBH4),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NaBH4), 칼륨 보로하이드라이드(KBH4), 마그네슘 보로하이드라이드(Mg(BH4)2), 칼슘 보로하이드라이드(Ca(BH4)2), 스트론튬 보로하이드라이드(Sr(BH4)2) 및 암모니아보레인(NH3BH3)으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 중간층의 제조방법
29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전구체는 폴리파이롤(polypyrrole), 폴리아닐린(polyaniline), 멜라민(C3H6N6), PDI(N,N'-bis(2,6-diisopropyphenyl)-3,4,9,10-perylenetetracarboxylicdiim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 요소(CO(NH2)2), 암모니아(NH3), 암모니아 수산화물(NH4OH), 하이드라진(N2H4), 암모니아보레인(NH3BH3) 및 질소기체(N2)로 구성된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 중간층의 제조방법
30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섬유을 독립된 형태의 중간층(free-standing interlayer), 분리막에 부착된 중간층(separator-attached interlayer), 또는 음극에 부착된 중간층(anode-attached interlayer)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음극 중간층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원 기후변화대응 기초원천사업(Korea CCS 2020 사업) 이산화탄소로부터 전기화학적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 탄소 전극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