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 및 농도에서 반응하는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 분석을 이용한 신속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화된 세포 이미지 분석 시스템(RAPI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USING MICROBE CELL MORPHOLOGICAL AND GROWTH CHANGE UNDE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ARIOUS ANTIMICROBIAL AGENTS AND AUTOMATIED CELL IMAGE ANALYSIS SYSTEM US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6009034
  • 담당센터 :
  • 전화번호 :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 및 농도에서 반응하는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 분석을 이용한 신속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및 이를 위한 자동화된 세포 이미지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 및 농도에서 반응하는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 분석을 이용한 신속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은 CLSI(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의 표준 방법에 비해 최대 6-7 배의 빠른 속도로 정확한 결과를 판정할 수 있다.
Int. CL C12M 1/18 (2006.01) C12Q 1/04 (2006.01) G01N 35/00 (2006.01) G06T 7/00 (2006.01)
CPC C12Q 1/04(2013.01) C12Q 1/04(2013.01) C12Q 1/04(2013.01) C12Q 1/04(2013.01) C12Q 1/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138535 (2014.10.14)
출원인 주식회사 퀀타매트릭스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43827 (2016.04.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4.10.14)
심사청구항수 2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퀀타매트릭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용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랑구
2 김은근 대한민국 경기도 군포시 산본천로 ** 우륵주공아파트 *
3 유정헌 미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4 권성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5 최정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6 김희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7 이정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8 김의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9 송상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10 주세익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11 이지수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곽현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A&C빌딩 *층(STN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식회사 퀀타매트릭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10.14 수리 (Accepted) 1-1-2014-0978514-58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4.10.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4-0180891-99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10.30 수리 (Accepted) 1-1-2014-1046248-82
4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4.11.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4-0195037-75
5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11.07 수리 (Accepted) 1-1-2014-1074340-86
6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4.11.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4-0202125-50
7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11.20 수리 (Accepted) 1-1-2014-1120681-53
8 [복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Sub-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5.03.16 무효 (Invalidation) 1-1-2015-0251095-57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3.17 수리 (Accepted) 4-1-2015-5033829-92
10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5.03.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5-0060147-02
11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5.04.2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12 무효처분통지서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
2015.04.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5-0077026-73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5.13 수리 (Accepted) 4-1-2015-5062924-01
1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5.06.10 수리 (Accepted) 9-1-2015-0039795-34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11.05 수리 (Accepted) 4-1-2015-5147460-33
1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11.05 수리 (Accepted) 4-1-2015-0062019-67
17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6.06.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446130-67
18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06.27 수리 (Accepted) 1-1-2016-0621206-08
19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6.12.01 수리 (Accepted) 1-1-2016-1182706-17
20 [출원인변경]권리관계변경신고서
[Change of Applicant] Report on Change of Proprietary Status
2016.12.22 수리 (Accepted) 1-1-2016-1261345-14
21 [대리인해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Dismissal of Sub-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7.01.18 수리 (Accepted) 1-1-2017-0060385-37
2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1.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074142-79
23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3.31 수리 (Accepted) 1-1-2017-0317286-76
2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3.3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317273-83
2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08.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597363-29
2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4.06 수리 (Accepted) 4-1-2018-5061549-1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항생제에 반응하는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 분석을 이용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으로,(A) 미생물을 항생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를 시간 경과(Time lapse)에 따라 이미징하는 단계;(C) 상기 단계(B)에서 얻어진 이미지로부터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를 분류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류된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를 이용하여 항균제 내성 및 감수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C)에서,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는 분열(dividing), 무-변화(no-change), 필라멘트 형성(filament formation) 및 팽창 형성(swelling formation)으로 분류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미생물 세포는 미생물의 단일 세포 또는 집단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3 3
삭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가 분열인 경우 항균제 내성으로 판정하고, 상기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가 무-변화, 필라멘트 형성 및 팽창 형성인 경우 항균제 감수성으로 판정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클레브시엘라속(Klebsiella species),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또는 엔테로박터속(Enterobacter species)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아미카신(Amikacin), 아목시실린(Amoxicillin), 암피실린(Ampicillin), 아즈트레오남(Aztreonam), 벤질페니실린(Benzylpenicillin), 칼부라닌산(Clavulanic Acid), 세파졸린(Cefazolin), 세페핌(Cefepime), 세포탁심(Cefotaxime), 세포테탄(Cefotetan), 세폭시틴(Cefoxitin), 세프포독심(Cefpodoxime), 세프타지딤(Ceftazidime),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세푸록심(Cefuroxime),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달포프리스틴(Dalfopristin), 도리페넴(Doripenem), 다프토마이신(Daptomycin), 에르타페넴(Ertapenem), 아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젠타마이(Gentamicin), 이미페넴(Imipenem),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리네졸리드(Linezolid), 메로페넴(Meropenem),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니트로푸란토인(Nitrofurantoin),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 피페라실린(Piperacillin), 퀴누프리스틴(Quinupristin), 리팜피신(Rifampi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설박탐(Sulbactam), 설파메톡시졸(Sulfamethoxazole), 테리트로마이신(Teli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티카르실린(Ticarcillin), 티제사이클린(Tigecycline),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트리메토프림(Trimethoprim) 및 반코마이신(Vancomyc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형성은 β-lactam계 항균제에 대한 미생물의 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형성은 β-lactam계 항균제 중에서 페넴류 약물에 대한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포함하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반응을 제외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팽창 형성은 β-lactam 항균제 중에서 페넴류 약물에 대한 미생물의 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형성은 이미페넴 또는 메로페넴에 대한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포함하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1 11
항생제에 반응하는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 분석을 이용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으로,(A) 미생물을 항생제와 반응시키는 단계; (B) 상기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를 시간 경과(Time lapse)에 따라 이미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얻어진 이미지로부터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를 관찰하는 단계; 및(D) 상기 미생물 세포가 분열(dividing)하는 것으로 관찰된 경우 항균제 내성으로 판정하고, 상기 미생물 세포가 무-변화(no-change), 필라멘트 형성(filament formation) 및 팽창 형성(swelling formation)으로 관찰된 경우 항균제 감수성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미생물 세포는 미생물의 단일 세포 또는 집단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3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스타피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클레브시엘라속(Klebsiella species),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또는 엔테로박터속(Enterobacter species)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4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아미카신(Amikacin), 아목시실린(Amoxicillin), 암피실린(Ampicillin), 아즈트레오남(Aztreonam), 벤질페니실린(Benzylpenicillin), 칼부라닌산(Clavulanic Acid), 세파졸린(Cefazolin), 세페핌(Cefepime), 세포탁심(Cefotaxime), 세포테탄(Cefotetan), 세폭시틴(Cefoxitin), 세프포독심(Cefpodoxime), 세프타지딤(Ceftazidime),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 세푸록심(Cefuroxime),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달포프리스틴(Dalfopristin), 도리페넴(Doripenem), 다프토마이신(Daptomycin), 에르타페넴(Ertapenem), 아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젠타마이(Gentamicin), 이미페넴(Imipenem),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리네졸리드(Linezolid), 메로페넴(Meropenem), 미노사이클린(Minocycline), 목시플록사신(Moxifloxacin), 니트로푸란토인(Nitrofurantoin), 노르플록사신(Norfloxacin), 피페라실린(Piperacillin), 퀴누프리스틴(Quinupristin), 리팜피신(Rifampi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설박탐(Sulbactam), 설파메톡시졸(Sulfamethoxazole), 테리트로마이신(Teli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티카르실린(Ticarcillin), 티제사이클린(Tigecycline),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트리메토프림(Trimethoprim) 및 반코마이신(Vancomyc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5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형성은 β-lactam계 항균제에 대한 미생물의 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 형성은 β-lactam계 항균제 중에서 페넴류 약물에 대한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포함하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반응을 제외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7 17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팽창 형성은 β-lactam 항균제 중에서 페넴류 약물에 대한 미생물의 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8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형성은 이미페넴 또는 메로페넴에 대한 슈도모나스 에어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포함하는 그람-음성 박테리아의 반응을 포함하는 것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 방법
19 19
항생제에 반응하는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 분석을 이용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위한 자동화된 세포 이미지 분석 시스템으로, (A) 미생물과 항생제의 배양 및 미생물 세포의 모양 및 성장 변화의 이미징을 위한 배양칩;(B) 미생물 세포의 배양구간을 촬영하여 미생물 세포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광학영상분석장치; 및(C) 상기 검출된 미생물 세포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미생물 세포의 전체 점유 영역, 미생물 세포의 개수 및 미생물 세포의 전체 길이를 추출하여 미생물 세포의 항균제 감수성을 판정할 수 있는 리더(reader)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항균제 감수성은 미생물 세포의 전체 점유 영역, 미생물 세포의 개수 및 미생물 세포의 전체 길이에 따라 분열, 무-변화, 필라멘트 형성 및 팽창 형성을 이용하여 판정되는 것인, 자동화된 세포 이미지 분석 시스템
20 20
삭제
21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영상분석장치는 텅스텐 램프, LED 광원 또는 레이저광원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화된 세포 이미지 분석 시스템
22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영상분석장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화된 세포 이미지 분석 시스템
23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는 세포배양 4 시간 이후의 최종 이미지에서 미생물 세포의 전체 점유 영역의 값(A3)을 0 시간 일 때의 최초의 이미지에서의 값(A1)으로 나누고, 이를 제1임계치(T1)와 비교하여, a) A3/A1이 T1 보다 큰 경우 내성으로 판정하고, b) A3/A1이 T1 보다 작을 경우 제2임계치(T2) 및 제3임계치(T3)와 비교하여 i) A3/A1 및 A3/A2 (A2: 2시간 이후의 이미지에서 미생물 세포의 전체 점유 영역)가 각각 T2 및 T3 보다 큰 경우 내성으로 판정하고, ii) 그렇지 않은 경우 감수성으로 판정하는 것인, 자동화된 세포 이미지 분석 시스템
24 24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리더는 세포배양 3 시간 이후의 최종 이미지에서 미생물 세포의 전체 점유 영역의 값(A3)을 0 시간 일 때의 최초의 이미지에서의 값(A1)으로 나누고, 이를 제1임계치(T1)와 비교하여,a) A3/A1이 상기 제1임계치(T1)보다 큰 경우, 세포배양 3 시간 이후의 최종 이미지에서 미생물 세포의 전체 길이(L3)를 미생물 세포의 개수(F3)로 나누고, i) 상기 L3/F3가 제4임계치(T4)보다 큰 경우 필라멘트 형성 또는 팽창 형성으로 판단하여 감수성으로 판단하고, ii) 그렇지 않은 경우 내성으로 판정하고,b) A3/A1이 상기 제1임계치(T1)보다 작을 경우 제2임계치(T2) 및 제3임계치(T3)와 비교하여, (b-i) A3/A1 및 A3/A2 (A2: 1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208328 US 미국 FAMILY
2 US20160102334 US 미국 FAMILY
3 US20190136289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208328 US 미국 DOCDBFAMILY
2 US2016102334 US 미국 DOCDBFAMILY
3 US2019136289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병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 질환극복기술개발
2 보건복지부 주식회사 퀀타매트릭스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이미징 기반 미세유체 시스템을 이용한 결핵균 신속 진단법 개발