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광검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21004658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높은 흡광도와 넓은 검출 영역대를 동시에 갖는 광검출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박막 및 상기 반도체 박막 상에 접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도체 격자들을 포함한다.
Int. CL H01L 31/08 (2006.01.01) H01L 31/032 (2006.01.01) H01L 31/02 (2006.01.01) H01L 21/027 (2006.01.01) H01L 31/0236 (2006.01.01)
CPC H01L 31/08(2013.01) H01L 31/032(2013.01) H01L 31/02002(2013.01) H01L 21/0274(2013.01) H01L 31/02366(2013.01) H01L 31/1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90129496 (2019.10.18)
출원인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21-0046131 (2021.04.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18)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성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전재호 경기도 부천시 경인로**번길
3 최승혁 서울특별시 송파구
4 박진홍 경기도 화성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차상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박종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3 남건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 *동 ***호(엔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10.18 수리 (Accepted) 1-1-2019-1062465-3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8.1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출원서 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20.11.30 수리 (Accepted) 1-1-2020-1289035-4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반도체 박막; 및상기 반도체 박막 상에 접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도체 격자들;을 포함하는,광검출 소자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박막은 이황화 몰리브덴(MoS2)을 포함하고,상기 도체 격자들은 탄화 몰리브덴(Mo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도체 격자들은 동일한 격자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박막 표면은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상기 도체 격자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도체 격자들의 피치(Pitch)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도체 격자들의 피치(Pitch)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박막 표면은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상기 도체 격자들 중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도체 격자들의 폭(width)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도체 격자들의 폭(width)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박막의 표면 중 상기 도체 격자에 의해 노출된 영역은 검출광에 노출되어 광을 흡수하고, 광전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도체 격자들은 검출광에 노출되어, 플라즈몬 공명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상기 반도체 박막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박막과 상기 도체 격자들의 쇼트키 장벽 높이(Schottky barrier height)는 60 내지 80 m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도체 격자들은 일측이 서로 연결된 격자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10 10
반도체 박막 상에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도체 격자들을 전사하여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광검출 소자 제조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반도체 박막은 이황화 몰리브덴(MoS2)을 포함하고,상기 도체 격자들은 탄화 몰리브덴(Mo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제조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도체 격자는, 이황화 몰리브덴(MoS2)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박막에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수소(H2) 및 메탄(CH4)의 존재 하에서, 격자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박막을 어닐링하여 화학적으로 변환시켜 탄화 몰리브덴(Mo2C)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도체 격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제조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도체 격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는,챔버 내에 상기 격자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박막을 배치시킨 후 아르곤(Ar)을 주입하면서 제1 온도까지 승온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온도까지 승온된 후 상기 챔버 내에 수소(H2) 및 메탄(CH4) 가스를 주입하면서 제1 시간 동안 상기 격자 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박막을 어닐링하는 단계; 및상기 챔버 내부를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제조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제1 온도는 700 내지 1000℃이고,상기 제1 시간은 2 내지 8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제조 방법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격자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이황화 몰리브덴(MoS2)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박막 상에 감광막을 코팅하는 단계;전자빔 리소그래피 공정으로 상기 감광막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패턴을 플라즈마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검출 소자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성균관대학교 개인기초연구(교육부)(R&D) 이차원 나노융복합소재를 이용한 신기능성 차세대 ICT 정보처리소자 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집단연구지원(R&D) 비선형 부성저항 특성 기반 한계극복 ICT정보처리 소자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광주과학기술원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3D 집적 반도체소재 원천기술 및 응용 연구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성균관대학교(자연과학캠퍼스)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R&D) 초경사 스윗칭 충격이온화 트랜지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